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을 구입할 때는 소비기한을 확인하고, 구입 후에는 보관 온도를 지켜 짧은 기간에 소비해야 한다. 달걀을 조리할 때는 손을 꼼꼼히 씻고 7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여름철에 주로 증가하는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을 위해 달걀 등 식재료 취급·보관 관리와 식중독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손보구가세’를 강조했다. 손보구가세는 손 씻기, 보관온도, 구분사용, 가열조리, 세척·소독의 앞 글자를 딴 말이다.
최근 5년(2020~2024년)간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은 총 204건, 환자 수는 7788명이다. 이 중 7~9월 여름철 발생 건수가 전체의 약 52%(107건, 4542명)를 차지한다.
살모넬라 식중독이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129건(63%), 집단급식소 35건(17%), 즉석판매제조·가공업 10건(5%) 순이었다. 주요 원인 식품은 달걀말이, 달걀지단 등 달걀 조리식품과 김밥, 도시락 등 복합 조리식품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살모넬라는 가금류·포유류의 소화관 또는 물과 토양에 존재하는 병원성 세균이다. 살모넬라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는 경우 발열, 복통,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달걀, 알 가공품 등 식재료 취급·보관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다.
달걀을 구입할 때는 껍질이 깨지지 않은 신선한 상태의 달걀을 선택하고, 달걀에 표시된 산란 일자 및 소비기한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구입한 달걀은 즉시 냉장고에 넣어 다른 식재료와 닿지 않게 구분·보관한다. 상온에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필요한 만큼만 구매해 보관 온도를 지켜 짧은 기간 안(2~4주)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을 조리할 때 달걀·육류·가금류를 만지거나 달걀물(액란) 등이 묻은 손은 반드시 흐르는 물에 비누 등 세정제로 30초 이상 깨끗이 씻어야 하며,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게 다른 식재료, 조리된 음식 또는 조리 기구를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살모넬라는 열에 약해 가열조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육류, 가금류, 달걀 등을 날 것으로 섭취하지 말고 중심온도 75℃에서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섭취해야 한다. 달걀은 가급적 노른자와 흰자가 모두 단단해질 때까지 익혀 먹는 것이 좋다.
칼·도마 등 조리 기구는 열탕 소독하거나 살균·소독제를 사용해 세척·소독하고 채소용, 육류용, 어류용 등 식재료별로 구분해 사용한다. 달걀물 혼합 시에는 용기를 주기적으로 세척·소독하고 김밥처럼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해 조리할 때는 위생 장갑을 수시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또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는 구토, 설사, 복통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이 있는 조리 종사자가 조리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고 증상이 회복된 후에도 2~3일간은 조리에서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된 음식은 최대한 빠른 시간 내(2시간 이내) 섭취하고 바로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해야 하며 냉장고에 보관한 음식은 충분한 온도에서 재가열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소비자는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음식을 구입해 먹을 때 육류, 가금류, 달걀 등 식재료가 충분히 익었는지 확인하고, 야외 활동 시에는 보냉백, 아이스박스 등을 이용해 10℃ 이하로 보관·운반해야 한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2/0000072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