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1,559건, 최근 0 건
전체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심실세동
심실세동이란 심장의 전기 전도계에 문제가 생겨서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박동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실제로는 심장이 떨리기만 할 뿐 혈액을 뿜어내지 못합니다. 심실세동은 심장이 바로 정상적인 리듬을 되찾지 못하는 경우 생명이 위험해지는 응급 질환입니다. 수분 내에 치료를 받지 않는다면 사망하거나 혹은 영구적인 손상을 …
질병 평가 0 명
0.0
심장종양
심장에 발생한 종양을 심종양, 심장종양이라고 합니다. 원인 심장종양은 대개 양성종양입니다. 악성종양인 경우에는 심장자체에 암이 발생한 경우도 있고 다른 곳에 생긴 암이 심장으로 전이한 경우도 있으나 심장에서 발생하는 경우보다 전이가 되어 심장에 암이 생기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증상 증상은 대체로 종…
질병 평가 0 명
0.0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은 심실대혈관 연결이상의 한 유형으로 심장의 양대혈관, 즉 대동맥과 폐동맥이 모두 우심실과 연결되어 있는 선천성 심장 기형 질환입니다. 선천성 심장 기형의 약 1%를 차지하며, 한국의 경우 1.2~2.5% 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원인 심혈관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부…
질병 평가 0 명
0.0
폐 혈전색전증
폐 혈전색전증은 폐동맥 혈관 가지가 핏덩어리(혈전)로 막힌 현상입니다. 핏덩어리는 대부분 다리의 굵은 정맥에서 생기게 되며 이 핏덩어리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져 나와 폐에 있는 작은 혈관을 막게 됩니다. 폐동맥 가지가 핏덩어리로 막히면 그 주변의 폐에 공기가 들어가도 기체 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핏속에 산소가 부…
질병 평가 0 명
0.0
폐성 고혈압
폐성 고혈압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 폐동맥 혈압이 상승하는 질환입니다. 평균 폐동맥압이 25mmHg 이상인 경우 폐성 고혈압으로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20대에서 40대 사이의 환자가 많으며,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1.7배 정도 많습니다. 원인 대부분에서 발병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담도 폐쇄
담관이 어떤 이유에서든 전체 혹은 일부분이 폐쇄된 질환을 담도폐쇄라고 합니다. 여기서 담도란 간관, 담낭관, 담낭, 총담관을 모두 포함한 것을 말합니다. 원인 후천적인 경우 담석이나 종양에 의한 경우가 많습니다. 선천적인 경우에는 아직 그 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여아가 2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
질병 평가 0 명
0.0
가막성 대장염
가막성대장염은 항생제를 투여 받은 사람들 일부에게 나타나며, 소장과 대장의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원인 장내에는 정상균들이 상주하며, 다른 균들의 번식을 억제하는데,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으로 정상적인 박테리아가 대부분 죽게 되는 경우 장내 상주하였던 일부 박테리아 균들만이 살아남아 번식하여 장염을 일으킵…
질병 평가 0 명
0.0
장염전
장염전은 장이 서로 꼬여서 막히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꼬인 장에서 혈액의 순환이 원활치 않게 되므로 빠른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염전이 일어난 부분이 썩을 수도 있습니다. 발생할 수 있는 부위로는 소장, 회장, S상 결장, 위장, 맹장 등이 있습니다. 원인 영아에게 자주 발생하는 장염전은 선천적으로…
질병 평가 0 명
0.0
복수
복수란 혈액 중의 액체성분의 일부가 혈관 벽으로부터 빠져나와 복강 내에 수분이 고여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정상적으로 복강 내에는 약 50mL정도의 유출액이라는 액체가 있습니다. 복수는 이러한 정상적인 용량이외에 복강 내에 과량의 체액이 축적되는 것입니다. 원인 복수의 대부분(약 85%)은 간경변증의 합병증…
질병 평가 0 명
0.0
경추관 협착증
경추관 협착증이란 경추부분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을 말하며, 어떤 원인에 의해 척추관 또는 척추사이 구멍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되어 목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팔과 다리 저림 등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원인 대부분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척추관이 좁아져서 발생합니다. 척추관이 좁아지면 신경…
질병 평가 0 명
0.0
근이양증
근이양증이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유전성 근육질환을 통징하여 말합니다. 원인과 양상에 따라 뒤시엔느(Duchenne)형 근이양증, 벡커(Becker)형 근이양증, 팔다리이음근이양증, 근육긴장 근이양증 , 눈인두 근이양증 등으로 나눕니다. 원인 뒤시엔느(Duchenne)형과 벡커(Becker)형 근이양증은 X염…
질병 평가 0 명
0.0
시신경염
시신경염은 시신경의 염증, 감염, 탈수초화(신경섬유를 싸고 있는 수초가 여러 가지 이유로 손상되어 없어짐)에 의해 시력이 감소하고 시야의 장애가 생기며, 눈 주위 통증이 발생하고 색각이 떨어지는 질환을 말합니다. 특발성 시신경염의 경우 시신경염 발생 후 수 주 정도 지나면 시력과 시야, 색각저하 등의 기능이 상당히…
질병 평가 0 명
0.0
보툴리눔독소증
보툴리눔독소증은 보툴리눔균(Clositir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신경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보툴리눔이라는 용어는 소시지를 뜻하는 라틴어 보툴루스(Botul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19세기 초 유럽에서 식중독에 걸린 후 마비가 발생하여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1820년 독…
질병 평가 0 명
0.0
폴리오바이러스 감염증
폴리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원인 폴리오바이러스는 환자의 분변(대변)이 경구로 전파되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증상 잠복기는 대개 7-10일 정도이며, 24%에서 발열, 두통, 인후통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임상 증상은 불현성 감염이나 비특이성 열성 질환이 대부분이며, 드…
질병 평가 0 명
0.0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us)는 피코르나바이러스과(Picornaviridae family)에 속하는 외피가 없고(non-envelopled) 양성의 단일 가닥(positive sense single-strand) RNA 바이러스입니다. 엔테로바이러스는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 A형 콕사키바이러스(…
질병 평가 0 명
0.0
늘어지는 영아증후군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은 출생 직후 또는 어린 영아기에 전신적인 근긴장도 저하가 나타나는 여러가지 질환군을 의미합니다. 근긴장도는 근육을 수동적으로 펴려고 할 때 발생하는 저항의 세기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원인 근긴장도가 저하된 경우에는 근력 또한 저하되는 경우가 많지만 항상 동반되지는 않습니다. 중추신경…
질병 평가 0 명
0.0
주혈흡충증
주혈흡충증은 주혈흡충(Schistosoma haematobium, S. mansoni, S. japonicum, S. mekongi, S. intercalatum) 감염에 의한 질환입니다. 원인 주혈흡충에 감염된 패류(달팽이)에서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유미유충(cercariae)이 물 속으로 배출됩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노인 보행장애
정상적인 보행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전제되어야 하는 것이 균형 감각인데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시각, 청각, 고유수용성 감각, 하지의 근력 등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이러한 균형 능력이 감소하면서, 신경학적인 문제가 없고 동반된 질환이 없다고 하더라도 보행의 변화가 오게 됩니다. 보행의 폭은 줄…
질병 평가 0 명
0.0
노인 삼킴장애
음식을 입으로 먹는 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큰 즐거움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음식을 먹고 마시는 것에 아무런 어려움이 없으며 자연스럽게 음식을 삼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삼킴 장애가 있을 경우, 전신 건강 상태에 크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 제한을 가져오며, 전반적인 삶의 질에 나쁜 영향을 미…
질병 평가 0 명
0.0
특발성 건막염
건막염은 평생 누구나 몇 번씩은 경험할 정도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합니다. 건막염에는 세균에 의한 것과 비 세균성인 것이 있는데 이 중에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특발성 건막염이 대부분입니다. 이들은 가벼운 외상에 의해 반흔 조직이 형성되어 발생하거나, 건과 그 가까운 조직에 마찰이 증가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됩니…
질병 평가 0 명
0.0
류마티스 건막염
건을 둘러싸는 활액막이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면 이 부위는 부어오르면서 통증이 유발됩니다. 이때 건의 활주가 방해를 받을 수도 있고, 또한 건을 약화시켜 건의 자발적 파열을 야기하는 일이 흔합니다. 류마치스 건막염은 주로 손목의 후방, 손목의 전방, 그리고 수지의 전방에 발생합니다. 원인 비세균성 및 비종양성…
질병 평가 0 명
0.0
통풍성 건막염
통풍은 요산이 관절 주위에 침착되어 염증과 통증을 야기하는 질환입니다. 또한 요산 침착으로 인한 신장이나 심혈관계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어 내과적 관찰도 필요로 합니다. 손에서는 결절의 침착 없이 발생하는 건막염이 흔하나, 건과 관절에 요산 결절이 침착되는 경우도 흔히 나타납니다. 결절이 없는 경우에는 감염성 #…
질병 평가 0 명
0.0
감염성 건막염
건막 내에 생기는 감염은 화농성 건막염, 감염성 건막염 혹은 화농성 건과 활액막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조기에 발견해서 치료하지 않으면 손의 불구를 유발하는 일이 생기게 됩니다. 원인 원인은 건막 내부가 길게 연결되어 있으면서 좋은 배양액이 되는 활액으로 차 있어, 감염이 짧은 시간에 건 전장에 걸쳐 파급…
질병 평가 0 명
0.0
광동주혈선충증
광동주혈선충증은 광동주혈선충(Angiostrongylus cantonensis) 감염에 의한 질환입니다. 원인 광동주혈선충증은 주로 광동주혈선충의 중간숙주(조개 등의 담수산 패류와 민달팽이)나 운반숙주(새우, 게, 개구리 등)를 덜 익혀 먹을 경우 감염됩니다. 때로는 유충으로 오염된 채소를 섭취하거나 물을 …
질병 평가 0 명
0.0
결장암
결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결장암이라고 합니다. 결장암의 대부분은 선암, 즉 점막의 샘세포에 생기는 암이며, 그 밖에 림프종, 악성 유암종, 평활근육종 같은 것이 생길 수 있습니다. 원인 50세 이상의 연령에서 식이, 신체활동의 부족, #비만#, 음주, 유전적인 요인, 선종성 용종, 장질환 등에 의해 발생하…
질병 평가 0 명
0.0
국소결절증식증
흔한 양성 간 종양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는 무해합니다. 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암성 종양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증상이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일부 양성 간 종양은 커질 수 있습니다. 원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가족력이 있거…
질병 평가 0 명
0.0
가성점액종
위 점액종 (가성 점액종)이란 복강 내 여러 암이나 종양에서 젤리와 같은 점액이 분비되어 복강 내에 점액이 고인 현상을 말합니다. 여러 암이나 종양에서 위점액종이 유발될 수 있지만, 대부분 #충수돌기암#(충수돌기는 일반적으로 맹장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같은 소화기 계통에서 발생하며 드물게 #난소암#, 경계성 #난소…
질병 평가 0 명
0.0
정자 이상
일반적으로 정상 정액은 1.5㎖ 이상의 양, 40% 이상의 운동성, 15x106/㎖ & 39x106/회 이상의 정자수, 엄격한 기준의 정상 형태인 정자가 4%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정자의 수가 15x106/㎖ 이하를 #정자부족증#이라고 하고 정액검사에서 정자가 보이지 않는 경우 #무정자증#이라 합니다. 원…
질병 평가 0 명
0.0
신우요관폐색
신우 요관 폐색이란 신장의 일부인 신우와 방광을 연결하는 요관이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막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선천적으로 아기가 자궁에서 성장하는 동안 신우 요관 폐색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관과 신우 사이의 연결이 좁아져 신장의 손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신생아에서 많이 발견되지만 아동이나 성인에서 발생할…
질병 평가 0 명
0.0
방광요관역류
방광요관역류란 방광에 소변이 모이는 동안이나 소변을 보는 동안 소변이 방광에서 요관으로 거꾸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 정상적으로는 요관과 방광의 이행부에 항역류 기능이 있으나 선천적으로 형태적 기형이 있거나 방광 기능에 이상이 있는 경우 그리고 후천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 방광 요관 역류가 발생할 수 …
질병 평가 0 명
0.0
부신암
부신암은 부신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부신 암세포는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진행하면서 주위 장기로 직접 침범하거나, 암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멀리 떨어진 장기로 옮겨가 성장할 수 있습니다. 원인 부신암에 대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더라도 암을 유발하는데 있어서 그 위험요소…
질병 평가 0 명
0.0
비인두종양
비인두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은 흔치 않습니다. 유년성 혈관 섬유종이나 반전성 유두종이 비인강 내로 침범할 수 있으며, 드물게 작은 침샘인 소타액선에서 유래한 선종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염증이 심한 아데노이드 등이 종양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원인 조직학적 유형에 따라 원인이 다릅니다. 반전성 유두종인 경우 …
질병 평가 0 명
0.0
삼출성 중이염
삼출성 중이염은 이통이나 발열 등의 증상이 없이 귀의 고막 안의 공간인 중이에 삼출액이라는 액체가 차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대게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가고 생기거나 감기를 앓은 후 발생합니다. 원인 일반적으로 급성 중이염의 급성기가 지나간 후 염증으로 인해 만들어진 액체가 계속 고여있는 경우가 가장 흔…
질병 평가 0 명
0.0
공명장애
말할 때 코 울림이 과다한 과비성에 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비성이란, 말할 때 구강과 비강이 분리되지 않고 열려 있는 상태에서 공명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말이 산출되기 위해서는 호흡, 발성, 공명, 발음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조화가 깨진 상태입니다. 원인 과비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질병 평가 0 명
0.0
타액선 양성종양
타액선은 침샘을 일컫는 말로 이러한 침샘에 발생한 양성종양을 타액선 양성종양이라고 합니다. 원인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Warthin 종양의 경우 흡연과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증상 타액선 종양은 대부분 서서히 자라나는 종괴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종양의 경계가 뚜렷하고…
질병 평가 0 명
0.0
뇌동맥 폐쇄
뇌동맥 폐쇄는 말 그대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막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뇌동맥은 전대뇌동맥(중간 대뇌반구의 앞위쪽 부분과 연결), 중대뇌동맥(대뇌반구의 대부분 등에 연결됨), 후대뇌동맥(중간뇌, 중간과 아래 관자엽 부분), 두개내 경동맥, 기저동맥(뇌간 부분), 척추동맥 등이 있습니다. 원인 혈관이 …
질병 평가 0 명
0.0
반측안면경련
반측성 안면경련이란 안면신경 지배 영역의 근육의 간헐적, 돌발적, 불수의적인 수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반측안면의 운동기능항진의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나도 모르게 얼굴 한쪽을 씰룩거리며 이상한 표정을 짓게 되거나, 얼굴을 보기 흉하게 찡그리게 되는 것이 대표증상입니다. 원인 얼굴 한쪽의 눈, 볼, 입, 턱주…
질병 평가 0 명
0.0
긴장형두통
뒷머리와 뒷목에 뻐근하고 조이는 것 같은 통증이 있는 경우, 특히 통증이 오후나 저녁에 심해지고 잠자거나 쉬면 나아지는 경우 긴장형 두통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긴장형 두통은 대부분의 사람이 생애 한번은 겪어봤을 정도로 흔한 질환입니다. 원인 두피, 머리와 목 주위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여 발생합니다. 나쁜…
질병 평가 0 명
0.0
해마경화증
해마(hippocampus)는 내측두엽에 위치하고 있는 뇌의 한 영역으로, 뇌의 거의 모든 부분과 신경연결을 이루고 있으며 기억 등록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해마경화증은 이 해마에서 신경세포의 비정상적인 연접, 신경세포 사멸 및 아교세포 증식이 발생하여 최종적으로 해마의 크기가 작아지는 증상을 말합니다. 해…
질병 평가 0 명
0.0
피부근염
주요 특발성 염증 근육병증은 가로무늬근육(횡문근)과 피부를 침범하는 질환 중 비교적 흔한 형태입니다. 이 질병군에는 피부근육염(dermatomyositis), 여러근육염(다발성근염; polymyositis), 포함체근육염(봉입체근염; inclusion body myositis) 등이 포함됩니다. 원인 피부근…
질병 평가 0 명
0.0
풍토병
풍토병은 특정 지역에 사는 주민들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뜻합니다. 특정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나 그 빈도가 시간에 따라 크게 변하지는 않습니다. 대개의 경우 비교적 한정된 지역에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을 일컫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풍토병이 다른 지역의 풍토병이 되려면 기후와 같은 자연 환경, 생활양…
질병 평가 0 명
0.0
포피리아
혈색소인 헤모글로빈(hemoglobin)은 포르피린(porphyrin)과 철이 착염(complex salt)을 이루고 있는 물질인 헴(heme)과 단백질 글로빈(globin)의 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헴의 체내 합성 과정에는 여덟 가지의 효소가 필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특정 효소가 부족하게 …
질병 평가 0 명
0.0
팔로 4징증
팔로4징증은 우심실 유출로(우심실에서 폐로 가는 혈관인 폐동맥 입구)의 협착, 좌심실과 우심실을 나누는 중간 벽(중격) 결손(구멍), 대동맥 기승(대동맥의 위치가 정상보다 오른쪽에 치우침, 대동맥 우위), 우심실 비대(우심실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커짐)의 4가지 해부학적 이상을 가지고 있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질병 평가 0 명
0.0
타까야수동맥염
타까야수 동맥염은 대동맥과 대동맥에서 갈라져 나온 주요 동맥혈관에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 동맥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침범된 혈관은 #동맥염#, 내막 증식, 퇴행성 변화, 혈관이 딱딱해지는 경화 등이 생기므로 이로 인해 협착, 폐색 또는 확장(동맥류)됩니다. 원인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지고 있지 않습…
질병 평가 0 명
0.0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카바페넴(Cabapenem)은 세팔로스포린이나 광범위 베타락탐제(beta-lactamase)에 내성을 가진 세균들에 대한 중요한 항생제 중 하나입니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요로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 질환을 일으키는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질병 평가 0 명
0.0
초자체 출혈
눈은 안구라고 부르는 직경 2.4cm 정도의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앞쪽이 우리가 보는 검은자입니다. 축구공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안에 주입되어 있어야 하는 것처럼, 눈이 공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의 내부를 어떤 물질이 채우고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겔 상태의 투…
질병 평가 0 명
0.0
처녀막 폐쇄증
처녀막은 여성의 질 입구에 위치하는 점막 주름으로 외부 성기의 일부입니다.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고 정상 상태에서는 질 입구를 부분적으로 막고 있습니다. 처녀막 폐쇄증은 처녀막이 비정상적으로 질 입구를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 발생학적으로 처녀막은 비뇨생식동의 상피에서 유래하는데, 비뇨생식동이…
질병 평가 0 명
0.0
지방 척수 수막류
지방 척수 수막류는 잠재성 혹은 비개방성 척추 유합 부전 중에서 가장 흔한 형태로 출생 후 영유아기에 많이 발견됩니다. 출생 4000명당 한 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척추 유합 부전은 사람의 발생 과정에서 후방의 신경고리의 융합에 이상이 발생한 선천적 기형을 의미하고, 잠재성 혹은 비개방성은 …
질병 평가 0 명
0.0
주폐포자충 폐렴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기회 감염 진균인 뉴모시스티스 카리니(주폐포자충, Pneumocystis carinii, jirovecii)에 의해 면역 억제 환자에서 폐렴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에이즈# 환자, 항암 화학요법 중인 암 환자, 장기 이식을 받은 후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는 환자 등 면역이 저…
질병 평가 0 명
0.0
주기성 근육마비
주기성 근육마비는 골격근육의 흥분성이 변하여 골격근육에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유전성 근육 질환입니다. 이는 근육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원인 근육에 존재하는 이온통로 단백질의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주기성 근육…
질병 평가 0 명
0.0
처음
이전
11
페이지
12
페이지
13
페이지
14
페이지
15
페이지
열린
16
페이지
17
페이지
18
페이지
19
페이지
20
페이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