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황반변성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황반변성 질병 평가
평가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개요


황반은 망막이라는 안구내 신경층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부위입니다. 약 1.5mm의 반지름을 가지는 망막의 중심부위이며, 이 부위에는 빛을 느낄 수 있는 광수용체가 밀집되어 있습니다. 황반은 망막의 중심부로 시력의 대부분을 담당합니다. 황반변성은 황반이 변성되는 질환입니다. 변성은 병리학적 해부학적 퇴화, 퇴보의 의미를 포함합니다. 고도로 높은 기능의 조직이 낮은 기능의 조직으로 변하는 경우를 말하며, 황반 부위에 변성이 발생했다는 말은 빛을 감지하는 고도의 기능을 가지는 황반 부위가 퇴화하여 빛을 보는 기능을 소실했다는 말입니다.

원인


1. 나이: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병률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유병률의 증가는 인종과 성별을 달리한 연구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입니다. 2. 흡연: 나이관련황반변성은 흡연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흡연이 2-3배 정도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다른 위험인자들과 달리 흡연은 교정이 가능하므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반드시 금연할 것을 권유합니다. 3. 유전적 요인 및 인종: 인종적으로는 백인에서 발생이 가장 흔하고, 다음으로는 아시아인이며, 흑인에서는 상대적으로 발생 빈도가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이관련황반변성은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 3배 정도 발병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ARMS2/HTRA1, BF, C2, C3, CFH, LIPC, TIMP 등의 유전자가 나이관련황반변성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습니다. 4. 안과적 인자: 원시가 있는 경우 및 백내장 수술을 받은 경우에서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도가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5. 비만 및 혈중 콜레스테롤: 비만 및 높은 혈중 콜레스테롤이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6. 기타: 전신적 염증 정도가 나이관련황반변성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 여성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었으나, 남녀 간의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자외선 노출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자외선 차단이 나이관련황반변성의 발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증상


초기 증상은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테니스장의 선, 차선, 건물의 선등이 굽어져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상한 시각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또 시야가 흐려 보이고 눈이 침침하며, 작은 회색점들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별다른 통증은 없으며 황반변성이 많이 진행하면 거의 중심시력을 잃게 됩니다.

치료


나쁜 혈관이 자라나며 흉터가 생기면, 시력이 감소하거나, 물체가 휘어 보이는 것 같은 변형시, 중심 암점 등의 증상이 생기며 치료하지 않고 놔둔다면 지속적으로 시력이 감소하여 결국 실명하게 됩니다. 치료는 나쁜 혈관을 파괴하는 레이저 치료, 선택적으로 나쁜 혈관만 파괴시키는 광역학 치료, 나쁜 혈관들을 키우는 인자를 억제하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를 눈 안에 주입하는 치료가 있습니다. 이런 치료가 모든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고혈압처럼 관리하며 악화를 방지하는 치료를 한다고 생각하며 지속적으로 안과에 방문하여 진료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황반변성 질병 평가 0건

이 질병은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황반변성 질병찾아삼만리 평가 작성하기 작성시 300포인트 지급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