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1,559건, 최근 0 건
전체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장 중첩증
장 중첩증이란 마치 망원경을 접을 때처럼 장의 한 부분이 장의 안쪽(내강)으로 말려 들어간 것을 말합니다. 소장 말단과 막창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장 중첩이 가장 흔하며, 소장-소장 때로는 대장-대장끼리 일어나기도 합니다. 장 중첩을 일으키는 뚜렷한 원인(멕켈 게실, 용종 등)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별다른 원인이 없…
질병 평가 0 명
0.0
소장암
소장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소화기 암의 2-3%만이 소장에서 발생할 정도로 매우 드문 편입니다. 증상은 비특이적이고 간과하기 쉬워 진단 시에 이미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소장암은 선암, 유암종, 위장관기질암, 림프종 등이 있습니다. 전체 소장암의 50%이상이 선암으로 주로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발생합니…
질병 평가 0 명
0.0
무과립구증
무과립구성 안지나(Agranulocytic angina)는 약에 의해 유발되는 드문 혈액 질환으로 혈액에서 백혈구(과립구)의 수가 심하게 감소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무과립구증(Agranulocytosis)이라고도 부릅니다. 1922년에 이 병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여 처음으로 보고한 독일의사 베르너-슐츠의 이름을 따서…
질병 평가 0 명
0.0
음낭수종
음낭수종은 음낭 안의 고환초막에 액체가 고이는 질환입니다. 초막은 고환 전체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초막 안에 액체가 고이면 음낭에서 주머니 모양의 혹(낭성종물)이 만져집니다. 초막이 고환 상부의 정삭까지 확장되면 서혜부나 음낭 상부에서 낭성종물이 만져지기도 합니다. 원인 음낭수종의 원인은 소아와 성인이 …
질병 평가 0 명
0.0
고환암
고환암은 정자와 남성 호르몬을 생산하는 남성 생식기관인 고환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합니다. 고환암의 발생빈도는 지역,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스칸디나비아 반도 국가에서는 10만 명당 6.7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10만 명당 0.45명으로 보고되어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
질병 평가 0 명
0.0
납중독
인간은 주위 환경에서 여러 가지 중독성 물질에 노출되며 현대 의학은 이러한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중금속 중독증은 심각한 임상 증상을 유발하며 치료에도 어려움이 많고 치료 후에도 정신장애를 비롯한 장기간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환경오염 물질 중 대표적인 중금속으로 잘 알려진 납은 …
질병 평가 0 명
0.0
무정자증
무정자증은 정액을 검사했을 때 정자가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남성의 1%에서 발견되며 불임 남성의 10~15%에서 발견됩니다. WHO의 기준에 의하면 정자 농도가 20x106/ml 이상을 정상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이하인 경우 감정자증으로 정의합니다. 채취된 정상 정액은 대개 2ml 이상으로 유백색의 밤…
질병 평가 0 명
0.0
페이로니병
페이로니병은 1561년 팔로피우스(Fallopius)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음경 백색막 내에 생긴 섬유화 결절이 백색막의 팽창을 방해하여 발기될 때 음경이 구부러집니다. 발기되거나 사정할 때 통증이 동반될 수 있으며, 만족스러운 성교를 방해하기도 합니다. 중년의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하고 과거에 비해 증가하는…
질병 평가 0 명
0.0
발기부전
발기부전은 성생활에 충분한 발기가 되지 않거나 유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경우 발기부전으로 정의합니다. 원인 발기부전의 원인은 고령, 흡연, 음주, #당뇨#, #고혈압#, 뇌혈관질환 등입니다. 외에 호르몬제제, 고혈압 치료제 중 일부, 향정신성 약물 등…
질병 평가 0 명
0.0
두피염
두피염이란, 교과서적으로 명시된 개념은 아니지만 머리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을 광범위하게 이르는 일반적인 표현입니다. 두피에 발생하는 소양성의 홍반성 #발진#을 일컫는 경우가 많으며 주로 #지루성피부염#, #모낭염#, 두피 백선 등이 포함됩니다. 원인 두피에 염증이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
질병 평가 0 명
0.0
잠복고환
잠복고환은 태어나기 전 고환이 음낭으로 완전히 내려오지 못한 상태를 말합니다. 잠복고환의 빈도는 미숙아나 출생 시 저체중아에서 높습니다. 1세 이후에도 고환의 정상적인 하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그 이후에는 자연적으로 내려오지 않습니다. 잠복고환의 발생에 가족력이 영향이 있다고 하지만, 직접적으로 염색체 이상이나 …
질병 평가 0 명
0.0
조루
조루란 약간의 성적 자극으로도 질 내 삽입 전, 삽입 당시, 삽입 직후 또는 개인이 원하기 전에 극치감과 사정이 반복적 혹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일부에서는 질 내 삽입에서 사정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사정을 의지대로 조절하기 힘든 상태로서 배우자와의 성행위에서 만족을 얻지 못할 정도로…
질병 평가 0 명
0.0
귀두포피염
포경이란 귀두 주위를 둘러싼 피부조직(포피륜)이 좁아 귀두 뒤로 젖혀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귀두 주변을 둘러싼 피부조직을 포피라고 하는데, 포경 상태에서 포피와 귀두에 염증이 생긴 것을 귀두포피염이라고 합니다. 이는 특별한 처치 없이 자연스럽게 낫기도 하는 국소적 피부염입니다. 소아에서 호발하며 특히 기저귀를…
질병 평가 0 명
0.0
젤웨거 증후군
젤웨거 증후군(Zellweger syndrome)은 신생아 초기에 심한 근위약, 높은 이마, 넓은 대천문, 얼굴 중부의 발육부전, 녹내장, 각막혼탁, 백내장, 관절구축, 간비비대, 점상연골발육부전을 보이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원인은 과산화소체의 형성부전으로 인한 전반적인 기능 소실 때문입니다. 과산화소체는 모든 …
질병 평가 0 명
0.0
니만피크병
니만-피크 병(NiemannPick disease)은 세망내피 세포에 지질이 축적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입니다. 1914년 독일의 소아과 의사 Albert Niemann에 의해 비대한 간과 비장, 비대해진 림프절, 붓고 검어진 피부와 얼굴 등의 증상을 지니면서 뇌와 신경계의 손상으로 6개월 이…
질병 평가 0 명
0.0
안데르센병
안데르센병(Andersen disease)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당원 축적병의 한 종류 입니다. 당원(glycogen)은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신체가 에너지를 사용할 때 단당류인 포도당으로 변환되는데, 당원 축적병은 이러한 당원 대사에 관여하는 특정 효소가 결핍되어 신체의 다양한 부분, 주로 간과 근육에 당원…
질병 평가 0 명
0.0
오멘 증후군
오멘 증후군은 심한 상염색체 열성의 중증 복합성 면역결핍증으로 표피박탈성 홍피증, 치료에 반응 없는 설사와 반복적인 #패혈증#, 림프절종대과 간비종대, 말초혈액의 호산구증가증과 혈중 총 IgE 증가, 단클론 T-세포증가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최근에는 오멘 증후군 환자들에서 염색체 11p13의 RAG1 또는…
질병 평가 0 명
0.0
핍뇨
핍뇨는 소변의 양이 생리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를 말합니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소변의 양은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며, 수분 섭취량, 땀 등에 의해 생리적 증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핍뇨란 하루 총 소변량이 400cc 미만으로 줄어드는 것을 말하고, …
질병 평가 0 명
0.0
땀띠
땀띠란,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기간 노출될 때 피부 땀관, 땀구멍이 폐쇄되어 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발생하는 작은 #발진#, #홍반#을 의미합니다. 땀띠는 폐쇄된 땀관의 위치에 따라 수정 땀띠, 적색 땀띠, 깊은 땀띠 등으로 구분되며, 아이들의 경우에는 땀샘의 기능이 원할하지 못하여 땀띠가 잘 생깁니…
질병 평가 0 명
0.0
말라리아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말라리아 원충은 얼룩날개 모기류(Anopheles species)에 속하는 암컷 모기에 의해서 전파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얼룩날개 모기(Anopheles sinensis) 암컷이 말라리아 원충을 전파시킵니다.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 모기에게 물린 후 인체에서 감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는 2…
질병 평가 0 명
0.0
테이-삭스병
테이-삭스병(Tay-Sachs’ disease)은 헥소사미니데이스 A 효소(hexosaminidase A enzyme)의 결핍으로, 뇌와 신경세포에 당과 지질성분으로 구성된 강글리오시드라는 성분이 축적되는 병입니다. 강글리오시드의 비정상적인 축적은 중추신경계의 점진적인 파괴를 유발합니다. 테이-삭스병은 1881년 …
질병 평가 0 명
0.0
타이로신증
티로신혈증이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전성 대사 질환입니다. 티로신을 분해하지 못하여 티로신과 그 대사산물이 간, 중추신경계, 신장에 축적되어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1-1) 유형 티로신혈증은 다음과 같은 세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① 1…
질병 평가 0 명
0.0
에반스증후군
에반스 증후군은 1951년에 로버트 에반스가 후천성 용혈성 빈혈과 원발성 혈소판감소증을 가진 환자들을 처음으로 보고하며 알려진 질환입니다. 질환의 첫 발현, 경과, 치료반응이 다양하며, 만성적이고 자주 재발하는 특징을 보입니다. 자가면역질환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에반스 증후…
질병 평가 0 명
0.0
판코니 빈혈
판코니 빈혈(Fanconi anemia)은 출생 시 부터 또는 아동기에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희귀 유전질환으로 적혈구, 백혈구 그리고 혈소판을 포함하는 모든 혈액 요소들이 부족하게 되는 병입니다. 그러나 일부 환자에서는 성인기까지 진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판코니 빈혈 환자는 염색체 손상을 수리하는 능력이 부…
질병 평가 0 명
0.0
전립선암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입니다. 서양의 경우 전립선암은 남성암 중 가장 흔한 암으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최근 전립선암의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원인 전립선암의 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원인은 연령, 인종, 가족력입니다. 유전적 소인 외에도 호르몬, 식이습관,…
질병 평가 0 명
0.0
절박뇨
절박뇨란 일단 소변을 보고싶어 지면 참지 못하고 심하게 요의를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즉시 배뇨하지 않으면 의지와 관계없이 배뇨가 일어나게 되는 상태는 절박요실금이라고 합니다. 일반 성인의 방광은 최대 400~500mL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는데 200~300mL가 되면 화장실에 가고 싶어집니다. 하지만 절박…
질병 평가 0 명
0.0
낭종
낭종이란 주위 조직과 뚜렷이 구별되는 막과 내용물을 지닌 주머니를 말합니다. 생기는 위치도 다양하고 몸에 미치는 영향도 경미한 것부터 극심한 고통을 유발하는 것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진단이나 치료법 역시 천차만별로 알려져 있습니다. 낭종의 피막 안의 내용물은 인체 내에서 유래된 액체 또는 반고체의 물질일 …
질병 평가 0 명
0.0
요도하열
요도하열은 남아에서 요도입구가 귀두 끝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아래쪽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요도입구의 위치에 따라 귀두부 요도하열, 음경부 요도하열, 음낭부 요도하열, 회음부 요도하열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통 출생 남아 3~500명 중 1명에게서 나타나는 비교적 빈도가 높은 선천성 기형입니다. 원인 요도…
질병 평가 0 명
0.0
야뇨증
야뇨증이란 5세 이상에서 비뇨기계에 뚜렷한 이상이 없고 낮 동안에는 소변을 잘 가리다가 밤에만 오줌을 지리는 것을 말합니다. 야뇨증은 태어날 때부터 지속되는 원발성과 최소 6개월 이상 야뇨증이 없는 기간이 있다가 발생하는 속발성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빈뇨, 요절박, 절박성 요실금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 경우 다증상…
질병 평가 0 명
0.0
요도염
요도염은 성교에 의해 전파되며, 요도 분비물, 배뇨 시 통증, 요도의 소양감(간지러움)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요도의 염증성 질환입니다. 원인균에 따라 임균성 요도염과 비임균성 요도염으로 분류하고, 급/만성 여부에 따라 급성 요도염과 만성 요도염으로 분류합니다. 원인 요도염은 성교에 의한 성교 전파성 질환이…
질병 평가 0 명
0.0
요도협착
요도협착은 방광에서 몸 밖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관(요도)이 좁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요도벽에 생긴 염증이나 흉터 때문에 발생하며, 드물지만 요도 주변에 종양이 생겨 요도가 눌리면서 좁아지기도 합니다. 원인 원인은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분류합니다. 선천성은 드물지만 남자아이에게서 발생하며, 막양부 요도에…
질병 평가 0 명
0.0
다모증
다모증은 좁은 의미에서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위에 피부 모발이 과도하게 자라는 것을 의미하며, 정상보다 털의 밀도가 높고 털의 길이가 긴 상태를 말합니다. 남성의 경우 가는 털도 굵고 진하게 나타나며,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과 같이 턱, 입술 주위, 가슴 등에 털이 나게 됩니다. 넓은 …
질병 평가 0 명
0.0
방광암
방광암은 방광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60~70대에서 주로 발생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 위험도가 3~4배 높습니다. 흡연이 가장 위험한 원인이고, 직업적으로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것도 발병과 연관이 있습니다. 진단 시 방광에만 한정된 암이 전체 방광암의 3/4을 차지합니다. 원인 방광암의 가장 주된 원인…
질병 평가 0 명
0.0
과민성방광증후군
국제 요실금학회 정의에 의하면 과민성 방광은 요로 감염이 없고 다른 명백한 질환이 없으면서 절박성 요실금(소변이 마려우면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요절박(urinary urgency;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이 있으면서 빈뇨와 야간뇨(야간 수면 시간에 …
질병 평가 0 명
0.0
복통
복부의 내장은 피부에 비하면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여러 자극에 민감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염증, 허혈, 종양의 신경 침범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복부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통은 말 그대로 복부의 통증을 말하며, 복부 장기에서 발생하는 기질적 또는 기능적 이상 및 주관적인 통증 인식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
질병 평가 0 명
0.0
복부팽만
복부 팽만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복위가 증가하는 증상으로 복강 내 장기의 질환이나 전신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 있습니다. 주관적인 복부 팽만은 흔히 가스가 꽉 찬 느낌이나 더부룩한 느낌으로 묘사되며, 실제로 복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다양한 원인으로 장내 가스가 차는 문제로 더부룩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대부분 …
질병 평가 0 명
0.0
방광결석
방광 안에 생긴 결석은 영양상태와 연관이 있어 빈곤한 나라에서 많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방광결석의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성인에게 방광결석이 생기는 가장 흔한 이유는 전립선 비대증 등으로 소변이 잘 배출되지 않고 많은 양이 방광 안에 머물기(요 정체) 때문입니다. 또한 방광의 염증 …
질병 평가 0 명
0.0
기미
기미란 얼굴 부분에 갈색 색소가 불규칙한 형태로 침착되는 것을 말하며, 눈 밑 광대뼈 부위와 이마, 코 등에 잘 생깁니다. 불규칙한 모양, 다양한 크기의 갈색 점이 노출부위, 특히 얼굴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태양 광선에 대한 노출, 임신, 경구 피임약 혹은 일부 항경련제 등에 의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얼굴 …
질병 평가 0 명
0.0
동맥류
동맥류는 동맥의 일부가 풍선처럼 늘어나는 질병으로, 동맥벽이 약해지거나 동맥 안쪽의 압력이 증가할 때 동맥의 일부가 팽창하는 것을 말합니다. 흉부대동맥, 복부대동맥 같이 주로 대동맥에 생기는데 선천적으로 동맥벽이 약해서 생길 수 있으며, 후천적으로 동맥벽이 경화되거나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후천적으…
질병 평가 0 명
0.0
흑색조갑증
손발톱의 일부 또는 전부가 멜라닌 세포의 증식 또는 멜라닌 색소의 증가로 인해 갈색, 회색 또는 흑색으로 변한 것을 말합니다. 원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멜라닌세포의 증식을 보이는 멜라닌세포 모반 또는 단순흑색점 및 멜라닌세포 활성화(Activation)에 의해 발생합니다. 항암치료,…
질병 평가 0 명
0.0
발목 터널 증후군
족근관은 족관절 내과 후방에 위치하며 굴건 지대(Flexor retinaculum)가 지붕으로, 바닥에는 거골, 종골 및 원위 경골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유골성 터널입니다. 족근관 내에는 후경골건, 장족지 굴곡건, 후경골 동맥 및 정맥, 후경골 신경 및 장무지 굴곡건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족근관 증후군은 굴…
질병 평가 0 명
0.0
후두암
후두란 호흡, 기도보호, 발성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성문상부(supraglottis), 성문부(glottis), 성문하부(subglottis)로 나뉩니다. 후두암이란 후두에 생긴 암 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덩어리)입니다. 후두암의 95~98%는 편평 상피암종이며, 성대 또는 성문(성대 사이에 있는 좁은 틈)에 발…
질병 평가 0 명
0.0
파파증후군
발열이 반복적, 주기적으로 발생하면서 아프타 #구내염#과 #인두염#, 경부 림프절염이 동반되는 임상 증후군입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으며, 다만 염증조절복합체의 단백질을 부호화하는 유전자의 변이로 인한 사이토카인 과분비가 배경 기전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증상 대부분의 환자에서 만…
질병 평가 0 명
0.0
편도암
보통 편도암이라고 하면 구개편도에 생기는 암을 말하는데, 구강내 목젖의 양측으로 있는 구조물인 구개편도에서 발생한 악성종양입니다. 조직학적으로는 상피성암종이 가장 흔합니다. 원인 편도의 상피성 암종의 중요한 위험요인은 흡연과 음주입니다. 그리고 이 둘은 서로 발암에 있어 상승작용을 합니다. 최근 인유두종바…
질병 평가 0 명
0.0
혈관종
발생 단계에 있는 미분화한 모세혈관그물이 정상 혈관으로 발전하지 못해서 생긴 것을 혈관종이라고 합니다. 혈관종이란 혈관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식, 확장하여 뭉쳐서 덩어리를 이룬 것입니다. 피부나 위장관 등 신체의 다른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간 혈관종이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즉, 혈관종은 흔한 양성종양…
질병 평가 0 명
0.0
혈관염
혈관염은 혈관벽의 염증과 이에 따른 조직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혈관벽에 염증이 발생하면 이 혈관을 통해 영양 공급을 받던 조직에도 허혈이 일어나 결국 조직 손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신체 내 모든 형태의 혈관과 모든 장기의 혈관이 침범될 수 있으므로 침범된 혈관의 위치와 특성에 따라 증상 및 증후가 매우…
질병 평가 0 명
0.0
연하곤란
보통 음식을 삼키거나 물을 마실 때 정상적으로는 아무런 감각이나 저항 없이 입에서부터 위장까지 쉽게 통과하는데, 음식이 지나가는 감각이 느껴지거나 음식이 식도 내에서 내려가다가 지체되거나 중간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는 것을 연하곤란이라고 합니다. 연하곤란은 인두로부터 식도를 거쳐 위 분문부(입구부위)에 이르…
질병 평가 0 명
0.0
연하통
음식물이 지나가는 경로인 인두나 식도에 염증이나 궤양이 생겨, 음식물이나 침을 삼킬 때 통증을 느끼는 것을 연하통이라 합니다. 음식물이 잘 안 삼켜지는 #연하곤란#(삼킴장애)과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하지만, 통증은 있으나 삼키는 것 자체에는 문제가 없는 경우도 많아 일반적으로 따로 나누어 쓰입니다. 원인 연…
질병 평가 0 명
0.0
수면무호흡증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자는 중에 숨을 쉬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한동안 숨이 막혀 컥컥거리다가 한계점이 지나면 ‘푸’하고 숨을 몰아 쉬는 모습이 보입니다.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는 횟수가 시간당 5번 이상이면 심각한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성대마비
정상적인 성대는 숨을 쉴 때는 열려 공기가 원활하게 허파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 말을 할 때는 양측 성대가 모아져 닫힌 상태가 되는데, 허파에서 공기가 내쉬어지면서 성대가 떨리는 과정을 거쳐 목소리가 나오게 됩니다. 성대 마비란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 성대가 움직이지 않아 숨을 쉴 때는 성대가 완전히 열리지…
질병 평가 0 명
0.0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열린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