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1,559건, 최근 0 건
전체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색소성양진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홍반성 구진이 갑자기 발생하고 호전 후에 그물모양의 색소침착이 나타나는 비교적 드문 피부 염증성 질환으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 경과를 보입니다. 원인 자가면역질환은 면역 체계가 정상 조직을 공격하는 질환으로, 면역 체계가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염증과 가려움을 유발하는 것으로…
질병 평가 0 명
0.0
가시털정체증
모낭이 까만 점 모양으로 보이는 것으로, 확장된 모공 안에 솜털 덩어리들과 각질로 차는 질환입니다. 원인 하나의 털 기질에서 유래한 여러 개의 휴지기 모발들이 정체되어 발생합니다. 발생 원인으로는 모낭의 이형성증과 더불어 먼지, 기름 자외선 열, 자극성 등의 외부 요인도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증…
질병 평가 0 명
0.0
두부백선
두부백선은 머리털이 마이크로스포룸과 트리코파이톤 같은 백선균에 감염되어 생긴다. 백선균은 직접 접촉에 의해 전염되며 모자 등을 통해서도 옮을 수 있다. 두부백선이 생기면 두피에 여러 크기의 원형이나 타원형의 #발진#이 생기며 비늘처럼 생긴 각질이 일어나게 된다. 또 이 부분의 머리털은 쉽게 끊어지고 빠져 부분적으로…
질병 평가 0 명
0.0
후두개염
후두개란 혀가 끝나고 후두 가 시작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덮개처럼 생긴 구조물을 말합니다. 후두개는 숨을 쉴 때는 열려 있다가 음식물을 삼킬 때는 기도를 덮어 주어 음식물이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합니다. 급성 후두개염이란 세균 감염에 의해 후두개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며, 후두개가 붓게 되…
질병 평가 0 명
0.0
기도과민증
기도과민성이란 다양한 외부 자극에 대해 기도가 과도하게 반응하여 쉽게 수축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기관지#천식#의 특징 중 하나로 기도의 만성 염증의 결과로 나타나게 되며 좁아진 기도는 치료를 하거나 원인 요인이 사라지면 다시 좋아지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원인 알레르기 원인 물질에 노출될 때 기도가 과민하게 …
질병 평가 0 명
0.0
테트라 아멜리아 증후군
테트라 아멜리아 증후군(Tetra-amelia syndrome)이란 양측 팔과 다리가 없는 것이 특징인 매우 드문 유전 질환입니다. ‘테트라’란 그리스어로 4란 뜻이고, ‘아멜리아’란 팔다리의 태생적 발달 장애를 의미합니다. 상염색체 열성(autosomal recessive) 유전입니다. 이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
질병 평가 0 명
0.0
종격동염
종격염이라고도 합니다. 흉부의 종격동에 생기는 염증으로, 대부분 식도의 파열이 원인이며, 급성과 만성이 있습니다. 급성인 경우 식도암이나 이물질을 잘못 삼킨 것이 원인으로, 식도에 구멍이 생기고 세균에 감염된 음식이 종격을 오염시켜 급성 염증이 일어납니다. 급성이 만성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만성은 급성보…
질병 평가 0 명
0.0
마른익사
익사(溺死)는 액체가 기도로 흡인되어 질식해 사망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질식입니다. 기도를 폐쇄하는 데에는 소량의 물로도 충분하므로, 물에 완전히 빠지는 수준이 아니더라도 익사할 수 있으며 이중 마른 익사는 물속에서 삼킨 물로 인해 물 밖에서 질식하는 현상입니다. 마신 물의 일부가 폐로 들어가 염증과 수축을 일…
질병 평가 0 명
0.0
재발성 천명
재발성 천명은 1년에 한번 이상 주기적으로 천명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천명음은 기도가 좁아져서 호흡을 할 때 쌕쌕 거리거나 그렁그렁한 호흡음이 나타납니다. 기도가 완전히 막히면 소리가 들리지 않지만 기도가 부분적으로 막힐 경우 공기가 좁은 부분을 통과하면서 날카롭고 거칠거나 덜거덕거리는 소리가 나게 됩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농흉
농흉은 흉막액이 화농성이거나 또는 흉막액에서 세균이 검출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농흉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나, 가장 흔한 원인은 박테리아 감염입니다. 특히 폐렴이나 급성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감염기 농흉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흉부 수술, 가슴 부상, 또는 다른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농…
질병 평가 0 명
0.0
아스페르길루스증
Aspergillus fumigatus 외에 Aspergillus의 수종에 의해서 야기되고 호흡기, 외이(外耳), 손톱, 각막 등을 침범하는데, 중증질환의 말기 또는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억제제의 사용례 등에는 전신감염을 일으키는 수가 있습니다. 호흡기의 본증에서는 혈담이나 각혈외에 균괴(菌塊)를 각출하는 것이 특…
질병 평가 0 명
0.0
공기색전증
혈관계로의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혈류를 막음으로, 혈류를 공급받아야 되는 장기에 기능 부전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환을 통칭합니다. 이 기포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으로 들어가 막는다면, #심근경색#(myocardiac infarction)을 일으키며 심정지(cardiac ar…
질병 평가 0 명
0.0
리케치아 감염증
살아있는 세포내에서 증식하는 리케차(rickettsia)가 리케차 감염증의 원인 미생물입니다. 리케차 감염증에는 리케차를 전파하는 매개충이 있다는 특성이 있으며 대부분 이(louse), 벼룩(flea), 진드기(mite)를 통해서 전파됩니다. 리케차에 감염된 동물들을 리케차 보유동물이라고 부르고 쥐와 같은 설치류가…
질병 평가 0 명
0.0
코넬리아드랑게 증후군
코넬리아드랑게 증후군(Cornelia de Lange Syndrome)은 성장 지연, 정신 지체, 다모증, 골격 및 외모 이상과 같은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희귀 유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1933년 네덜란드 의사 코넬리아드랑게(Cornelia de Lange)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고, 1916년 W.브라흐만(W…
질병 평가 0 명
0.0
파브리병
Fabry에 의해서 최초로 기재된 선천성 당지질 대사이상으로 유전성 질환으로 반성열성유전(반性劣性遺傳)을 나타내며 남성에게 나타납니다. 피부에 피각혈관종이라고 하는 특징 있는 피진(皮疹)이 생기며, 사지근통, 신장기능장애를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원인은 ceramide hexoside라고하는 당지질이 혈관벽, …
질병 평가 0 명
0.0
곰보
곰보는 #천연두# 등의 전염병이나 #여드름#과 같은 피부병을 앓은 후 얼굴에 발생된 흉터가 남아 있는 피부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유전적 요인, 호르몬 변화, 자외선 노출, 여드름 흉터를 비롯한 피부 손상 등이 곰보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카로틴혈증
혈중 베타카로틴의 증가로 인해 피부에 노란색의 색소 침착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원인 당근, 감자, 호박, 케일 등의 채소에 카로틴이 풍부하게 들어있습니다. 이러한 음식을 지나치게 섭취할 경우 몸 속에 카로틴이 축적되어 혈액에 과다하게 존재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부에 노란색이 돌게 됩니다. 몇몇 사람들은 …
질병 평가 0 명
0.0
파라티푸스
파라티푸스는 특정 살모넬라균의 아종(Salmonella enterica serovariant paratyphi A, B, C)에 감염되어 발생하며 전신의 감염증 또는 #위장염#의 형태로 나타나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장티푸스#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지만 증상의 강도나 경과가 더 가볍고 사망률도 훨씬 낮습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사르코이드증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신적 염증 질환을 뜻합니다. 이 염증은 비괴사성 육아종을 특징으로 하는데, 육아종이란 여러 세포가 뭉쳐 만든 염증 조직을 말합니다. 이전에 유육종증이라고 불렸으나 사르코이드증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폐를 가장 흔히 침범하고 이 외에 간, 콩팥, 피부, 눈 등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임상적 경…
질병 평가 0 명
0.0
난소과자극증후군
난소과자극증후군은 과배란 유도를 위해 투여한 생식샘자극호르몬에 의해 동시에 여러 개의 난포가 성장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 혈관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물질 분비가 증가하여 체액이 혈관 외 공간에 축적되어 발생합니다. 원인 젊은 여성일 경우 발생 빈도가 높으며, 혈중 에스트로겐이 매우 높거나 체외수정술 …
질병 평가 0 명
0.0
고사난자
고사난자는 초음파 상 임신 낭은 확인되지만 배아(태아)가 보이지 않는 경우입니다. 단, 임신 주수가 이르면 정상 임신임에도 태아가 보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임신 주수를 계산하고, 이전 초음파 결과와 임신 낭의 크기 등을 참고하여 진단해야 합니다. 원인 원인으로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주로…
질병 평가 0 명
0.0
규폐증
규폐증은 규사 등의 먼지가 폐에 쌓여 흉터가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규사 먼지는 다른 먼지 입자와 달리 폐 조직 내에서 강한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염증이 두터워지며, 이는 나중에 흉터로 변하여 산소 공급에 이상을 초래합니다. 담배를 피우는 경우 증상이 더 빨리, 더 심하게 악화됩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취한증
인체에는 아포크린 샘과 에크린 샘이라는 두 가지 종류의 땀샘이 존재하는데, 액취증이란 주로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피부 표면에서 그람 양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피부에서 악취가 나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 아포크린선의 분비가 정상적인 사람보다 과다할 경우 땀이 체표면으로 흘러나와 피부에 서식하는 …
질병 평가 0 명
0.0
양안격리증
눈동자와 눈동자 사이의 거리가 아니고 안와(眼窩:눈을 감싸고 있는 뼈)와 안와 사이의 거리가 넓은 경우를 말합니다. 선천성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교통사고 등의 외상으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원인 그 원인으로는 눈의 안쪽을 가리고 있는 주름이 정상범주보다 양이 많은 경우, 눈의 안쪽을 지지하고 있는 인대가 손…
질병 평가 0 명
0.0
두개 유합증
두개 유합증이란 뇌를 싸고 있는 머리뼈의 봉합선이 조기에 붙어서 정상적으로 발육하지 못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겉으로 머리뼈(두상)의 모양이 이상한 정도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고, 얼굴뼈와 눈 모양의 변형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여러 개의 뼈가 복합적으로 붙고 얼굴뼈와 손가락, 발가락 등의 기형이 동반되는 증후군의 …
질병 평가 0 명
0.0
두개 안면 부조화
두개 안면 기형은 머리와 얼굴뼈가 비정상적인 모양으로 발달하는 질환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머리뼈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하여 생기는 질환으로는 두개 조기 유합증과 자세성 사두증 등이 있습니다. 안면(얼굴뼈)이 비정상적으로 발생, 발달하여 생기는 질환으로는 #반안면왜소증#(비대칭 얼굴), #안면열#(얼굴 갈림증)이 있습니…
질병 평가 0 명
0.0
이루증
이루증은 외이도에서 분비물이 흘러나오는 증상을 말합니다. 원인 이루증은 외이도 염증이 있을 때, 급성 중이염 초기일 때, #감기#에 걸렸을 때, 그 외 다른 이유로 외상을 입었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 이루증의 주된 증상은 분비물이 나오는 것입니다. 귀를 만질 때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른…
질병 평가 0 명
0.0
낭포성 히그로마
일반적으로 신생아에게 통증이 없는 종양으로 나타납니다. 환자의 90% 정도는 2세 이전에 나타나는데, 낭종이 큰 경우에는 기도를 압박하며 #호흡곤란# 증세가 나타나거나 연하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원인 터너 증후군과 같은 염색체 결함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산모의 바이러스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질병 평가 0 명
0.0
림프절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급성은 임상적으로 비화농성(非化膿性) ·화농성 ·화농성 봉와직염성(化膿性蜂窩織炎性) 등으로 구별합니다. 원인균은 보통 포도상구균 ·연쇄구균이며, 서혜림프절은 외음부의 연성하감 ·#임질# 등인 경우에도 현저하게 종창하고 통증이 있는 횡현(橫痃)이 일어납니다. 원인 급성 림프절염은 말…
질병 평가 0 명
0.0
ARC 증후군
ARC 증후군은 선천성 관절굽음증(arthrogryposis), 신 세뇨관 기능이상(renal tubular dysfunction), 담즙 정체(cholestasis)를 3대 증상으로 보이는 유전질환입니다. ARC 증후군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며, 100만명당 1명꼴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질환입니다. 원인…
질병 평가 0 명
0.0
스터지웨버 증후군(뇌막 혈관종증)
스터지 웨버 증후군은 혈관종증이 뇌막 및 안면 신경을 침범하는 질환입니다. 대개 한쪽 대뇌를 침범합니다. 혈관종증이 침범한 쪽의 삼차신경이 분포하는 얼굴에 포도주 빛의 모반이 나타납니다. 뇌막의 혈관종은 대뇌피질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원인 GNAQ 유전자의 체성 돌연변이와 스터지웨버 증후군 발생 간에…
질병 평가 0 명
0.0
댄디워커증후군
댄디워커 증후군은 제4뇌실의 확장 및 소뇌 발달 부전을 보이는 매우 드문 선천적 기형 질환을 의미합니다. 1914년 댄디(Dandy)와 블랙펀(Blackfan)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습니다. 제4뇌실의 출구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 있어 뇌척수액의 흐름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제4뇌실이 확장되어 있습니다. 소뇌…
질병 평가 0 명
0.0
흡수장애 증후군
어떤 원인에 의해 소장에서 영양소의 흡수가 장애를 받아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흡수장애에 의해 저영양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한해서 말합니다. 원인 흡수장애 증후군은 장관 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담관이 막혀서 담즙이 나오지 못하거나 만성 #췌장염#으로 인하여 췌장 소화액 분…
질병 평가 0 명
0.0
카롤리 증후군
카롤리병은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의 이동 통로인 담관에 주머니 모양의 낭이 다발성 및 분절형으로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카롤리병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 질환은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순형은 상염색체 우성 양상을 보입니다. 복합형은 상염색체 열성 …
질병 평가 0 명
0.0
충수암(맹장암)
전반적으로 충수의 종양은 적으나, 그 중에서는 암이 비교적 많습니다. 20세~30세대의 여성에게 호발하지만, 발육은 늦고 전이도 적습니다. 원인 충수암은 장내에 있는 세균이 충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인두염 #폐렴# 등을 앓을 때 세균이 혈액으로 들어가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폭음, 폭식, #감기#,…
질병 평가 0 명
0.0
혼수
혼수란 외부 환경의 자극에 의식적인 반응이 나타나지 않고 자발적인 신경 활동이 없어진 깊은 무의식의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두부 손상이나 종양, 감염 같은 질환, 독소 침입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원인 혼수 및 의식 혼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병적인 변화(혹은…
질병 평가 0 명
0.0
익수
익사는 물이나 다른 액체에 침수하여 질식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익수는 물에 빠진 후 일시적이라도 환자가 생존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차성 익사는 물에 빠진 후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수분에서 수일 내에 사망한 것을 말합니다. 원인 익수를 유발하는 가장 일반적인 요인은 알코올 중독, #간질#이나 #부정맥# 등의 …
질병 평가 0 명
0.0
독성 쇼크 증후군
갑작스런 #고열#, #구토#, #설사#, 근육통에 이은 저혈압, 심한 경우에는 쇽을 일으키는 중증질환으로, 급성기에는 피부, 특히 손바닥, 발바닥의 탈피와 함께 햇빛에 그을린 것 같은 반점을 나타냅니다. 이 질환은 대개 탐폰을 사용하는 월경중의 여성에게 발생한다. 이것은 황색 포도상구균의 감염에 의한다고 생각됩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기뇌증
기뇌증은 뇌에 공기가 들어가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뇌에는 공기가 없어야 하는데, 어떤 요인으로 인해 뇌에 공기가 들어가 뇌혈관이 막히거나 뇌조직이 압박될 수 있습니다. 두개강 내 공기 위치에 따라 뇌내, 뇌실내, #지주막하#, 뇌경막하 기뇌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질…
질병 평가 0 명
0.0
황반천공
황반천공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부의 중심에 망막 조직의 결손으로 인해 구멍이 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중심 시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황반천공은 젊은 사람의 경우 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별다른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이 많습니다. 증상 황반에 구멍이 뚫리면 바로…
질병 평가 0 명
0.0
안검염
눈꺼풀의 피부와 속눈썹 부위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마이봄선(Meibomian gland)이라는 기름샘과 속눈썹에 염증이 생겨 증상이 유발됩니다. 원인 마이봄샘 기능장애, 알러지성 변화, 포도알구균/모낭충 등의 감염, 지루성 #피부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피지샘암이 눈꺼풀테두리를 침범한 경우 눈…
질병 평가 0 명
0.0
설맹
설안염(雪眼炎)이라고도 합니다. 태양이 쬐는 설원을 장시간 보고 있을 때 일어납니다. 가벼운 경우는 눈이 부시고 아파 눈물이 나오고 눈을 뜰 수 없습니다. 각막 표면에 혼탁이 생길 때도 있습니다. 원인 설맹은 태양의 자외선이 설원에 반사되어 눈의 수정체를 자극하여 발생합니다. 증상 대개 자외선을 쬔 …
질병 평가 0 명
0.0
마르판 증후군
마르판 증후군은 1896년 프랑스의 의사 장 마르팡(Jean Marfan)이 처음 보고하면서 알려진 선천성 질환입니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근골격계, 심혈관계 및 눈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유전병입니다. 원인 마르판 증후군은 15번 염색체 장완에 위치하는 fibrillin 유전자(F…
질병 평가 0 명
0.0
유루증
눈물흘림증이라고도 합니다. 눈물이 넘쳐 흘러서 눈 밑이 젖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세균의 성장에 좋은 조건이 형성되어 쉰듯한 냄새의 원인이 되고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원인 소아의 눈물흘림은 <선천적 코눈물관 폐쇄>라고 합니다. 코눈물관의 코 쪽 끝부분 막이 열리지 않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태어나…
질병 평가 0 명
0.0
가성근시
#근시#란 먼 곳을 볼 때 눈으로 들어간 빛의 초점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것입니다. 가성근시란 일반적인 근시와는 다르게 눈의 조절력(망막에 상이 잘 맺히도록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하여 굴절력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증가하는 과정이 일정기간 과도하게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근시상태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 가성…
질병 평가 0 명
0.0
로베증후군
로베증후군은 눈, 중추신경계 그리고 신장의 침범을 특징으로 합니다. 모든 남자 신생아에서 선천성 백내장이 동반되어 있으며 약 50%정도에서 영아기에 녹내장도 관찰됩니다. 출생 시부터 근육긴장저하가 동반되며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지적장애도 나타납니다. Fanconi 형태의 신세뇨관 기능장애로 인한 다양한 임상/검사 …
질병 평가 0 명
0.0
굿파스쳐증후군
굿파스쳐증후군(Goodpasture‘s syndrome)은 1958년 비전형 감염의 합병증으로 객혈과 급성사구체신염을 보인 환자를 처음 보고했던 굿파스쳐 박사를 기리기 위해 붙혀진 이름으로, 항사구체기저막병(anti-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anti-GBM disease)…
질병 평가 0 명
0.0
골덴하 증후군
골덴하 증후군은 주로 머리와 얼굴, 척추에 기형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태어날 때부터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광대뼈, 턱, 입, 귀, 눈, 그리고 척추의 기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질환의 매우 다양한 질병의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다양한 명칭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넬슨증후군
쿠싱증후군의 부신적출술 후 수년 내에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생산하는 뇌하수체종양에 의한 질환입니다. 1950년에 D.H. Nelson이 발표하였습니다. 쿠싱증후군은 하수체에서의 ACTH분비 과잉으로 부신에서 코르티졸분비가 증가하는 병태인데 임상적으로 뇌하수체에 종양이 나타나는 증례는 10% 정도입니다. 그…
질병 평가 0 명
0.0
근육긴장이상증
근육긴장이상은 지속적인 근육 수축에 의해 신체의 일부가 꼬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이나 비정상적인 자세를 보이는 등의 증상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원인 근육긴장이상증은 특발성 근 긴장 이상증(idiopathic dystonia)과 2차성 또는 증후성 근 긴장 이상증으로 구분됩니다. 전자는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것…
질병 평가 0 명
0.0
처음
이전
21
페이지
22
페이지
열린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