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66건, 최근 0 건
초기화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편두통(
가정의학과
)
일반적으로 편두통은 일상생활 또는 업무에 불편한 두통과 위장관 증상을 동반한 경우로, 단순히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을 가리키는 말이 아닙니다. 편두통은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병률에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주로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국내의 조사에 의하면 편두통의 유병률은 6.5%로 추산되며…
질병 평가 71 명
3.5
3.7
가끔씩 찾아오는 편두통이 찾아오는 편인데, 그럴때마다 반나절 이상씩은 아무것도 못할정도로 아…
4.7
방학때 편두통으로 약을 달고 살았음. 진짜 감기 걸리거나 평상시에 머리가 아픈 것보다 더 아…
전체평가보기
설사(
가정의학과
)
배변 횟수가 하루 4회 이상, 또는 하루 250g 이상의 묽은 변이 나올 때 설사라고 합니다. 성인에서 2~3주 이상 지속되는 설사를 만성 설사라고 하고, 그 이하를 급성 설사라고 정의합니다. 설사는 가성설사나 대변실금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가성설사는 하루 3~4회 이상 배변하지만 전체 배변량이 정상 범위 내에 속…
질병 평가 18 명
3.5
3.7
스트레스 받으면 보통 장 트러블이 심한 편이라 설사를 종종 함... 유산균 아무리 먹어도 소…
3.7
저는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에서 설사 진단을 받았습니다. 갑자기 지속적인 설사와 복통이 발생…
전체평가보기
변비(
가정의학과
)
변비는 배변 시 무리한 힘이 필요하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하게 굳은 경우, 불완전 배변감(후중감) 또는 항문직장의 폐쇄감이 있는 경우, 원활한 배변을 위하여 부가적인 처치가 필요한 경우, 일주일에 배변 횟수가 3번 미만인 경우 등을 말하며, 기질적(이차성) 원인이 없는 원인 미상(특발성)의 혹은 기능성 변비가 대…
질병 평가 51 명
3.2
5.0
저는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에서 변비 진단을 받았습니다. 몇 주간 배변이 불규칙하고, 대변을…
3.3
푸룬주스 이런거 별로 효과 없고 화장실 가는 시간 통일하고 아침밥 꼭 챙겨 먹는거 추천함. …
전체평가보기
방광염(
가정의학과
)
급성 방광염은 요로계의 해부학적, 기능적 이상 없이 세균이 침입하여 발생한 감염으로 인해 염증이 방광 내에 국한되어 나타나고 다른 장기에는 염증이 없는 질환입니다. 만성 방광염은 통상적으로 1년에 3회 이상 방광염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하며, 지속적인 또는 완치되지 않은 방광염을 의미합니다. 원인 급성 방광…
질병 평가 120 명
4.2
5.0
저는 서울대학교병원 비뇨기과에서 방광염 진단을 받았습니다. 잦은 배뇨와 배뇨 시 통증, 불쾌…
5.0
방광염이 피곤할 때 자주 재발하였었는데 (월 1-2회) 산부인과만 가다가 비뇨기과를 방문하였…
전체평가보기
갑상샘 저하증(
가정의학과
)
갑상선(갑상샘)은 목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내분비 기관으로, 뇌에 있는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선호르몬을 만들어 내는 일을 합니다. 그런데 갑상선을 병명으로 오인하여 갑상선에 병이 있다고 진단을 받은 사람들이 ´갑상선에 걸렸다´ 또는 ´나는 갑상선이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종종 있…
질병 평가 35 명
3.4
3.3
고등학생 때 피검사 통해 발견- 가족들이 유전적으로 갑상선이 안좋기는 했으나 어린 나이에 벌…
3.7
피검사로 갑상선 저하증 발견 ㅠㅠ 계속 약으로 조절하고 수치 정상화 하는방법밖에 없음 ㅠㅠ …
전체평가보기
배뇨통(
가정의학과
)
배뇨통은 소변을 볼 때 요도 또는 방광 부위가 화끈화끈하거나 아프다고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대개 #빈뇨#(소변을 자주 봄), 급뇨(소변을 참지 못함)를 동반합니다. 원인 소변을 보는 시간 중의 어느 시기에 통증이 나타나는지에 따라서 염증 부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배뇨 초기에 통증이 심한 경우는 …
질병 평가 5 명
3.7
4.0
어느날 쉬를 하는데 소변을 다보고 찌릿찌릿한 느낌이 들기 시작함 뭐지 싶고 그냥 있었는데 잔…
4.0
쿡쿡 쑤시는 미묘한 통증.. 기분이 좀 안좋지만 그래도 심한 편은 아니었어서... 쉬 누고 …
전체평가보기
인플루엔자(독감)(
가정의학과
)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독감은 상부 호흡기계(코, 목)나 하부 호흡기계(폐)를 침범하며 갑작스런 고열, #두통#, #근육통#, 전신 쇠약감과 같은 전반적인 신체 증상을 동반합니다. 독감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에서 발생하며, 계절 구분이 있는 지역에서는 매년 겨울에 소규모로 …
질병 평가 90 명
4.5
4.3
온몸이 아파서 이불 속에서 나오지를 못함 감기보다는 훨씬 아프고 코로나보다는 살짝 덜 한 …
4.0
감기인줄 알고 그냥 약국에 파는약 먹었었는데 열이 나기 시작하면서 단순감기랑은 차원이 다르게…
전체평가보기
미주신경성 실신(
가정의학과
)
실신 중 가장 흔한 유형으로 신경 심장성 실신이라고도 합니다. 극심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긴장으로 인해 혈관이 확장되고 심장 박동이 느려져 혈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갑자기 나타나는데, 급격히 낮아진 혈압 때문에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여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는 것을 미주신경성 실신이라고 합니다. 원인 미주…
질병 평가 25 명
2.2
2.7
갑자기 눈앞이 하얘지면서 식은땀 줄줄 흘림 머리아프고 어지럽고 몸에 힘이 쭉 빠지면서 당장…
2.3
출근길 지하철에서 서있을 때만 자주 그랬음 사람이 많고 식은땀이 계속 나고 앞이 핑 돌고 까…
전체평가보기
성병(STD)(
가정의학과
)
성매개감염병은 일차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성적인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30종류 이상의 성매개감염병이 있으며 각각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흔한 성매개감염병으로는 임질, 매독, 성기 클라미디아 감염증, 트리코모나스증, 후천성 면역결핍증 등이 있습니다…
질병 평가 8 명
4.2
3.0
cold sore 이라도 불리는 hsv. 한국에선 흔하진 않지만 미국에선 거의 80%의 어른…
3.7
파트너가 없든, 있든, 바뀌든 주기적으로 상관없이 꼭 검사를 해야 함. 질염으로 고민 정말 …
전체평가보기
비만(
가정의학과
)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비만이라고 합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증가해 있고 지방량이 많지 않은 경우는 비만으로 부르지 않습니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정의합니다. (서양인은 30 이상이며, 인종간의 차이…
질병 평가 3 명
3.4
2.7
내과 방문해 식욕조절제를 먹으면서 20킬로이상 감량했었는데 여지없이 요요가 와서 힘들었던 기…
2.7
비만 자체가 즉각적으로 다른 질병에 걸리게 하는 건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확실히 문…
전체평가보기
두드러기(
가정의학과
)
두드러기란, 벌레에 물렸을 때 부풀어 오르는 것과 같은 팽진과 그 주위를 둘러싸는 발적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피부가 몹시 가려우며, 경계가 명확한 병변이 홍색 또는 흰색으로 부어오르고, 이러한 팽진은 혈관 반응으로 인해 피부의 진피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부종#에 의해 생깁니다. 각각의 병변은 24…
질병 평가 39 명
3.7
5.0
대장내시경 한다고 장을 싹 비운후 바로 자극적인 음식을 먹어서 그런지 오후에 얼굴은 부어가고…
4.0
음싣을 잘못 먹었는지 팔에 두드러기가 갑자기 올라오고 간지러워서 피부과에 방문했습니다 약을 …
전체평가보기
염좌(
가정의학과
)
염좌(sprain)는 관절을 지지해주는 인대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서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를 주로 말하며, 근육이 충격에 의해서 늘어나거나 일부 찢어지는 경우도 염좌(strain)라고 말합니다. 영어로는 전자의 경우를 sprain, 후자의 경우를 strain으로 구분하여 부릅니다. 인대나 근육의 일부가 아…
질병 평가 3 명
3.8
4.0
급성으로 허리나 무릎에 통증이 생길 때가 있는데 항상 염좌로 진단 받음. 소염제 처방 받고 …
전체평가보기
니코틴 중독(
가정의학과
)
엄밀한 의미에서 니코틴 중독이란 담배 안에 들어 있는 니코틴이라는 성분에 의해 급성이나 만성의 신체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니코틴의 주요 섭취 경로는 직접, 간접적 흡연입니다. 우리나라 성인의 흡연율은 미국이나 유럽의 선진국에 비해 높은데 특히,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45% 정도로 선진국의 2배에 달합…
질병 평가 4 명
3.4
4.0
수술도 많이 하는 편이고, 돈도 너무 아까워서 금연 결심함,,, 일주일차는 너무 고통스럽구 …
3.3
처음엔 사실 어린마음에 멋있지도 않은데 멋내기용이었고 계속 피다보니 음 없으면 허전하다고 해…
전체평가보기
불면증(
가정의학과
)
불면장애란 잘 수 있는 적절한 시간과 기회가 주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수면의 시작과 지속, 공고화, 그리고 질에 반복되는 문제가 있어 그 결과 주간 기능의 장애를 유발하는 상태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그래서 세 가지 요소 - 적절한 수면의 기회, 지속되는 수면의 문제, 동반되는 주간기능장애가 함께 불면장애를 정의하게 됩…
질병 평가 50 명
3.5
2.7
예전부터 잠을 못자서 시작은 수면 유도제로 했는데 역시나 어느시점 부터 효과없어서 이대로는 …
2.7
생각이 너무 많거나 우울증이나 불안장애가 있거나 중요한 일을 앞뒀거나 아니면 잠에 들어도 금…
전체평가보기
당뇨(
가정의학과
)
당뇨병은 혈액 속의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여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질환입니다. 당뇨병은 1형 당뇨병, 2형 당뇨병, 기타 당뇨병, 임신당뇨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2형 당뇨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뇨병은 단순히 혈당만 …
질병 평가 40 명
3.1
3.0
많이 먹고 단거 많이 좋아하고 이런다고만 해서 당뇨 걸리는거 아니에요ㅠㅠ 생활패턴 망가진다<…
3.7
인슐린 주사를 처방받아 매일 일정량 투약하고 있으며, 인슐린의 효과는 보고 있는데 투약하지 …
전체평가보기
인후두 역류 질환(
가정의학과
)
인후두 역류 질환이란 위장 안의 음식물이나 위산이 식도를 통해 인후두로 역류하여 유발되는 인두 이물감, 목소리 변화, 기침 등과 같은 여러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위식도 역류 질환(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가슴 쓰림 등을 초래하는 질환)이 동반되기도 하고, 독립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원인 인후두 역류…
질병 평가 7 명
3.4
4.0
역류성 식도염을 원래 가지고 있었는데 이게 심해져서 역류성 후두염까지 왔었음. 일단 증상이 …
3.0
요새 잦은 음주와 자극적인 음식 섭취로 갑자기 역류성 식도염이 재발해서 찾아갔어요. 증상을 …
전체평가보기
갑상샘 항진증(
가정의학과
)
우리 목 안에는 나비 모양의 기관이 있는데 이를 갑상선이라고 지칭하며, 갑상샘이라고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갑상선에서는 갑상선호르몬을 배출하여 우리 몸의 여러 기능을 조절합니다. 갑상샘 항진증(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보다 많이 분비되어 몸의 에너지가 빨리 소모되고 많은 기능이 항진되는 질병을 말합니…
질병 평가 35 명
3.5
혈뇨(
가정의학과
)
혈뇨는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배설되는 것으로, 약물이나 음식, 과도한 운동의 영향으로 단순히 소변이 붉게 보이는 현상과는 다릅니다. 눈으로 색깔 변화를 알아볼 수 있을 정도의 혈뇨를 육안적 혈뇨,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것을 현미경적 혈뇨라고 합니다. 적은 양의 혈뇨가 한 번 있었다고 해서 이상이 있다…
질병 평가 6 명
4.1
근막동통 증후군(
가정의학과
)
근막동통증후군은 두피의 통증보다는 어깨나 목의 통증을 주로 유발하며, 환자들은 이러한 증상을 ‘목이 뻐근하면서 뒤통수가 당긴다’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막동통증후군은 경부(목)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며, 활동성 유발점(trigger point)에 의해 통증이나 자율신경 증상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
질병 평가 3 명
3.0
수족냉증(
가정의학과
)
수족냉증은 추위를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손이나 발에 지나칠 정도로 냉기를 느끼는 병입니다. 단, 다른 질병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증상들 중의 하나로서의 수족냉증과는 구별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족냉증은 상당한 문화적인 요소가 있는 증상입니다. 수족냉증이란 증상만으로 단순히 추위에 민감하다거나 혈액순환이…
질병 평가 51 명
2.8
빈뇨(
가정의학과
)
보통 성인은 낮에 깨어있는 동안 4~6회, 밤에 자는 동안 0~1회, 많아도 하루 총 10회 이내로 배뇨하는 것이 정상인데, 이 범위를 넘어 배뇨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경우를 빈뇨라고 합니다. 원인 빈뇨는 방광의 염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며, 전립선 비대증이나 #요도협착증# 등에 의해 하부 …
질병 평가 4 명
3.7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가정의학과
)
당뇨병은 소변으로 포도당(요당)이 배출된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병입니다. 정상인의 경우 소변으로 당이 넘쳐나지 않을 정도로 좁은 범위에서 혈당이 조절됩니다. 여기에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인슐린이 모자라거나 인슐린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하면 혈당이 상승하게 되며, 이…
질병 평가 2 명
3.3
만성피로 증후군(
가정의학과
)
만성 피로 증후군은 정의하기가 매우 모호합니다. 왜냐하면, #고혈압#이나 #당뇨병#처럼 어떤 검사수치를 가지고 진단할 수 있는 질병이 아니라, '피로'라고 하는 매우 주관적인 증상으로 질병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피로를 유발할 만한 다른 의학적인 원인은 모두 배제되어야 하고, 피로와 함께 동반…
질병 평가 2 명
4.7
고지혈증(
가정의학과
)
혈중에 지질 성분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혈액 내에 지방 성분이 정상보다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혈관벽에 쌓인다면 죽상경화증을 일으키거나 심혈관계질환 혹은 다른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지질혈증#’ 이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원인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질병 평가 7 명
3.2
근육통(
가정의학과
)
근육통이란 근육부위에 생기는 통증을 의미하며, 다양한 질병이나 장애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하나의 증상입니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은 해당 근육의 과도한 사용입니다. 하지만 감염성 질환을 비롯한 수없이 많은 질환이나 장애에서도 근육통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함께 발생하는 다른 증상이나 증후들을 참고하여 …
질병 평가 23 명
4.2
빈혈(
가정의학과
)
빈혈은 건강한 적혈구 수치가 정상치 이하로 떨어진 상태, 즉 혈액이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일은 혈액 내의 적혈구가 담당하고 있으므로 적혈구 내의 혈색소(헤모글로빈)를 기준으로 하여 빈혈을 진단합니다. 세계보건기구에…
질병 평가 18 명
3.1
유당불내증(
가정의학과
)
장점막에 있는 이당류 가수분해효소 중 젖당분해효소의 결핍으로 우유와 같이 젖당이 풍부한 음식을 소화하는 데 장애를 겪는 증상을 의미합니다. 원인 보통 영아기에는 소장 내에 젖당분해효소가 풍부하게 존재하나 이유기를 거치며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성인에서 더 흔히 나타납니다. 유전적 소인도 있어 어려서부터 …
질병 평가 16 명
2.6
냉방병(
가정의학과
)
더운 여름철에 환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공간에서 냉방이 지속될 경우 가벼운 감기, 몸살, 권태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냉방병이란 어떤 질병을 가리키는 용어라기보다는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는 여러 질환군을 총칭하는 증후군의 일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원인 2-1. 잦고 심한 기…
질병 평가 19 명
4.6
무좀(
가정의학과
)
무좀(백선)이란, 백선균 또는 피부사상균이라는 곰팡이가 피부각질층, 모발, 손발톱에 감염 결과 발생되는 피부질환을 말합니다. 피부사상균의 감염 중 가장 많은 것은 족부 백선(발무좀)으로 전체 백선의 33∼40%를 차지하며, 이는 하얀 각질이 두껍게 생기는 과다각화형, 작은 수포가 생기는 물집형, 그리고 발가락 사이…
질병 평가 14 명
3.5
지방간(
가정의학과
)
정상 간의 경우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은 5% 이내인데, 이보다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지방간이라고 합니다. 최근 영양상태가 좋아지고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간 환자가 늘어나는 추세에 있습니다.지방간은 크게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약물과 관련된 …
질병 평가 1 명
5.0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가정의학과
)
사람의 몸은 음식을 섭취하여 세포 안에 들어온 포도당의 양에 따라 췌장에서 적당한 인슐린을 자동적으로 생성합니다. 그러나 소아당뇨병(제1형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은 췌장에 있는 인슐린을 생성하는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합니다. 이와 같이 췌장에서 인슐린이 만들어지지 않아 당뇨병이 생기는 경우를 …
질병 평가 5 명
2.9
십이지장궤양(
가정의학과
)
십이지장 점막이 흡연, 스트레스, 약제, 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악성종양 등에 의해 손상되어 조직학적으로 괴사된 점막의 결손이 점막하층 이하까지 발생하는 경우를 십이지장 궤양이라고 합니다. 흔히 소화성 궤양과 동의어로 쓰이는데, 소화성 궤양은 점막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와 점막 손상을 유발하는 공격인자의 균형이 깨지면서…
질병 평가 1 명
5.0
인두통(
가정의학과
)
인두통, 인후통이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도염(급성 #비인두염#, #인두편도염#, #감기# 등)과 함께 올 수 있고 전신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전체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의 5%정도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으로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이나…
질병 평가 1 명
4.7
골감소증(
가정의학과
)
골감소증은 #골다공증#의 전 단계를 의미합니다. 환자의 골밀도를 젊은 성인의 평균값과 비교한 것을 T-값이라 하는데, -2.5 이하를 골다공증, -1.0 이상을 정상이라 하며, 이 중간인 -2.5 와 –1.0 사이를 골감소증이라 합니다. 원인 골감소증의 위험 인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청장년기에 낮게 형성된…
질병 평가 2 명
2.3
로타 바이러스 감염증(
가정의학과
)
로타 바이러스에 의한 현성 감염으로 대변-입으로 감염되는 것이 주요 전파 경로이며 약 24~72시간의 잠복기를 가집니다. #구토#와 발열, 피가 섞이지 않은 물#설사#를 초래하여 #탈수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병입니다. 주로 영유아나 아동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나 노인 병동 등에서 집단발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또한,…
질병 평가 1 명
3.0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가정의학과
)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은 외상 후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매우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신경병성 통증을 말합니다. 통증은 손상의 정도에서 기대되는 것보다 훨씬 더 강하게 발생하며 해당 손상이 해결되거나 사라졌음에도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로 팔과 다리에 잘 발생하지만 드물게는 다른 신체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
질병 평가 0 명
0.0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HIV,AIDS)(
가정의학과
)
에이즈란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의 영어 머리글자인 A, I, D, S를 따서 만든 약어이며, 우리말 명칭은 후천성면역결핍증(後天性免疫缺乏症)입니다. HIV가 사람 몸속에 침입하여 면역세포를 파괴하여 면역기능을 떨어뜨리며, 에이즈 환자의 판정 기준은 감염인의 면역세포(CD4+…
질병 평가 0 명
0.0
긴장형두통(
가정의학과
)
뒷머리와 뒷목에 뻐근하고 조이는 것 같은 통증이 있는 경우, 특히 통증이 오후나 저녁에 심해지고 잠자거나 쉬면 나아지는 경우 긴장형 두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긴장형 두통은 대부분의 사람이 생애 한번은 겪어봤을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원인 두피, 머리와 목 주위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여 발생합니다. 나쁜…
질병 평가 0 명
0.0
불명열(
가정의학과
)
원인을 알 수 없는 열이란 38℃ 이상의 발열이 3주 이상 지속되어 입원 후 1주일 동안 모든 검사를 했는데도 발열의 원인을 찾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의학적으로 열이 나는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해서 이러한 병명을 붙였습니다. 원인 열의 정확한 원인이 적절한 검사로 밝혀지지 않는 경우가 20~30% 정도 있습…
질병 평가 0 명
0.0
소아비만(
가정의학과
)
전세계적으로 소아에게 가장 흔한 영양 장애로서 매년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른 질병이 있어 비만이 생기는 경우를 병적 비만, 질병없이 생기는 경우를 단순 비만이라 합니다. 또한 #비만# 자체는 #당뇨병#, #고혈압#, #고콜레스테롤증#, 심혈관 질환 등을 유발하여 이차적으로 심각한 건강 장애를 초래합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고콜레스테롤혈증(
가정의학과
)
고콜레스트롤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이 과도하여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의 뇌, 신경, 근육, 피부, 간, 창자, 심장 등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이는 세포막을 만드는 데 중요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 호르몬, 비타민 D, 담즙산을 만드는 데 필요합니다. 원인 유전성 질환인 가족형 고콜레스테롤…
질병 평가 0 명
0.0
쇠약감(
가정의학과
)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는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데 과도한 노력이 드는 것과 동시에, 신체적으로도 근육의 힘이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합니다. 쇠약감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피로와 혼용되지만, 의학에서는 다르게 사용됩니다. 참고로, 피로는 지치고 탈진되며, 에너지가 고갈된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합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주간졸림증(
가정의학과
)
각성 상태가 기대되는 낮 시간(주간, 晝間)의 일상생활 환경에서 졸음이 오는 것을 말합니다. 자가 보고에 의한 졸음은 일반적으로 주관적이고 부정확하므로 수면다원검사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객관적으로 졸음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주간 졸림은 여러 #수면장애#, 내과적 질환, 약물 및 물질에 의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카로틴혈증(
가정의학과
)
혈중 베타카로틴의 증가로 인해 피부에 노란색의 색소 침착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원인 당근, 감자, 호박, 케일 등의 채소에 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이러한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몸 속에 카로틴이 축적되어 혈액에 과다하게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에 노란색이 돌게 됩니다. 몇몇 사람들은 …
질병 평가 0 명
0.0
열과민증(
가정의학과
)
외부의 온도상승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불편하여 더위를 못 참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열불내성이라고도 합니다. 원인 열과민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개인의 신체 조건,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체온 조절 시스템의 이상, 특정 약물의 부작용, 또는 기타 의학적 상태가 원인일 …
질병 평가 0 명
0.0
추위민감증(
가정의학과
)
신체가 추운 환경이나 낮은 온도에 비정상적으로 민감하여 추위를 못 참는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 한랭불내성이라고도 합니다. 추위민감증은 대사성 질환의 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피하지방이 극도로 적은 일부 매우 마른 여성에게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런 사람은 추위와 더위에 모두 민감합니다. 원인 추위민…
질병 평가 0 명
0.0
영양실조(
가정의학과
)
영양실조는 섭취하거나 흡수하는 에너지보다 에너지 소비가 많을 때 생기며 일차적인 원인과 이차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적인 영양실조는 주로 기근, 전쟁 등으로 식량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며 후진국에서 보이는 영양실조 형태입니다. 이차적인 영양실조는 적절한 영양 공급을 받는 사람이 급성 혹은 만성질…
질병 평가 0 명
0.0
괴혈병(
가정의학과
)
비타민 C는 식품에서 얻을 수 있는 필수 영양성분으로 우리 몸의 결합 조직들을 구성하는 콜라겐 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괴혈병은 이러한 비타민 C가 부족하여 생기는 여러 증상들을 일컫는 질병을 말합니다. 괴혈병의 원인으로는 비타민 C의 섭취 부족, 장의 흡수 장애, 세균 감염으로 인한 체내 비타민…
질병 평가 0 명
0.0
객담(가래)(
가정의학과
)
객담(가래)은 기관지나 폐로부터 생성되는 끈적끈적한 점액성 액체로서 정상인에게서도 하루에 100ml 정도 분비되지만 무의식적으로 삼키므로 객담을 느끼지 못하고 지내는 것이 보통입니다. 객담은 95%가 수분, 나머지 5% 정도가 단백질, 지질 및 무기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래의 점도는 기관지 점액의 수분 …
질병 평가 0 명
0.0
새집증후군(
가정의학과
)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은 생활 터전인 집이나 사무실 같은 건물 환경으로 인한 여러 병적 증상들을 일컫습니다. 1984년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새 건물이나 개보수된 건물의 30% 정도가 새집증후군과 연관됐을 것이라고 합니다. 비슷한 예시로 새 가구를 샀을때도 사용된 재…
질병 평가 0 명
0.0
열린
1
페이지
2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