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102건, 최근 0 건
초기화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비염(
이비인후과
)
비염은 코 속의 점막에 염증이 생겨서 재채기나 코막힘, 콧물이 과도하게 흘러내리는 질환을 말합니다. 크게 알레르기성 비염과 비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나뉩니다. 비염 환자의 대부분은 알레르기성 비염에 해당되고 이중 다수가 축농증이 됩니다. 또한 염증이 코 가운데에 발생한다고 착각하기 쉬운데 가운데가 아닌 코 겉쪽의 비갑…
질병 평가 505 명
2.9
2.3
비염을 달고살지는 않지만 환절기에 유독 심해져서 잘때도 힘듦을 느껴요 현재는 치료중이지만 추…
2.3
비염은 정말 면역력 관리 말고는 답이 없는거같아요. 비염약을 먹어도 그때뿐이고 낮에 먹으면 …
전체평가보기
구내염(
이비인후과
)
구내염이란 원인균이 알려진 감염에 의하거나 또는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 입 안 점막(치아 주위 잇몸, 볼이나 입술 안쪽 점막, 입천정의 구개점막, 혀와 주변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 요소를 기준으로 세균 감염, 바이러스 감염이 원인인 단순포진(헤르페스 구내염), 진균(곰팡이균)감염이 원인인 구강…
질병 평가 105 명
4.2
5.0
뭐 먹다가 씹으면 생기고, 피곤하면 생기고 걍 가관임.. 생길 때마다 알보칠로 조지는데 요즘…
4.0
며칠 전 입안이 따끔거리더니 구내염이 크게 올라와 밥 먹을 때마다 양념이 닿으면 전기 오듯 …
전체평가보기
부비동염(
이비인후과
)
얼굴의 뼛속에는 몇 개의 빈 공간이 있습니다. 이러한 빈 공간을 코 옆에 있는 동굴들이라는 의미에서 부비동이라 합니다. 이 공간은 머리 뼛속에 있는 뇌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비동염은 이러한 부비동이라는 빈 공간에 세균,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염증이 발생한 질환을 의미합니다. 부비동염은 …
질병 평가 36 명
3.8
3.0
처음에 침 삼킬 때 콧물 넘어가는 느낌이 원래 누구나 그런건 줄 알았는데 우연찮게 MRI 촬…
전체평가보기
감기(
이비인후과
)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한 코와 목 부분을 포함한 상부 호흡기계의 감염 증상으로 가장 흔한 급성기 질환입니다. 감기(급성 비인두염)는 바이러스에 의해 코, 비강, 인후, 후두 등에 생기는 급성 상기도 감염으로 급성 비인후염, 급성 부비동염, 급성 #인후염#, #급성 편도염#, 급성 후두염 및 후두개염 등을 모두…
질병 평가 129 명
4.2
5.0
감기는 뭐 자주 걸리는데.... 걸리면 답이 없는 거 같아. 평소에 건강 관리 잘하고, 걸렸…
4.0
이건 코막히고 목아프고 계속 고통스러울바에야 내과가서 항생제 먹으면 바로 낫는거니 바로 병원…
전체평가보기
급성편도염(
이비인후과
)
급성편도염이란 편도를 구성하는 혀 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합니다. 주변 인후 조직의 임파선을 침범하는 인후염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균은 β 용혈성 연쇄상구균 (S. pyogenes) 이며, …
질병 평가 21 명
4.2
2.3
이거는 그냥 잠 좀 못자거나 면역력 좀만 떨어지는 상황에도 바로 생기는듯ㅜㅜ 내가 잘붓는 편…
5.0
어릴 때 부터 엄청 자주 걸리는 병이에요 .. 이제는 아프기전에 먼저 캐치해서 관리 잘 하는…
전체평가보기
역류성식도염(
이비인후과
)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일반적으로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불편감을 총칭하여 일컫습니다. 일반적인 식도염은 대부분 이에 속하며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원인 정상적인 경우 위 식도 경계 부위가 닫혀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
질병 평가 207 명
3.6
4.3
임신하고 나서 진짜 급격히 심해졌는데 원래는 속이 쓰리다~ 정도였던게 진짜 식도 위 연결부위…
3.0
목쪽이 진짜 답답하고 쪼이는듯한 느낌에 이게 뭔가 싶었어요..체한건가 싶어서 안먹어도 보고…
전체평가보기
유행성이하선염(볼거리)(
이비인후과
)
유행성이하선염이란 양 쪽 귀 앞에 있는 이하선의 부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감염을 말합니다. 늦겨울이나 봄에 잘 발생하며 한번 걸리면 평생 면역이 생깁니다. 원인 유행성 이하선염은 mumps virus가 원인균으로 기침, 재채기를 통한 침, 오염된 물건과의 접촉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바이러스가…
질병 평가 1 명
5.0
5.0
솔직하게 여태까지 겪어온 고통 중에서 탑3 안에 드는 고통이었음. 너무 아파서 가만히 있어도…
전체평가보기
이석증(
이비인후과
)
양성 자세 현훈은 특정 체위에서만 나타나는 안진(nystagmus, 안구가 가만히 있어도 떨려서 초점을 유지할 수가 없는 증상)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아직까지 병리와 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내이의 반고리관에 있는 팽대정(cupula)이나 내림프액(endolymph)에 퇴행성의 조직 파편이 발생하여 …
질병 평가 57 명
3.6
4.0
자고 일어났는데 너무 어지러워서 일어나지도 못하고 누워있었음 일어나면 토할거같아서 화장실도…
1.0
어느 날 갑자기 머리가 어지럽기 시작했습니다 일반적인 머리 어지러움이 아니어서 병원에 갔더니…
전체평가보기
딸꾹질(
이비인후과
)
딸꾹질은 횡격막 신경이 자극을 받게 되면 갑자기 횡격막이 급격한 수축을 일으키면서 몸속으로 들어오는 공기가 차단되어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현상입니다. 원인 횡격막이 수축하는 것은 움직임을 조절하는 신경이 자극을 받았기 때문인데, 어떤 자극이 이러한 작용을 하게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대부분은 갑자기…
질병 평가 16 명
3.6
3.0
딸꾹질 평소에 잘 안하다가 한번 하면 진짜 심하게 오래 하는 편인 사람임 누가 놀래켜도 숨…
4.3
배부르거나 매운거 먹으면 딸꾹질 심하게 하는데 진짜 너무 심하게 할때는 속도 안좋아져서 토할…
전체평가보기
이관개방증(
이비인후과
)
이관은 뼈, 연골, 주위 근육 및 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인 이관은 안정 시에 닫혀 있고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하는 동작과 발살바조작 등을 통해 열리게 됩니다. 이관의 연골부가 평상시에도 비정상적으로 계속 열려 있게 되면 비인강과 중이강 사이를 자유롭게 공기와 소리가 들락거리면서 자가강청(Autoph…
질병 평가 8 명
2.1
3.7
어느 날 갑자기 귀가 물 속에 들어간 거처럼 먹먹해지더니 심장 소리가 크게 들려서 병원 가 …
1.3
단기간에 살 많이 빼면서 생김 내 목소리랑 숨서리가 귀 안쪽에서 들리고 전체적인 소리가 되게…
전체평가보기
외이도염(
이비인후과
)
외이도염은 외이도의 세균성 감염에 의한 염증성 질환이며, 병에 걸린 기간 및 심한 정도에 따라 급성 외이도염, 만성 외이도염 및 악성 외이도염 등으로 구분합니다. 원인 급성 외이도염은 외이도의 전반적인 세균성 감염으로서, 잦은 수영, 아열대성 습한 기후, 좁고 털이 많은 외이도, 외골종증(exostosis…
질병 평가 42 명
4.1
4.7
낮에도 이어폰을 많이 끼고 특히 매일 밤 잘때 커널형 이어폰을 끼고 잤았는데 그게 원인이 된…
4.0
일단 제가 너무 귀 파는 걸 좋아해서 항상 귀를 팝니다... 그래서 항상 귀에 염증이 나고 …
전체평가보기
어지럼증(
이비인후과
)
어지럼증이란 자신이나 주위 사물이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 모든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입니다. 어지럼증 중에서도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있으며 자세 불안과 눈떨림(안진)이 동반되는 어지럼증을 현훈이라고 합니다. 어지럼증은 두통과 더불어 신경과를 방문하는 환자가 호소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대…
질병 평가 22 명
3.6
5.0
갑자기 너무 어지러워서 병원에 갔습니다 세상이 빙글빙글 돌고 속도 너무 메스꺼워서 견디기 힘…
1.0
이석증으로 인하여 어지러움 전문 병원에서 10만원이 넘는 돈을 내고 치료를 받아왔지만 사실 …
전체평가보기
객혈(
이비인후과
)
객혈이란, 혈액이나 혈액이 섞인 #가래#를 #기침#과 함께 배출하는 증상을 뜻합니다. 코피와 같은 상기도 출혈이나 토혈과 같은 위장관 출혈은 제외인데, 토혈은 색깔이 더 검붉고 구토와 함께 발생해서 산성 pH를 보이게 되므로 객혈과는 구별이 가능합니다. 객혈의 경우 피는 대부분 선홍빛이며, 기침할 때 흉통을 동반하…
질병 평가 1 명
1.7
1.7
원인 찾기가 더럽게 어려움. 객혈이 흔하게 발생하는 원인이 폐렴/결핵인데 그 둘중 어디에도포…
전체평가보기
난청(
이비인후과
)
난청이란 잘 들리지 않는 증상입니다. 난청은 질환의 이름이라기보다는 소리를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증상 그 자체를 말하고 난청을 일으키는 매우 다양한 원인들과 분류가 있습니다. 원인 소리를 듣는 것은 여러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소리가 귀를 통해 들어가면 고막, 달팽이관과 청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하게…
질병 평가 18 명
3.8
4.3
밤새고 나서 귀 먹먹해지더니 24시간이 지나도 계속 지속돼서 병원에 갔는데, 녹내장 때문에 …
4.0
갑자기 귀가 멍멍해지고 물 들어간 느낌이 며칠동안 지속되어서 이비인후과에 갔는데 돌발성난청이…
전체평가보기
가래(
이비인후과
)
가래는 기관지나 폐에서 생성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액체로, 객담이라고도 불립니다. 정상인의 경우에도 하루 100ml 정도의 가래가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는 경우가 많아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객담은 95%는 수분, 나머지 5% 정도는 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래의 점도…
질병 평가 9 명
3.5
4.0
너무 심하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으면 되고 보통은 그냥 가래 뱉는 거 다들 아는 그런 느낌…
2.3
항상 목에 가래가 장착 돼 있음 그냥 딱히 병원갈 생각도 안해봄 수시로 목 가다듬으면서 가래…
전체평가보기
미맹(
이비인후과
)
미각이 상실된 상태를 미각소실(ageusia)이라 합니다. 또한, 미각이 완전히 소실되지는 않았지만 정상보다 감소된 상태를 미각감퇴(hypogeusia)라 하며, 미각이 정상과 다르게 느껴지는 상태, 예를 들면 단맛이 쓴맛으로 느껴지는 경우를 이상미각(dysgeusia)이라 한다. 한편, 미각이 정상보다 증가된 상…
질병 평가 1 명
2.7
2.7
고모부께서 원래 당뇨 때문에 꾸준히 병원 다니고 계셨는데, 요즘 들어 음식을 먹어도 맛이 전…
전체평가보기
구취(
이비인후과
)
입 안의 박테리아가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생기는 휘발성 황화합물(volatile sulfur compound)로 인해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는 증상입니다. 혀의 안쪽에 서식하는 많은 양의 박테리아가 입 안에 남아있는 음식물 찌꺼기, 죽은 세포, 콧물 등을 부패시키는 과정에서 썩은 달걀 냄새를 발생시키게 됩니다. 입…
질병 평가 6 명
3.2
3.7
어릴 때부터 입냄새가 너무 심했음...ㅜㅜ 내 발성법??이 약간 속에서부터 끌어올리는 ㅋㅋㅋ…
전체평가보기
갑상선암(
이비인후과
)
갑상선에 생긴 혹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는데,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뉩니다. 이중 악성 결절들을 갑상선암이라고 합니다. 갑상선암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암이 커져 주변조직을 침범하거나 림프절전이, 원격전이를 일으켜 심한 경우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갑상선에 생기는 결절의 5~10% 정도가 갑상선암으로 진단…
질병 평가 36 명
3.9
3.3
고3부터 대충 갑상선 기능이 안 좋다고는 느끼고 있었는데 어른 돼서 본 초음파에서 뭐가 안 …
전체평가보기
혈관 운동성 비염(
이비인후과
)
혈관 운동성 비염은 #알레르기# 비염이나 비부비동염(#축농증#)으로 인한 것이 아니면서 심한 코막힘과 콧물을 주 증상으로 호소하는 비염입니다. 술이나, 맵고 짠 음식, 강한 향기가 나는 향수나 담배연기, 급격한 온도 변화나 감정의 변화 등에 의해 갑자기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에서 자주 나타나는 …
질병 평가 4 명
3.5
4.0
난 라면 끓이는 냄새만 맡아도 자극적이어서 재채기가 막 나옴. 화장할 때도 숨 참고 있으면 …
전체평가보기
인플루엔자(독감)(
이비인후과
)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독감은 상부 호흡기계(코, 목)나 하부 호흡기계(폐)를 침범하며 갑작스런 고열,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 증상을 동반합니다. 독감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발생하며, 계절 구분이 있는 지역에서는 매년 겨울에 소규모로 …
질병 평가 106 명
4.5
5.0
살면서 독감백신 1번 맞아봤는데 그 맞은 해에 걸림. 그게 첫독감이자 지금까진 마지막 독감임…
전체평가보기
임파선염(
이비인후과
)
임파선염은 임파선이 비대해지거나 임파선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양성이거나 일시적인 바이러스 감염증 등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에서는 치료가 필요한 결핵이나 악성종양에 의한 임파선염인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사람의 몸에는 온 몸을 작은 관으로 연결하는 혈…
질병 평가 16 명
3.7
4.0
갑자기 자고 일어나서 귀 밑에부터 불까지 부어서 너무 아팠는데 임파선염인거 같아서 수 이비인…
전체평가보기
성대용종(
이비인후과
)
성대 용종은 성대에 발생하는 반투명하거나 빨갛게 출혈 양상의 양성 점막질환입니다. 주로 한쪽에만 나타나지만, 양측에도 나타날 때가 있으며 드물지만 한 측에서도 여러 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원인 주로 과도한 음성 사용 및 흡연이 주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음주, 위산 역류에 의한 만성적인 후두 자극, 갑…
질병 평가 1 명
3.0
3.0
헬스장에서 항상 밝고 에너지 넘치던 트레이너쌤이 요즘 목소리가 갈라지고 잘 안 나오더니 병원…
전체평가보기
비강건조증(
이비인후과
)
외부환경 또는 내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코의 점막이 마르는 증상을 말합니다. 자각 증상으로 코 속이 마르고 건조해지는 듯한 느낌을 받습니다. 원인 기후나 환경적 요인으로는 상대 습도<50% 정도의 건조한 방이나 공기, 뜨거운 방이나 뜨거운 환경, 장시간의 비행 등이 있습니다. 업무 환경적 요인에는 건조한 공…
질병 평가 3 명
4.3
3.3
마플러스나 코앤 같은 스프레이 쓰면 도움이 된다 생리식염수, 보습성분 있는 비강건조증에 쓰…
전체평가보기
타액선 양성종양(
이비인후과
)
타액선은 침샘을 일컫는 말로 이러한 침샘에 발생한 양성종양을 타액선 양성종양이라고 합니다. 원인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Warthin 종양의 경우 흡연과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증상 타액선 종양은 대부분 서서히 자라나는 종괴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종양의 경계가 뚜렷하고…
질병 평가 1 명
4.3
고막염(
이비인후과
)
고막염은 고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수포성 고막염(Bullous myringitis), 육아성 고막염(Granural myringitis) 등이 있습니다. 고막자체의 염증을 말합니다. #외이도염#, 외이도진균증, 외이도이물, 이구전색(耳垢栓塞)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고 또 급성중이염의 초기나 급성의 상기도염에 …
질병 평가 2 명
3.5
침샘비대증(
이비인후과
)
침샘은 해부학적으로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및 입술 및 구강 점막 내에 분포하는 소침샘으로 분류합니다. 침샘이 평상시보다 커지거나 딱딱하게 만져지는 경우 비정상적인 비대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원인 타액선의 비정상적인 비대는 대개 타석 혹은 감염이나 염증으로 인한 경우가 흔하나, 침샘이 딱딱하게 만져지면…
질병 평가 3 명
3.4
감각신경성 난청(
이비인후과
)
감각신경성 난청은 달팽이관의 청각세포로부터 뇌의 청각을 담당하는 부위까지의 신경 부위에 이상이 생겨 청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원인 바이러스 감염, 종양, 정신적 원인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머리 부분을 다쳤을 때 발생합니다. 소음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발생합니다. 치료제나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합…
질병 평가 2 명
2.3
비후성 비염(
이비인후과
)
비염은 비강을 덮고 있는 점막의 염증성 질환을 의미합니다. 비염의 증상은 코막힘, 콧물, #기침#, 재채기, 후각 소실, #후비루증후군# 등이 있습니다. 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임상 양상에 따라 급성, 만성, 위축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염의 종류 중 하나인 만성 비염 역…
질병 평가 10 명
2.6
편도선염(
이비인후과
)
편도선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전신의 저항력이 감소하였을 때 편도 내 세균으로 인해 급성 감염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 편도선염은 몸의 저항력이 떨어졌을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합니다. 편도선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는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포도상구…
질병 평가 57 명
4.4
삼출성 중이염(
이비인후과
)
삼출성 중이염은 이통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없이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에 삼출액이라는 액체가 차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게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가고 생기거나 감기를 앓은 후 발생합니다. 원인 일반적으로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간 후 염증으로 인해 만들어진 액체가 계속 고여있는 경우가 가장 흔…
질병 평가 2 명
4.8
호흡장애(
이비인후과
)
호흡장애란 호흡곤란이라고도 말하며, 주관적으로 숨을 쉬는데 불편함을 느끼는 상태를 지칭합니다. 이 상태는 생리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일반 인구의 약 9-13%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70세 이상 환자에서는 37%까지 그 증상을 호소합니다. 호흡곤란은 응급실에 방문하는 가…
질병 평가 1 명
3.7
만성 중이염(
이비인후과
)
중이염은 중이강 내에 일어나는 모든 염증성 변화를 총칭하는 것으로 중이강, 중이점막 상피세포 및 상피하 조직의 변화와 구조물의 골 파괴 징후를 동반하는 조직 변화를 보입니다. 중이염의 분류에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발병 시기에 따라서는 급성 중이염, 아급성 중이염, 만성 중이염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질병 평가 11 명
3.2
침샘막힘(
이비인후과
)
침샘막힘은 어떠한 원인으로든 타액의 배출 경로가 좁아져 생성된 타액이 원활이 구강 내로 분비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타석증#(Sialolithiasis)은 성인의 침샘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이며 침샘막힘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매년 1000명의 성인 중 12명이 이 질환을 앓고 있고 환자의 …
질병 평가 4 명
4.7
편도비대(
이비인후과
)
편도는 구인두와 비인두에 있는 임파선(림프절)상피조직입니다. 흔히 편도가 부었다고 하면 목젖 양쪽의 편도를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부위에 있는 편도는 편도 조직 중 하나인 구개편도입니다. 입안에서 눈으로 볼 수 있는 구개편도 외에도 비인두에 있는 아데노이드라는 인두편도와 혀뿌리에 있는 혀편도가 있는데, 이 편도…
질병 평가 6 명
4.0
비중격 만곡증(
이비인후과
)
비중격 만곡증은 코의 중앙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콧구멍을 둘로 나누는 벽인 비중격이 휘어져 코와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거나 코막힘, 부비동염 등의 기능적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원인 2-1) 선천성 혹은 발달성 기형 자궁 내의 태아,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의 경우에도 비중격 기형이 발견됩니다. 그…
질병 평가 49 명
3.4
인후두 역류 질환(
이비인후과
)
인후두 역류 질환이란 위장 안의 음식물이나 위산이 식도를 통해 인후두로 역류하여 유발되는 인두 이물감, 목소리 변화, 기침 등과 같은 여러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쓰림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 동반되기도 하고,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원인 인후두 역류…
질병 평가 11 명
3.5
후비루증후군(
이비인후과
)
후비루는 코나 부비동에서 다량으로 생산된 점액이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입니다. 환자는 콧물이 나고, 점액이 목 뒤로 넘어가는 느낌이 있으며, 반복적인 헛기침을 하는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이과 함께 이학적 검사에서도 비인두이나 구인두에 점액이나 점액농이 있는 것을 확인하거나, 인두벽 점막이 자갈 모양으로 불규칙한 …
질병 평가 15 명
3.3
수면무호흡증(
이비인후과
)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자는 중에 숨을 쉬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한동안 숨이 막혀 컥컥거리다가 한계점이 지나면 ‘푸’하고 숨을 몰아 쉬는 모습이 보입니다.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횟수가 시간당 5번 이상이면 심각한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질병 평가 4 명
3.6
칸디다성 구내염(
이비인후과
)
칸디다성 구내염이란 곰팡이균 칸디다(Candida albicans)에 의해 발생되는 구내염을 말합니다. 하얀색의 병변이 혀나 볼 안쪽에 나타나고, 통증이 있으며 긁었을 때 피가 날 수도 있습니다. 종종 입천장이나 편도, 목의 뒤쪽으로 옮겨가기도 합니다.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유아나 인공의치를 하고 있거나 면…
질병 평가 3 명
3.8
침샘염(
이비인후과
)
침샘(이하선, 악하선, 설하선)에 나타나는 염증성, 감염성 질환입니다. 원인 세균성 타액 질환은 실혈, 탈수, 금식과 불량한 구강위생으로 인해 구강 내 세균이 역행성으로 침샘으로 침투하여 발생합니다. Paramyxovirus에 의한 이하선염, 타석으로 인한 침샘이 막혀 침샘염이 유발되는 경우도 흔합니다. …
질병 평가 1 명
4.0
성대결절(
이비인후과
)
성대결절은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에 의해 발생하는 성대의 양성점막 질환입니다. 6~7세의 남자 어린이, 또는 30대 초반의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수, 교사 등의 직업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원인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에 의해 생기며 6~7세의 남자 어린이, 30대 초반의 여성,…
질병 평가 8 명
3.3
편도결석(
이비인후과
)
편도 혹은 편도선에 있는 작은 구멍들에 음식물 찌꺼기와 세균이 뭉쳐서 생기는 쌀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말합니다. 이름에 결석이라고 붙어 있지만 대부분 돌처럼 딱딱하지는 않습니다. 치아와 혀의 상태가 깨끗해도 입 냄새가 나며, 양치질하면서 구역질을 심하게 할 때 쌀알 같은 것이 튀어나오는 경우 의심할 수 있습…
질병 평가 37 명
2.9
설통(
이비인후과
)
설통은 혀에 뚜렷한 이상이 있지는 않지만 혀끝이 따끔거리거나 혀 가장자리가 얼얼하다고 느끼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원인 설통은 혀나 구강 내에 별다른 이상이 없는데도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그 밖의 원인으로는 #구강암#에 대한 염려, 스트레스, 구강 내 국소 자극, 흡연, 호르몬 변화, 침샘의…
질병 평가 3 명
4.2
구순구개열(
이비인후과
)
얼굴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의 하나로, 우리나라의 경우 약 650~1,000명당 한 명꼴로 나타나며, 얼굴이 만들어지는 임신 4~7주 사이에 입술(구순) 및 입천장(구개)을 만드는 조직이 적절이 붙지 못하거나 붙었더라도 유지되지 않고 떨어져서 생기는 입술 또는 입천장의 갈림증입니다. 단순히 피부나 입천장 점막의…
질병 평가 1 명
4.0
인후염(
이비인후과
)
흔히 말하는 #감기#, 목 감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병으로 베타 용혈성 사슬알균, 포도알균, 폐렴알균, 헤모필루스균과 혐기성 균주와 같은 세균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로 인하여 인두, 후두를 포함한 상기도 점막…
질병 평가 35 명
4.4
타석증(
이비인후과
)
타석증이란 침을 생산하는 기관인 침샘(타액선)이나 침샘으로부터 입안으로 연결된 부위(침샘관, 타액선관)에 석회물질(돌, 타석)이 생겨 침의 통로가 막혀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침이 나오는 통로가 막히기 때문에 막힌 부위의 안쪽인 침샘 부위가 붓고 아픈 증상을 유발합니다. 악하선(턱밑샘)에 80% 정도로 가장 많이 생…
질병 평가 1 명
4.7
이하선염(
이비인후과
)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Mumps virus)에 의한 이하선염으로 이하선(Parotid gland)이 붓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원인 85%가 15세 이하에서 발생하며 전염성이 높고 계절적으로는 봄, 가을에 많으나, 백신의 사용으로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소아 당뇨병과의 중요한 연관성도 …
질병 평가 3 명
3.5
메니에르병(
이비인후과
)
메니에르병은 발작성으로 나타나는 회전감 있는 어지럼증과 청력 저하, 이명(귀울림), 이충만감(귀가 꽉 찬 느낌) 등의 증상이 동시에 발현되는 질병으로, 1861년에 프랑스 의사 메니에르(Menier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아직까지 병리와 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내림프 수종(endolymph…
질병 평가 17 명
3.2
기침(
이비인후과
)
기침은 우리 몸의 중요한 방어 작용의 하나이며, 가스, 세균 등의 해로운 물질이나 다양한 이물질이 기도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줍니다. 또한 흡입된 이물질이나 기도의 분비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항상 기도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작용을 합니다. 기침은 후두를 포함한 기도의 자극에 의해 반사적으로 발생하는 …
질병 평가 11 명
3.6
객담(가래)(
이비인후과
)
객담(가래)은 기관지나 폐로부터 생성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액체로서 정상인에게서도 하루에 100ml 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므로 객담을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객담은 95%가 수분, 나머지 5% 정도가 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래의 점도는 기관지 점액의 수분 …
질병 평가 7 명
3.1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
3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