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77건, 최근 0 건
초기화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혈소판 감소증(
혈액종양내과
)
혈소판감소증이란 혈액 1마이크로리터당 15만-40만 개가 존재해야 하는 혈소판이 10만 개 미만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경도의 혈소판감소증이 있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건강검진 등을 통해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혈소판 수치가 심하게 낮으면 출혈 경향이 증가해 피부에 점출혈이나 자색반이 …
질병 평가 2 명
2.3
2.7
5년 전 건강검진으로 혈소판 수치가 낮다는 걸 알고 대학병원 외래를 잡아 검진 후 진단을 받…
전체평가보기
임파선염(
혈액종양내과
)
임파선염은 임파선이 비대해지거나 임파선에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증상입니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양성이거나 일시적인 바이러스 감염증 등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에서는 치료가 필요한 결핵이나 악성종양에 의한 임파선염인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사람의 몸에는 온 몸을 작은 관으로 연결하는 혈…
질병 평가 15 명
3.6
2.3
조금만 피곤해도 임파선이 부음. 우리 아빠도 그런거 보면 유전되는 것 같음. 특별히 큰 통증…
4.3
코로나 예방주사 1차 맞고 생겼었습니다. 찌릿찌릿 아프기도 하면서 부었었어요 약 처방 받고 …
전체평가보기
백혈병(
혈액종양내과
)
우리 몸의 뼈는 몸의 체형을 유지하고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면서 칼슘 조절에 관여하는 기능을 하고, 뼈의 내부에는 뼈보다는 촘촘하지 않은 골수라는 조직이 있는데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의 혈액 세포를 만드는 기능을 합니다. 백혈병이란 이러한 혈액 세포에 발생한 암으로서, 비정상적인 혈액세포가 과도하게 증…
질병 평가 1 명
4.3
4.3
처음에는 운동할 때 평소보다 숨이 차고 감기가 와서 그런가 보다 했는데 나중에는 다리도 쿡쿡…
전체평가보기
직장암(
혈액종양내과
)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합니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5㎝이며 상부, 중부…
질병 평가 1 명
3.7
악성 흑색종(
혈액종양내과
)
악성 흑색종은 멜라닌 생성 세포로 구성된 피부 악성 신생물(암)을 말합니다. 멜라닌 생성 세포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합니다. 멜라닌 세포는 피부나 점막에 있는 정상적인 세포로, 이 세포에서 만드는 멜라닌이라는 색소 때문에 피부색이 나타납니다. 일광욕이나 과도한 햇빛 노출은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을 많이 만들…
질병 평가 1 명
2.7
빈혈(
혈액종양내과
)
빈혈은 건강한 적혈구 수치가 정상치 이하로 떨어진 상태, 즉 혈액이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일은 혈액 내의 적혈구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적혈구 내의 혈색소(헤모글로빈)를 기준으로 하여 빈혈을 진단합니다. 세계보건기구에…
질병 평가 18 명
3.1
혈전증(
혈액종양내과
)
혈전이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이란 혈전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혈전증은 혈전색전증이라고 하기도 하며, 특히 혈전에 의하여 혈관이 막히며 발생하는 질환을 일컫습니다. 우리 몸은 여러 가지 혈전형성인자와 조절인자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정상 상태에서는 과도한 혈전이 만들어지지 않…
질병 평가 1 명
2.7
급성골수성백혈병(
혈액종양내과
)
급성백혈병은 조혈모세포가 악성 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액으로 퍼져 나와 전신에 퍼지면서 간, 비장, 림프선 등을 침범하는 질병입니다. 급성백혈병은 백혈병 세포의 종류에 따라 급성골수성백혈병과 급성 림프성 백혈병으로 나뉩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은 가장 흔한 형태의 #백혈병#입니다. 주로 성인에게 발병하…
질병 평가 1 명
5.0
뇌동정맥기형(
혈액종양내과
)
뇌동정맥기형(뇌혈관 기형;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은 뇌혈관의 발생과정에서 원시 혈관망이 동맥, 모세혈관, 정맥으로 분화되는 태생초기(약4주)에 동맥과 정맥사이의 모세혈관이 발생되지 않아 동맥에서 직접 정맥으로 이행하는 선천적인 혈관기형을 말합니다. 원인 선천적인 요…
질병 평가 0 명
0.0
경막하 혈종(
혈액종양내과
)
경막하 혈종(subdural hematoma)이란 경막과 지주막 사이 공간에 혈액이 응고된 경우를 말하며 흔히 뇌좌상이나 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원인 정맥 출혈에 의한 것이 많으므로 증상의 발현과 진행은 어느 정도 느리며, 출혈량 및 혈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합니다. 증상 #두통#, 의식의 변화, 동…
질병 평가 0 명
0.0
경막상 혈종(
혈액종양내과
)
경막상 혈종(epidural hematoma)이란 경막외 혈종이라고도 하며 경막과 두개골 사이에 혈종이 형성된 것을 말합니다. 원인 경막에 있는 중수막동맥, 정맥 또는 경막정맥동 파열로 출혈하는데, 이 때 경막상 혈종이 형성됩니다. 증상 혈종이 뇌를 압박하면 환자는 의식이 점차 흐려지고 반신마비가 되…
질병 평가 0 명
0.0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혈액종양내과
)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이란 대장 용종 외에도 골종양, 연부조직 종양 등이 발생하는 유전병을 말합니다. 원인 종양 억제 역할을 하는 5번 염색체에 APC란 유전자가 있는데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이런 유전자의 50%가 상염색체 우성으로…
질병 평가 0 명
0.0
발작성 야간혈색뇨(
혈액종양내과
)
발작성야간혈색뇨는 용혈 현상(적혈구 밖으로 헤모글로빈이 탈출하는 현상)으로 인해 야간에 혈색 소변을 보는 질환으로,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X-염색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합니다. 명확한 발생 빈도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주로 20대 및 30대 성인에게 발병하며, 전체 환자의 약 1…
질병 평가 0 명
0.0
횡문근육종(
혈액종양내과
)
근육은 크게 평활 근육과 횡문 근육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횡문근육종은 횡문 근육 세포에 종양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소아에게 발생하며, 성인에게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15세 이하의 소아 100만 명당 5명 정도로 발생합니다. 원인 횡문근육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유방의 엽상 종양(
혈액종양내과
)
유방의 엽상 종양은 비교적 드문 유방 종양 중 하나입니다. 종양 내부가 나뭇잎처럼 생겨서 엽상 종양이라고 합니다. 초음파로는 섬유선종과 구분이 안 되지만, 자라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크게 자랍니다. 원인 유방의 엽상 종양이 생기는 원인은 알 수 없습니다. 증상 유방의 엽상 종양은 대개 증상이 없습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전이성 신장암(
혈액종양내과
)
전이성 신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 모든 신생 종양 사례의 2% 정도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신장암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투명 세포형이라고 불리는 암종입니다. 이는 진단되는 신장암의 80% 정도를 차지합니다. 전이성 신장암에서 암세포는 신세뇨관 내막에서 발생…
질병 평가 0 명
0.0
만성골수백혈병(
혈액종양내과
)
만성골수백혈병은 골수구계 세포가 백혈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악성 혈액 질환을 의미합니다. 90% 이상의 환자들은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출현하는 특징적인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혈액세포가 과다 증식하여 백혈구와 혈소판 등이 증가합니다. 이 질환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혈액암#입니다. 원인 만성골수백혈병의…
질병 평가 0 명
0.0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혈액종양내과
)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백혈구 중에 조직구가 과다 생산되어 다양한 조직과 장기에 축적되는 희귀 질환을 의미합니다. 조직구는 조직 내의 대식세포이며, 세포나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면역 기능을 담당합니다.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에 걸린 환자의 조직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장기를 침범합니다. 이때 가장 흔하게 침범…
질병 평가 0 명
0.0
한랭글로불린혈증(
혈액종양내과
)
한랭글로불린혈증은 한랭글로불린이 혈중에 존재하는 증상입니다. 한랭글로불린은 냉각하면 응집하고 가열하면 용해되는 성질을 가진 단백입니다. 원인 한랭글로불린혈증을 유발하는 인자는 대부분 불명확하지만 A, B, C형 간염, 거대 세포 바이러스(cytomegalovirus), 엡스테인 바 바이러스(Epstein-B…
질병 평가 0 명
0.0
골수증식종양(
혈액종양내과
)
골수증식종양은 골수의 활동이 병적으로 활발해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증가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혈액 속에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감염을 막는 백혈구, 출혈을 멎게 하는 혈소판이라는 세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혈구 세포들은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혈액 속에서 일정한 수를 유지합니다. 감염이나 영양 …
질병 평가 0 명
0.0
폰빌레브란트병(
혈액종양내과
)
폰빌레브란트병은 유전성 혈액 응고 질환으로, 출혈이 주요 증상입니다. 이 질환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유전되며, 성별에 관계없이 나타납니다. 이 질환은 대략 10,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병한다고 추정됩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까지 한국혈우재단에 126개 사례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원인 폰빌레브란트병은 혈…
질병 평가 0 명
0.0
심부정맥 색전증(
혈액종양내과
)
심부정맥은 심장과 연결되는 혈관으로, 피부에서 보이지 않는 깊은 위치에 있습니다. 동맥을 나온 피는 대부분 이 심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들어갑니다. 색전증은 쉽게 말하자면 혈관 안에서 액체 상태로 흘러야 할 피가 고체인 피떡으로 굳어져서 혈관을 막아버리는 질환입니다. 결국 심부정맥 색전증은 많은 양의 피가 지나가는…
질병 평가 0 명
0.0
요근 농양(
혈액종양내과
)
요근 농양은 요추에 붙어서 이를 양쪽으로 지탱하는 요근에 생긴 농양을 의미합니다. 요근은 혈류가 풍부하게 공급되며, 림프관이 발달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감염이 피를 따라 전파되거나 림프관을 통해 직접적으로 전파되기 쉽습니다. 또한 S결장, 공장, 맹장, 요관, 신장, 췌장 등의 장기와도 인접해 있기 때문에, 다른…
질병 평가 0 명
0.0
신세포암종(
혈액종양내과
)
신세포암종은 신장에서 생기는 악성 종양 중 하나입니다. 신세포암은 신장에서 발생하는 암의 85%를 차지하기 때문에, 신장암이라 하면 대부분 신세포암을 지칭합니다. 원인 신세포암의 확실한 원인은 아직 모르는 상태입니다. 흡연, #고혈압#과 그 치료 약제, 진통제 남용, 비만, 발암 물질 노출 등 여러 환경적 …
질병 평가 0 명
0.0
결절성 다발동맥염(
혈액종양내과
)
결절성 다발동맥염은 중요 장기에 피를 공급하는 중간 크기의 동맥에 염증이 생겨 혈액 공급이 원활치 않아 장기에 손상을 주는 질환입니다. 폐를 제외한 중요 장기에 영향을 줍니다. 혈관에 염증이 생기면, 혈관이 약해지거나 늘어나며 파열 또는 협착이 생깁니다. 원인 결절성 다발동맥염의 가장 큰 원인은 백혈구가 조…
질병 평가 0 명
0.0
악액질(
혈액종양내과
)
악액질은 칼로리를 보충해도 영양학적으로 비가역적인 체질량의 소실이 이루어지는 전신적인 영양 부족 상태를 의미합니다. 영양소의 이용이나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영양 불균형 상태입니다. 원인 악액질의 원인은 대개 결핵이나 당뇨 같은 만성 질환, 암 같은 악성 소모성 질환입니다. 암으로 인한 악액질인 경우…
질병 평가 0 명
0.0
위말트 림프종(
혈액종양내과
)
위말프 림프종은 위선암에 이어서 두 번째로 흔한 위장의 악성 종양입니다. 위에서 처음 발생한 원발성 림프종과, 전신적 림프종이 위를 침범하여 발생한 이차성 림프종으로 구분합니다. 전체 위 악성 종양의 약 5% 정도만 차지하는, 흔하지 않은 질환입니다. 원인 최근 점막 연관 림프조직(mucosa associa…
질병 평가 0 명
0.0
타액선암(
혈액종양내과
)
타액선암은 타액선, 즉 침샘에 생긴 암을 말합니다. 침샘에는 주타액선과 부타액선 두 종류가 있습니다. 주타액선은 크기가 크고, 귀밑에 있습니다. 크기가 가장 큰 이하선, 턱 밑에 있는 악하선, 혀 밑에 있는 악하선이 좌우 각각 한 쌍 존재합니다. 부타액선은 크기가 작으며, 비강, 볼 점막, 구개, 혀, 인두, 기관…
질병 평가 0 명
0.0
단세포군감마글로불린병증(
혈액종양내과
)
단세포군감마글로불린병증은 B세포의 분화 과정 후반기에 형질 세포의 클론성 증식에 의해 단세포성 면역글로불린(M-protein or paraprotein)이 분비되는 질환입니다. 혈액 검사에서 감마 항체가 한 종류만(단세포성) 증가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M-단백이 혈청 혹은 소변에서 검출되지만, 다발골수종의 증상이…
질병 평가 0 명
0.0
원발부위 불명암(
혈액종양내과
)
원발 부위는 암이 처음 생긴 장소를 말합니다. 모든 암은 원발 부위가 있습니다. 그러나 조직학적으로 암을 진단한 후 모든 검사를 시행해도 원발 부위를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원발 부위 불명암이라고 합니다. 모든 악성 종양의 2~6%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원인 암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
질병 평가 0 명
0.0
캐슬만병(
혈액종양내과
)
캐슬만병은 전신의 림프절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림프절 증식을 특징으로 합니다. 대부분 종격동, 위, 두경부 등에 발생합니다. 림프절 전체에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국소형은 일부 림프절에만 국한되어 서서히 자랍니다. 전신형은 전신의 림프절 종대와 함께 비특이적인 임상 증상을 보입니다. 원인 캐슬…
질병 평가 0 명
0.0
종격동암(
혈액종양내과
)
종격동은 좌우 늑막강 사이의 공간을 말합니다. 폐를 제외한 흉곽의 중앙에 위치합니다. 대동맥, 흉선, 심장, 심막, 기도 및 기관, 식도, 미주식경, 흉관(thoracic duct), 림프절 등의 장기가 존재합니다. 종격동 종양은 이러한 종격동에 발생하는 종양과 낭종을 말합니다. 조직 검사를 통해 악성으로 진단된 …
질병 평가 0 명
0.0
악성 중피종(
혈액종양내과
)
악성 중피종은 흉부 외벽에 붙어있는 흉막이나 복부를 둘러싼 복막, 심장을 싸고 있는 심막 표면을 덮는 중피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대부분 석면가루가 흉막에 쌓여 발병하는 종양입니다. 잠복기가 30년에 이르며, 발병 후 1~2년 이내에 사망하는 치명적인 병입니다. 원인 악성 중피종은 석면 노출에 …
질병 평가 0 명
0.0
순수적혈구무형성(
혈액종양내과
)
순수 적혈구 무형성은 백혈구나 혈소판의 이상 없이 순수하게 적혈구 세포의 생산만 억제되어 골수세포의 부족이나 적혈구의 감소에 의해 나타나는 혈액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순수 적혈구 무형성의 원인은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선천적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가족 내…
질병 평가 0 명
0.0
거대적혈모구빈혈(
혈액종양내과
)
거대적혈모구빈혈은 건강한 적혈구를 생산하는 데 꼭 필요한 비타민 B12(코발라민)와 엽산 중 한 가지 이상이 결핍되어 세포 내 DNA 합성이 저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대적혈모구빈혈의 적혈구는 모든 성숙 단계에서 정상적인 적혈구보다 크며, 세포의 핵과 세포 전체 크기의 성숙 또는 발달이 조화롭지 않습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지중해빈혈(
혈액종양내과
)
지중해빈혈은 유전적 결함으로 인하여 적혈구 내 산소를 조직으로 운반하는 혈액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이 결핍되어 장애가 발생하는 혈액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헤모글로빈이 포함된 적혈구는 정상 적혈구보다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수명도 짧아 산소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문제가 발생합니…
질병 평가 0 명
0.0
자가면역용혈질환(
혈액종양내과
)
자가면역용혈질환은 적혈구 내부의 특수 항원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적혈구가 일찍 파괴되어 나타나는 후천성 용혈빈혈입니다. 희귀 질환입니다. 이러한 용혈빈혈을 일으키는 항체로는 작용하는 온도에 따라 온난 자가항체(따뜻한 온도에서 작용하는 항체), 한랭 자가항체(차가운 온도에서 작용하는 항체), 도나트-란트슈타이너(D…
질병 평가 0 명
0.0
포피리아(
혈액종양내과
)
혈색소인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포르피린(porphyrin)과 철이 착염(complex salt)을 이루고 있는 물질인 헴(heme)과 단백질 글로빈(globin)의 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헴의 체내 합성 과정에는 여덟 가지의 효소가 필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특정 효소가 부족하게 …
질병 평가 0 명
0.0
맥락막 흑색종(
혈액종양내과
)
맥락막 흑색종은 눈 안의 맥락막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을 의미합니다. 눈 안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안 질환입니다. 원인 맥락막 흑색종의 주요 원인으로는 과도한 자외선 노출이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외에 맥락막 흑색종의 원인으로는 임신을 …
질병 평가 0 명
0.0
악성 뇌교종(
혈액종양내과
)
뇌교종이란 뇌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중 신경교세포에서 기원한 #종양#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전체 암의 약 2%를 차지하며, 두개강에서 기원한 종양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경교세포란 성상세포(Astrocyte), 핍지교세포(Oliogodendrocyte), 상의세포(뇌실막세포, Ependymocyte)…
질병 평가 0 명
0.0
호중구감소증(
혈액종양내과
)
호중구는혈액 내 세균이나 박테리아가 우리 몸을 침범했을 경우 세균을 파괴하고 방어하는 첫 번째 방어선입니다. 이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환자는 어떤 의학적 조치가 없다면 쉽게 감염될 수 있으며, 이는 생명에 위협이 됩니다. 원인 호중구 감소증을 유발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입…
질병 평가 0 명
0.0
골수형성이상증후군(
혈액종양내과
)
골수형성이상증후군은 골수 기능에 이상이 생겨 건강한 혈액세포를 충분히 만들지 못하는 여러 질환을 묶어서 이르는 말입니다. 골수 안에는 조혈모세포가 있으며, 이 세포는 여러 단계를 거쳐 혈액 세포(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로 성장, 분화합니다. 골수 형성 이상 증후군이 발병하면 조혈모세포의 형태가 이상해지고(형성 이…
질병 평가 0 명
0.0
재생불량빈혈(
혈액종양내과
)
재생불량빈혈은 골수 안에서 모든 세포의 모체가 되는 줄기세포를 만들지 못하여 혈액세포가 줄어들면서 생기는 질환입니다. 재생불량빈혈 환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모든 혈액세포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재생불량빈혈은 서양보다 동양의 발생 빈도가 2~5배 정도 높습니다. 서양은 연간 100만 명당 2명 정도 발병하…
질병 평가 0 명
0.0
혈소판 증가증(
혈액종양내과
)
체내에서 지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소판이 과생산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성인에서 혈소판의 정상 범위는 혈액 1㎕(마이크로리터) 당 150,000~ 450,000로 정상범위 이상의 혈소판 수치를 보이는 경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어떤 원인에서건 골수에서 혈소판을 과생성하고 이들이 혈액으로 유입되는 경우 혈소판 증…
질병 평가 0 명
0.0
혈소판 이상(
혈액종양내과
)
혈소판 이상은 혈소판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을 말합니다. 혈소판은 상처가 생겼을 때 혈액을 멎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혈소판은 손상된 혈관벽에 붙거나 혈소판끼리 서로 엉겨 붙으면서 혈액 응고를 일으켜 혈액을 멎도록 해줍니다. 성인의 경우 혈액 1마이크로 리터 안에 약 15~40만 개의 혈소판이 있습니다. 혈소판은 …
질병 평가 0 명
0.0
뇌전이암(
혈액종양내과
)
뇌전이암은 전신 암의 합병증으로 두개강 내 종양 중 가장 흔한 종류 중의 하나이며 최근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체 각 부위의 암이 진단된 후에 뇌 전이가 발생하는 경우와 암 병력 없이 #뇌병변#을 가지는 경우에도 약 15%는 전이성 #뇌종양#으로 확인됩니다. 원인 폐,유방, 피부, 신장, 소화기 …
질병 평가 0 명
0.0
파종혈관내응고(
혈액종양내과
)
파종 혈관 내 응고는 감염, 수술, 외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혈관 내 지혈 담당 성분이 과다하게 활성화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와 같은 과잉 활성화 응고 작용이 혈관 전체에서 일어나면 혈전이 형성됩니다. 이 혈전이 각종 장기에 달라붙으면 혈액 순환에 장애가 생깁니다. 그 결과 제 기능을 해야 할 응고 관련 성분이 소…
질병 평가 0 명
0.0
혈액 응고 장애(
혈액종양내과
)
혈액응고는 다쳐서 피가 날 때 혈액이 엉겨 붙어 피를 멎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들이 상처 부위에서 서로 도우며 피를 멎게 합니다. 그런데 혈소판이나 혈액응고인자가 모자라거나, 그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출혈이 일어나도 피가 잘 멎지 않습니다. 원인 혈관이 손상되어 혈관 벽의 콜라겐(col…
질병 평가 0 명
0.0
유잉육종(
혈액종양내과
)
유잉육종은 뼈에 생기는 #소아암# 중의 하나로, 소아와 청소년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골육종 다음으로 흔한 암입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잘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 질병입니다. 원인 유잉육종은 유전적으로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 방사선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은 …
질병 평가 0 명
0.0
용혈빈혈(
혈액종양내과
)
용혈 빈혈은 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인 100~120일을 채우지 못하고, 정상보다 빠르게 파괴되어 생기는 빈혈입니다. 평상시에는 약 1%의 적혈구가 순환 혈액에서 제거됩니다. 골수는 제거되는 적혈구의 수만큼 새로운 적혈구를 생산합니다.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지면 골수의 조혈 기능이 증가합니다. 골수는 필요에 따라 정상…
질병 평가 0 명
0.0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