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목차
1.

개요

2.

설명

3.

변이

4.

전파 경로

5.

증상

6.

진단 및 검사

7.

치료와 백신

8.

예방 수칙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질병 평가
평가참여 231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4.0
통증경중
4.2
완치율
4.4

개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란, 2019년 11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생하여 중국 전역 및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중국 우한에서 최초로 시작됐다고 하여 우한 폐렴이라고 불렸지만,  2020년 2월 12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공식 명명되었습니다.

설명


• 법정 감염병 : 제2급 감염병  (2022.4.25 1급 감염병에서 2급 감염병으로 조정) • 질병 코드 : U07.1, U07.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질병 분류는 이와 같습니다. 주된 전파 경로는 감염자의 비말이 다른 사람의 눈·코·입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되면 약 1~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 증상으로는 37.5도 이상의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증상이 없는 무증상 사례의 빈도도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20년 1월경부터 아시아권부터 퍼지기 시작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20년 1월 31일에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였고, 2월 28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 세계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격상, 3월 11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범유행전염병임을 선언하였습니다.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22년 3월 7일 0시경을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공식 사망자 600만 명을 기록했으나, 2022년 5월 BBC의 보도에 따르면 비공식 사망자는 15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기존 감염증인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와 달리 장기간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21세기 이후 전 지구촌을 집어삼킨 최악의 전염병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변이


코로나19는 다양한 변이를 가지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파력과 증상,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하여 특별히 주시해야 할 변이를 우려 변이(Variants of Concern)와  관심 변이(Variants of Interest)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3-1) 우려 변이 ① 알파 변이(Alpha   variant) 가장 먼저 확인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2020년 9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020년 12월 28일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초창기에는 영국발 변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1.5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원과 중증도, 사망위험도가 증가하였지만 다행히 백신의 효과는 유지되었습니다. 2021년 상반기 코로나19는 대부분 알파 변이였던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② 베타 변이(Beta variant) 2020년 5월 남아공에서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면역 반응을 저하시키고 전염성을 높이는 변이와 전파의 속도를 높이는 변이를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1.5배 정도 높고 사망 위험도도 증가하였으며, 백신을 맞은 사람이나 이미 코로나19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돌파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③ 감마 변이(Gamma variant)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로,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2배가량 높고 백신의 효과를 줄이면서 항체가 생겨도 다시 감염된다는 것이 알려져 우려를 샀던 변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브라질 변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알파 변이가 가진 감염력과 베타 변이가 가진 항체 파괴력이라는 두 변이 특성을 모두 가진 변이로 불렸습니다. ④ 델타 변이(Delta variant), 델타플러스 변이(Delta+ variant)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많은 이들을 사망에 이르게 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내 감염자 폭증을 주도한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델타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지만, 다른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빠른 데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1년 6월에는 인도에서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평가받는 델타 플러스 변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델타 플러스 변이는 중화항체를 무력화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 위험성이 기존 변이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크다고 알려졌습니다. 3-2) 관심 변이 ① 엡실론 변이(Epsilon variant) 2021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최초 보고된 2종류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이 변이종은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5배나 높고 치명률 또한 11배나 높다고 알려져 우려를 샀지만, 전파 속도는 비교적 느린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② 람다 변이(Lambda variant) 2020년 8월 페루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남미를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진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백신을 맞았을 때 생성되는 중화 항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니다. ③ 뮤 변이(Mu variant) 2021년 1월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중 하나로, 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하였으나 세계 발생률은 0.1% 미만으로 낮은 편입니다. ④ 오미크론 변이(Omicron variant)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32개가 발생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전염성은 강화되었고 백신은 회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밀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2차 감염이 발생할 정도로 전파력을 강한 편이지만, 치명률은 확진자 대비 매우 낮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연말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해 우세종으로 등극했으며, 치명률은 전에 비해 매우 낮아져 팬데믹 종식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지만 확진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전파 경로


코로나19의 주된 전파 경로는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을 할 때 발생하는 비말에 의한 전파이며, 비말 이외에도 표면 접촉이나 공기 등을 통해서도 전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특정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자와 2미터 이내에서 밀접 접촉하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지게 되며, 감염자의 비말이 눈·코·입 점막으로 침투되거나 비말이 묻어있는 물체나 표면을 손으로 만진 후에 눈·코·입을 만지게 될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잠복 기간은 최대 2주로 보고 있으나 평균적으로는 5~7일 정도이며, 증상 발생 1~3일 전부터 호흡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최소 일주일 정도는 잠복 기간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발생 7일 후부터는 생존 바이러스가 거의 없어서 전파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일부 면역 저하 환자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전파 가능 기간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경우 증상은 사람에 따라 무증상부터 경증, 중등증,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37.5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후각·미각 소실, 근육통, 인후통, 두통, 오한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피로감, 식욕 감소, 구토, 설사, 어지럼증, 가래, 콧물·코막힘, 객혈, 결막염, 피부 증상, 흉통 등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치명률은 지역·인구집단연령 구조·감염 상태 및 기타 요인에 따라 0.1~25%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고령이나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가 주로 중증 증상을 보이거나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 초창기였던 2020년에는 바이러스의 독성이 강했기 때문에 중증 환자들의 비중이 높았으나 2021년 델타 변이의 유행 때는 독감 증상과 비슷해지다가 2022년 오미크론 변이 때는 감기와 비슷할 정도로 증상이 많이 약해졌으며, 감염이 되더라도 무증상 및 경증으로 지나가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한편, 코로나19 확진 이후 완치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호소는 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상 증세가 최초 감염일로부터 4주 이상 계속된다면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확진 후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것을 롱코비드(Long Covid)라고 정의했습니다. 대표적인 후유증 증상으로는 호흡기 증상(기침, 가래, 호흡곤란), 심혈관계 증상(흉부 불편감, 흉통, 두근거림), 소화기계 증상(소화 불량, 복통, 설사), 근골격계 증상(근육통, 관절통), 신경계 증상(피로감, 두통, 후각·미각 저하, 어지러움, 우울, 불안, 수면장애), 그 외 증상(탈모, 피부 발진, 당뇨병, 췌장염) 등이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코로나19 발생 초기 우리나라는 판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Conventional PCR)과 염기서열분석 일치 여부를 통한 확진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의심 환자가 있을 경우 판코로나 검사법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여부를 확인한 뒤 양성반응이 나오면 환자 검체에서 나온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됐으며, 약 1~2일의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2020년 1월 31일부터는 코로나19만을 타깃으로 하는 새 검사법인 RT-PCR이 개발됐는데, 이전의 판 코로나 검사가 코로나바이러스 전체 계열을 확인했다면 RT-PCR은 코로나19를 특정해 진단할 수 있는 시약 키트가 핵심으로 검사 6시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코로나19의 신속한 진단이 가능해졌습니다. 2020년 11월 11일부터는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30분 만에 알 수 있는 진단키트의 국내 판매가 허가되었는데, 진단키트는 검사자의 혈액 속에 들어있는 여러 항체들을 분리한 후 이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시 만들어지는 항체도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검사 시간은 15분 내외, 항원 진단키트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을 검출해 30분 내 감염 여부를 확인해 줍니다. 자가진단키트는 2021년 4월 30일부터 약국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사용자가 검체를 채취해 키트에 떨어뜨린 후 붉은색 2줄이 나타나면 양성을 뜻하므로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표준검사인 유전자 증폭(PCR) 방식 진단 검사로 감염 여부를 최종 확인해야 합니다.

치료와 백신


아직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으로 확실히 밝혀진 특이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에 따라 해열제, 수액공급, 진해제 등의 대증치료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호흡 곤란 시에는 산소를 공급하고 필요한 경우 기계 호흡, 체외막 산소 공급 등의 처치를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FDA에서 렘데시비르라는 약이 치료제로 긴급승인 되어 사용 중입니다. 일반적인 항생제 자체는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없으므로 코로나19의 예방이나 치료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지만,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경우 합병증으로 인한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셍제를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한편,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 접종은 2020년 12월 8일 영국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코로나 백신은 크게 mRNA백신과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mRNA백신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정보를 담은 유전자를 몸속에 집어넣고 항원 생성과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으로 모더나, 화이자 등이 이에 속합니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코로나 표면 향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주입하여 체내 표면항원 단백질을 생성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이 이에 속합니다. 백신 접종 후에는 주사부위 통증, 압통, 멍, 온감, 발적, 열감, 피로, 근육통, 두통, 권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며칠 내로 소실되며, 백신 접종 후에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면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통증이 심할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를 복용할 것을 권장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진통제로 꼽힌 타이레놀을 많이 찾으면서 일부 약국에서는 타이레놀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예방 수칙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가 사람 간의 전파로 알려진 만큼, 사회적인 거리를 유지하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체 또는 표면에 접촉한 뒤 눈·코·입 등을 만지면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손을 씻거나 손소독제로 손을 소독하는 것도 중요한 예방 수칙 중 하나입니다. 2020년 11월 19일,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에서 발표한 코로나19 일반국민행동수칙 10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실내 시설, 밀집된 실외에서는 반드시 마스크 착용하기 ②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30초 이상 꼼꼼하게 자주 씻기 ③ 환기가 안 되고 많은 사람이 가까이 모이는 장소는 방문 자제하기 ④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2m(최소 1m) 거리두기 ⑤ 씻지 않은 손으로는 눈·코·입 만지지 않기 ⑥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 옷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기 ⑦ 매일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자주 만지는 표면은 청소·소독하기 ⑧ 발열, 호흡기 증상(기침이나 호흡곤란이 등)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⑨ 매일 본인의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코로나19 임상증상 확인하기 ⑩ 필요하지 않은 여행 자제하기
전체 내용 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질병 평가 231건

못**** 2025-02-12 (수) 02:39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304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코로나에 걸리니 처음엔 목이 칼칼하고 몸이 으슬거림
이틀째 되니 고열과 근육통& 온몸이 두들겨 맞은 듯 아픔. 열도 39도까지 나서 기겁!
삼일째부터 기침이 심해졌음. 그래도 닷새쯤 지나니 열이 내리고 서서히 회복됐음 휴 감기랑 비슷하겠지 했는데 힘들었음 다시는 걸리고 싶지 않다

예**** 2025-02-10 (월) 20:03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27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병원
보건소

치료후기

평소보다 몸이 너무 으스스 춥길래 당시 알바중이였어서 사장님한테 양해를 구하고 바로 병원으로 갔는데 한참 코로나 유행하던때라서 바로 검사부터 하길래 했는데 두줄떠서 완전 놀람.. 집가서 누워있는데 숨 안쉬어질정도로 너무 아파서 진짜 죽고싶었어 열은 계속 38~39도 왔다갔다거리고 그러고 나서 2년뒤에 백신 3번 맞고나서 한번 걸리니까 그땐 진짜 안아프더라 ㅠㅠ

뭉**** 2025-01-31 (금) 03:39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02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코로나자가키트

치료후기

오한이랑 근육통이 너무 심해서 침대에서 뒤척이는것도 아파서 흐느낌 또 후각+미각이 둔해져서 소고기를 먹어도 그냥 질긴 느낌 ㅠ 이거 말고는 기침이나 두통은 따로 없었음 오한+근육통은 키트 양성뜨고 3-4일, 후각+미각 실종은 2주정도...

예**** 2025-01-30 (목) 22:58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016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내과

치료후기

저는 목이 진짜 너어어ㅓ어어ㅓ무 아팠습니다 증상은 열도 나고 일반 감기랑 별로 차이는 없는데 목이 진짜 디지게 아픕니다 감염병이 심한 병이라 마스크 잘 끼고다니면 예방가능합니다 그리고 저는 인후통도 심했어요

헤**** 2025-01-28 (화) 02:19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96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자가키트

치료후기

생각보다 힘들지는 않았는데 기침이 엄청 나왔고 목이 다 쉬었음 코 막혀서 입으로 숨쉬는게 제일 힘들었었음 타국에 나가서 걸렸던 거라 병원 가기 힘들어서 혼자 방에 격리되어있었고. 4일 정도 지나니깐 음성 반응 떴었음

스**** 2025-01-28 (화) 01:33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96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내과

치료후기

목이 진짜진짜 아팠고 열 좀 나서 주사맞은거 빼고는 크게 힘들진 않았음. 근데 후유증으로 후각 사라진게 꽤 오래갔고 후각 돌아오고도 계속 이상한 냄새가 나서 음식을 잘 못먹었음.. 이비인후과 가도 해줄수있는게 없다고함 거의 세달?? 정도 간듯

l**** 2025-01-27 (월) 21:40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95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셀프

치료후기

코로나 아직도 조금씩 도는거 같음. 웬만해서 키트로 검사하구 집에서 쉬는게 제일인듯. 어르신들은 paxlovid같은 한바이러스제도 먹는데 젊고 면역력 좋으면 굳이 먹을 필요없고 잘쉬면 나음. 새로나온 백신도 천식 잇는 사람은 맞는게 조움

츄**** 2025-01-27 (월) 03:12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94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병원
응급실

치료후기

증상은 평범한 감기랑 거의 비슷했던거 같습니다. 콧물은 안났지만 목이 정말 찢어지는 고통과 같았고 열도 많이 났었습니다. 가장 힘들었던건 후각이랑 미각이 사라져서 음식먹을때 아무맛도 나지않았습니다. 레몬즙처럼 자극이 강한 음식을 주기적으로 먹어주었더니 돌아왔었습니다

거**** 2025-01-24 (금) 15:09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86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바이러스감염
진단병원
양산 길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자고일어났는데 목도아프고 머리도아프고 온모은 누가두들겨 팬듯한느낌에 목소리도잘안나오고 아너무아프다ㅜㅠㅠ
몸샨인지알고 몸살약처방받아서 몸살약 먹어도몸상태는그대로 약먹은지 이틀째되는날 열까지난다 약을먹었는데. 몸이더아프다ㅠㅠ
뮈지이건ㅠㅜ 다시 병원가서 체온재니 그전엔 안나던 열까지 콧구멍에 면봉쑤시고 20분정도 지났나?몸살감기가 아니라 코로나라네 ㅠㄷㄷㄷ
약을 다시 처방해주셨다 약먹ㅈ고 일어나니 어제보단 휠씬 좋다 몸살인지알고 뻘짓한 내잘못이지 이상이있으면 몸에 검사라도받던가  몸고생하고 이건 뭔지 ㅠㅠ

c**** 2025-01-24 (금) 01:42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83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보건소

치료후기

와 진짜 2번 걸렸는데 너무너무너무 아팠음 진짜로,,,,, 2번 다 너무 아팠고 목 찢어지는 것 같고 음식 미각도 잃고,,,,, 너무 힘들었음. 거기다 약도 그닥 잘 들지도 않았던 듯. 심지어 약간 휴유증도 남음ㅋㅋ,,, 다들 이제 코로나 쉽게 생각하고 감기 취급하던데 걸려보니 절대 아님;; 안일하게 생각하지 말고 조심 또 조심하길

예**** 2025-01-23 (목) 20:44 2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82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딱 한 번 걸려봤었는데 그때도 인후통 빼면 딱히 다른 증상도 없고 별로 힘들지도 않은 정말 운 좋은 케이스엿다 한 2주 후에는 싹 다 나아서 아무렇지 않게 학교 다니고 그랫음 그래도 주변 사람들 보면 코로나로 고생한 사람들이 많아서 조심해야함,,

m**** 2025-01-15 (수) 18:35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54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동네 내과

치료후기

코로나를 두번이나 걸렸는데 두번다 너무 아팠습니다. 오한이 심하게 나는데 열도 나서 밤에 잠도 제대로 못자고 그랬어요... 죽기살기로 밥먹으면서 계속 약 챙겨먹고 그러다보니 괜찮아졌습니다 코로나는 영원히 사라지진 않겠죠,,

도**** 2025-01-14 (화) 14:19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46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코나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정말.. 사람마다 아픈 정도가 천차만별이던데 나는 열도 39도까디 나고 목이 찢어지는 것 같은 통증 ㅠ 이 통증이 너무 힘들었음.. 물 마셔도 찢어질것같고 침만삼켜도 칼 삼키는 느낌 자다가 일어나면 제잏 심함 건조해져서그그런가 격리되어있는 건 사실 좀 즐겼을지도 내향인이라.. 정말 다신 걸리고싶지않음;

L**** 2025-01-13 (월) 20:05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42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처음에는 열이나서 단순 감기몸살인줄 알았는데 다음날에 목이 찢어지듯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해졌습니다. 그리고 열이 39도 까지 하루 넘개 지속되서 집앞 이비인후과 병원에 방문하였는데 역시나 코로나 19였습니다.

웻**** 2025-01-13 (월) 19:21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8420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조가정의학과

치료후기

여태 2번 걸렸는데 코로나는 감기와는 증상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 같아 걸리는 동시에 특유의 인후통이 느껴지면서 입맛도 떨어지고 오한과 고열이 생기기 시작했어 그리고 증상보다 검사가 더 아픈 것 같기도 해 ,, 빨리 병원 내원해서 검사받고 약 받아오는게 제일 좋은 것 같아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