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아프면 보통 진통제를 먹고 대수롭지 않게 넘긴다. 스트레스나 피로 등 사소한 이유로 머리가 아픈 게 대부분이라서다. 그러나 두통은 뇌종양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기도 하다. 종양이 커지면서 두개골 내 뇌압을 상승시켜 지속적인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두통 양상이 어떤 때에 뇌종양을 의심해야 할까?
통증의 추이에 주목해야 일상적인 두통과 구별할 수 있다. 진통제를 복용해도 효과가 없고, 통증이 점점 악화하거나, 새벽이나 아침 시간대에 심한 통증이 나타나면 뇌종양이 의심된다. 뇌압이 상승해 구토나 메스꺼움이 생길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종양이 뇌 신경을 눌러 마비, 저림, 언어 장애, 의식 저하, 경련, 시력 감퇴 및 시야 축소 등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뇌피질을 자극해 뇌전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뇌종양은 빨리 발견하는 것이 관건이다. 양성은 자라는 속도가 비교적 느리지만, 악성은 진행이 빠르기 때문이다. 양성 뇌종양은 대개 1년에 1~2㎜ 미만으로 성장한다. 주변 부위와 비교적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종양 절제 수술을 통한 완치 가능성도 높다. 종양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일상생활이 불편할 수 있어도,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일만큼 생명에 거의 지장이 없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박철기 교수는 “양성 뇌종양은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 경과 관찰만 하며, 종양 때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거나 성장 속도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빠르다고 판단될 때 치료를 고려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뇌를 둘러싼 수막(뇌막)에서 발생한 뇌수막종, 뇌의 정중앙부 하단에 있는 ‘뇌하수체’에서 발생한 뇌하수체 선종, 그리고 뇌 신경에서 발생하는 신경초종이 대표적인 양성 뇌종양이다.
그러나 악성 뇌종양은 빠르게 자라나고, 성장하면서 주변 뇌조직을 침범하는 경향이 있다. 악성 뇌종양의 하나인 교모세포종은 국내에서 연간 80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는데, 치료받지 않으면 평균 생존 기간은 3~6개월에 불과하다. 양성 뇌종양만큼 예후가 좋지 않지만, 그래도 치료 시 여명이 약 1년 연장된다. 최대한 빨리 발견해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최선이다.
뇌종양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이다. 그중 두피·두개골·뇌막을 절개하고, 종양을 절제하는 개두술이 가장 효과적이다. 양성 뇌종양은 개두술을 통해 완치까지 기대할 수 있다. 악성 뇌종양에서는 종양 크기를 줄임으로써 후속 치료 효과를 높여 환자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그 외 수술 방법으로는 두개골을 열지 않고 고용량의 방사선을 종양에 조사하는 방사선 수술(감마나이프), 내시경을 이용해 뇌 기저부 종양에 접근하여 제거하는 뇌 내시경 수술 등이 있다.
뇌교종처럼 뇌 안에 생기는 뇌종양은 종양 주위를 넓게 절제할 수 없어서 수술로 종양 세포를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이에 재발이 잦으며,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방사선 치료나 항암 화학 요법을 병행한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을 하루에 조금씩 분할 투여해 선택적으로 종양 세포를 죽이는 방법이다. 짧게는 2~3주, 길게는 6~8주간 매일 치료를 한다. 항암제를 투여하는 항암 화학 요법은 주로 악성 뇌교종에서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와 병용하는 방법이다.
박철기 교수는 “완치가 어렵고 손쓸 수 없는 뇌종양도 분명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뇌종양은 치료가 가능하며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만 하면서 평생 살아갈 수 있는 경우도 많다”며 “희망을 갖고 적극적으로 치료에 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46/0000094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