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목차
1.

개요

2.

설명

3.

변이

4.

전파 경로

5.

증상

6.

진단 및 검사

7.

치료와 백신

8.

예방 수칙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질병 평가
평가참여 231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4.0
통증경중
4.2
완치율
4.4

개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란, 2019년 11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발생하여 중국 전역 및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중국 우한에서 최초로 시작됐다고 하여 우한 폐렴이라고 불렸지만,  2020년 2월 12일부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공식 명명되었습니다.

설명


• 법정 감염병 : 제2급 감염병  (2022.4.25 1급 감염병에서 2급 감염병으로 조정) • 질병 코드 : U07.1, U07.2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질병 분류는 이와 같습니다. 주된 전파 경로는 감염자의 비말이 다른 사람의 눈·코·입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되면 약 1~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주 증상으로는 37.5도 이상의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증상이 없는 무증상 사례의 빈도도 높게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20년 1월경부터 아시아권부터 퍼지기 시작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2020년 1월 31일에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였고, 2월 28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전 세계 위험도를 매우 높음으로 격상, 3월 11일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범유행전염병임을 선언하였습니다. 현재까지도 전 세계에서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22년 3월 7일 0시경을 기준으로 전 세계 누적 공식 사망자 600만 명을 기록했으나, 2022년 5월 BBC의 보도에 따르면 비공식 사망자는 15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는 기존 감염증인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와 달리 장기간 이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확진자와 사망자를 기록했다는 점에서 21세기 이후 전 지구촌을 집어삼킨 최악의 전염병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변이


코로나19는 다양한 변이를 가지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전파력과 증상, 백신 효과 등을 고려하여 특별히 주시해야 할 변이를 우려 변이(Variants of Concern)와  관심 변이(Variants of Interest)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3-1) 우려 변이 ① 알파 변이(Alpha   variant) 가장 먼저 확인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2020년 9월 영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2020년 12월 28일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초창기에는 영국발 변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1.5배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입원과 중증도, 사망위험도가 증가하였지만 다행히 백신의 효과는 유지되었습니다. 2021년 상반기 코로나19는 대부분 알파 변이였던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② 베타 변이(Beta variant) 2020년 5월 남아공에서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면역 반응을 저하시키고 전염성을 높이는 변이와 전파의 속도를 높이는 변이를 둘 다 가지고 있습니다.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보다 1.5배 정도 높고 사망 위험도도 증가하였으며, 백신을 맞은 사람이나 이미 코로나19에 걸린 적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돌파 감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③ 감마 변이(Gamma variant)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로, 전파력이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2배가량 높고 백신의 효과를 줄이면서 항체가 생겨도 다시 감염된다는 것이 알려져 우려를 샀던 변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브라질 변이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알파 변이가 가진 감염력과 베타 변이가 가진 항체 파괴력이라는 두 변이 특성을 모두 가진 변이로 불렸습니다. ④ 델타 변이(Delta variant), 델타플러스 변이(Delta+ variant) 2020년 10월 인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많은 이들을 사망에 이르게 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국내 감염자 폭증을 주도한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델타 변이는 기존 코로나19 백신으로 방어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지만, 다른 변이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빠른 데다 더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1년 6월에는 인도에서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더 센 것으로 평가받는 델타 플러스 변이가 발생했습니다. 특히 델타 플러스 변이는 중화항체를 무력화하거나 회피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그 위험성이 기존 변이 바이러스보다 훨씬 더 크다고 알려졌습니다. 3-2) 관심 변이 ① 엡실론 변이(Epsilon variant) 2021년 3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최초 보고된 2종류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이 변이종은 기존 바이러스에 비해 중증으로 악화될 가능성이 5배나 높고 치명률 또한 11배나 높다고 알려져 우려를 샀지만, 전파 속도는 비교적 느린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② 람다 변이(Lambda variant) 2020년 8월 페루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남미를 중심으로 확산세가 이어진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백신을 맞았을 때 생성되는 중화 항체를 무력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유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니다. ③ 뮤 변이(Mu variant) 2021년 1월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중 하나로, 남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하였으나 세계 발생률은 0.1% 미만으로 낮은 편입니다. ④ 오미크론 변이(Omicron variant) 스파이크 단백질에 돌연변이 32개가 발생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로, 전염성은 강화되었고 백신은 회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밀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2차 감염이 발생할 정도로 전파력을 강한 편이지만, 치명률은 확진자 대비 매우 낮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1년 연말부터 폭발적으로 증가해 우세종으로 등극했으며, 치명률은 전에 비해 매우 낮아져 팬데믹 종식의 시작을 알리기도 했지만 확진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전파 경로


코로나19의 주된 전파 경로는 감염자가 기침, 재채기, 말하기 등을 할 때 발생하는 비말에 의한 전파이며, 비말 이외에도 표면 접촉이나 공기 등을 통해서도 전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특정 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자와 2미터 이내에서 밀접 접촉하는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지게 되며, 감염자의 비말이 눈·코·입 점막으로 침투되거나 비말이 묻어있는 물체나 표면을 손으로 만진 후에 눈·코·입을 만지게 될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잠복 기간은 최대 2주로 보고 있으나 평균적으로는 5~7일 정도이며, 증상 발생 1~3일 전부터 호흡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므로 최소 일주일 정도는 잠복 기간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 발생 7일 후부터는 생존 바이러스가 거의 없어서 전파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일부 면역 저하 환자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전파 가능 기간이 더 늘어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경우 증상은 사람에 따라 무증상부터 경증, 중등증,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37.5도 이상의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후각·미각 소실, 근육통, 인후통, 두통, 오한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피로감, 식욕 감소, 구토, 설사, 어지럼증, 가래, 콧물·코막힘, 객혈, 결막염, 피부 증상, 흉통 등 다양한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치명률은 지역·인구집단연령 구조·감염 상태 및 기타 요인에 따라 0.1~25%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고령이나 기저질환을 가진 환자가 주로 중증 증상을 보이거나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단, 초창기였던 2020년에는 바이러스의 독성이 강했기 때문에 중증 환자들의 비중이 높았으나 2021년 델타 변이의 유행 때는 독감 증상과 비슷해지다가 2022년 오미크론 변이 때는 감기와 비슷할 정도로 증상이 많이 약해졌으며, 감염이 되더라도 무증상 및 경증으로 지나가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한편, 코로나19 확진 이후 완치 판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기간 후유증을 겪고 있다고 호소는 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상 증세가 최초 감염일로부터 4주 이상 계속된다면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확진 후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것을 롱코비드(Long Covid)라고 정의했습니다. 대표적인 후유증 증상으로는 호흡기 증상(기침, 가래, 호흡곤란), 심혈관계 증상(흉부 불편감, 흉통, 두근거림), 소화기계 증상(소화 불량, 복통, 설사), 근골격계 증상(근육통, 관절통), 신경계 증상(피로감, 두통, 후각·미각 저하, 어지러움, 우울, 불안, 수면장애), 그 외 증상(탈모, 피부 발진, 당뇨병, 췌장염) 등이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코로나19 발생 초기 우리나라는 판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Conventional PCR)과 염기서열분석 일치 여부를 통한 확진 검사를 진행했습니다. 의심 환자가 있을 경우 판코로나 검사법을 통해 코로나바이러스 여부를 확인한 뒤 양성반응이 나오면 환자 검체에서 나온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검사가 진행됐으며, 약 1~2일의 시간이 소요됐습니다. 2020년 1월 31일부터는 코로나19만을 타깃으로 하는 새 검사법인 RT-PCR이 개발됐는데, 이전의 판 코로나 검사가 코로나바이러스 전체 계열을 확인했다면 RT-PCR은 코로나19를 특정해 진단할 수 있는 시약 키트가 핵심으로 검사 6시간 이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코로나19의 신속한 진단이 가능해졌습니다. 2020년 11월 11일부터는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30분 만에 알 수 있는 진단키트의 국내 판매가 허가되었는데, 진단키트는 검사자의 혈액 속에 들어있는 여러 항체들을 분리한 후 이 중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시 만들어지는 항체도 들어있는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검사 시간은 15분 내외, 항원 진단키트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항원을 검출해 30분 내 감염 여부를 확인해 줍니다. 자가진단키트는 2021년 4월 30일부터 약국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사용자가 검체를 채취해 키트에 떨어뜨린 후 붉은색 2줄이 나타나면 양성을 뜻하므로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표준검사인 유전자 증폭(PCR) 방식 진단 검사로 감염 여부를 최종 확인해야 합니다.

치료와 백신


아직까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으로 확실히 밝혀진 특이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에 따라 해열제, 수액공급, 진해제 등의 대증치료가 시행되고 있습니다. 호흡 곤란 시에는 산소를 공급하고 필요한 경우 기계 호흡, 체외막 산소 공급 등의 처치를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FDA에서 렘데시비르라는 약이 치료제로 긴급승인 되어 사용 중입니다. 일반적인 항생제 자체는 바이러스 감염에 효과가 없으므로 코로나19의 예방이나 치료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지만, 코로나19 중증 환자의 경우 합병증으로 인한 2차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거나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셍제를 사용할 수는 있습니다. 한편, 코로나19를 예방하기 위한 백신 접종은 2020년 12월 8일 영국에서부터 시작되었는데 코로나 백신은 크게 mRNA백신과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mRNA백신은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정보를 담은 유전자를 몸속에 집어넣고 항원 생성과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백신으로 모더나, 화이자 등이 이에 속합니다.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코로나 표면 향원 유전자를 다른 바이러스 주형에 넣어 주입하여 체내 표면항원 단백질을 생성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얀센이 이에 속합니다. 백신 접종 후에는 주사부위 통증, 압통, 멍, 온감, 발적, 열감, 피로, 근육통, 두통, 권태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은 며칠 내로 소실되며, 백신 접종 후에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면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중요합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통증이 심할 경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진통제를 복용할 것을 권장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진통제로 꼽힌 타이레놀을 많이 찾으면서 일부 약국에서는 타이레놀 대란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예방 수칙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가 사람 간의 전파로 알려진 만큼, 사회적인 거리를 유지하고 외출 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데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더라도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체 또는 표면에 접촉한 뒤 눈·코·입 등을 만지면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손을 씻거나 손소독제로 손을 소독하는 것도 중요한 예방 수칙 중 하나입니다. 2020년 11월 19일, 대한민국 질병관리청(KDCA)에서 발표한 코로나19 일반국민행동수칙 10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실내 시설, 밀집된 실외에서는 반드시 마스크 착용하기 ② 흐르는 물에 비누로 손을 30초 이상 꼼꼼하게 자주 씻기 ③ 환기가 안 되고 많은 사람이 가까이 모이는 장소는 방문 자제하기 ④ 사람과 사람 사이, 두 팔 간격 2m(최소 1m) 거리두기 ⑤ 씻지 않은 손으로는 눈·코·입 만지지 않기 ⑥ 기침이나 재채기할 때 옷소매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기 ⑦ 매일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자주 만지는 표면은 청소·소독하기 ⑧ 발열, 호흡기 증상(기침이나 호흡곤란이 등)이 있는 사람과 접촉 피하기 ⑨ 매일 본인의 발열, 호흡기 증상 등 코로나19 임상증상 확인하기 ⑩ 필요하지 않은 여행 자제하기
전체 내용 보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질병 평가 231건

아**** 2024-02-09 (금) 00:10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95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집근처병원

치료후기

후각, 미각이 사라진건 3일째 되는 날 즈음이었는데 아직 돌아오지 않았다. 음식을 먹어도 맛을 10% 정 도만 느끼는 것 같다. 아주 달다, 아주 짜다 같은건 알지만, 그 외엔 잘 모르겠다,
 그래서 평소 편식하던 음식, 매워서 못 먹던 음식을 먹게 됐다. 신기하게도 아무 맛, 냄새가 안 느껴지니 까 싫어하던 음식도 먹게된다. 이건 진짜 장점이다. (그래도 빨리 맛을 좀 느끼고 싶다.T)

한**** 2024-02-08 (목) 01:18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92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집근처

치료후기

와 코로나 걸렸는데 아파 뒈질뻔했어요 ㅎㅎ 아싸 쉬겠다 개꿀~ 생각했는데 개꿀은 무슨 열나서 지하철 한정류장정도 걷는것도 힘들어서 집에서 병원까지 걸어가는데 계속 중간에 쭈그려 앉아서 쉬면서감 다행히 링겔맞고 약먹으니깐 금방나았어요 후유증은 없는듯

두**** 2024-02-06 (화) 18:00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894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집쪽

치료후기

한창 코로나 많이 들쑤실때 안걸리다가 조금 잠잠해지니까 걸렸는데 진짜 몸에서 식은땀나고 콧물때문에 숨도 잘 안쉬어지고 음식먹는데 아무 맛도 잘 안나고 엄청 힘들었네요 감기약 매 끼니마다 때려 넣어주고 계속 잠만 잤는데 하루종일 집에만 있어야하고 엄청 힘들어요

윽**** 2024-02-04 (일) 19:57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838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집근처 병원

치료후기

처음에는 그냥 단순하게 몸에 힘이없어서 몸살인가 싶었는데 열이 갑작스럽게 나고 입맛도 없어서 병원가서 검사 받으니까 코로나.. 병원갈때도 너무 힘들어서 다시는 걸리기 싫은 경험입니다…
부작용은 따로없었고 일주일내내 몸져누운기억만 있네요!

s**** 2024-02-04 (일) 00:13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835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동네대형병원

치료후기

첨에 코로나인줄 모르고 아 너무 열심히 놀았나 몸살감기가 온겁니다. 특히 몸에 뭐가 스치기만해도 아프길래 이거이거 얏됐다 싶어서 판피린먹고 한숨푹자면 낫겠지 했는데 더심해지는거. 병원가니 코로나라고 약주더이다.. ㅋㅋㅋ 그래도 코로나 약먹고 하루 쉬니까 점점괜찮아져서 다 나음 . 첨에 걸렸을땐 초창기였는데 그때보다 두번째걸렸을때가 더 아팠음

위**** 2024-01-30 (화) 20:16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755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근처 병원

치료후기

22년 12월에 걸렸는데, 저는 다행히도 많이 아프지 않았어요. 처음에 목이 좀 아파서 목감기인가 싶었는데, 조금씩 기침이 나고 해서 상비약 먹으면서 버텼습니다. 3일 정도 됐을 때 목 아픈 건 괜찮은데, 이후에 가족 여행 갈 일이 있어서 혹시 몰라 근처 병원에서 검사해보니 코로나였어요;; 열은 안 났고 목도 조금 아팠지만, 기침이 계속 나왔던 게 좀 힘든 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걸리고 난 뒤에 생리를 했을 때 인생에서 정말 엄청 아픈 생리통을 겪었습니다. 코로나 부작용 중에 생리통도 있다고 알고 있어서, 코로나 때문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어느정도 영향이 있었던 것 같아요

소**** 2024-01-28 (일) 23:18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704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한참 코로나이슈일때 걸렸는데 ㅡ 진짜
아팠어요 ㅜ 열이 39도 가까이되고 오한에 온몸이 다쑤시는 고통 ㅜㅜ 병원가서 매일 엉덩이 주사 맞으며 버텼어요 ㅜ 일주일 고생하니 그다음주터 조금 괜찮아졌어요~ 요즘도 걸리는분들 있던데 ㅡ 조심해여해요

e**** 2024-01-28 (일) 14:25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696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19
진단병원
미래청소년소아과의원

치료후기

코로나바이러스가 한창 유행했을 때 였습니다. 남들 다 걸리는 코로나, 나는 안걸리길래 슈퍼 항체가 생겼나 하고 우쭐대고 있었는데요. 처음엔 코로나인줄도 모르게 감기처럼 왔어요. 그러더니... 열은 잠시 나고 기침 콧물 가래가 미친듯이 나왔습니다. 후유증은 없이 무사히 잘 지나갔어요

네**** 2024-01-28 (일) 14:04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695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인근병원

치료후기

코로나 걸렸던 시기가 제 인생에서 제일 기침을 많이 했었던 시기였습니다.
독감증상의 한 두배 정도? 로 느껴졌어요.
일주일간 약먹고 집에 틀어박혀서 완치된 뒤에도 후유증이 2주 이상 갔었던 아주 지독한 놈이었네요.
그 이후 마스크 착용이 해제된 뒤에도 저는 왠만하면 절대 마스크를 벗지 않습니다.
정말 두번 다시는 걸리고 싶지 않은 병이네요.

김**** 2024-01-27 (토) 01:08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68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인근병원

치료후기

처음에는 감기 증상이 있다가, 3일 뒤에 급격하게 열이 나면서 아팠습니다. 목이 너무 아파서 찢어질 정도 였고, 기침이 계속 났습니다. 코로나가 심할 때라 병원은 가지 못하고 약국약을 복용하였습니다. 이때, 처음 먹은 감기약은 효과를 못봐서 다른 감기약으로 바꿧더니 효과를 봤습니다. 후유증은 따로 없었습니다.

뭐**** 2024-01-25 (목) 10:34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624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병원
윌내과

치료후기

처음에 목이 조금만 아팠는데 갈수록 심해져서 잠도 잘 못 잘 정도가 됨.한 3일 정도 그러니까 자가진단 키트로 검사했는데 양성 나옴. 그래서 학교에 알리고 병원가서 검사받음
 당연히 양성 나왔고 약 받아서 1주일동안 약 먹음

빵**** 2024-01-24 (수) 23:46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618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인근병원

치료후기

목간지럽고 아픈느낌이 하루동안 들었고 열이 조금씩 오르는거같아서 병원갔더니 확진받았어요 증상 심한편은 아니었는데도 잔기침이 오래남았고 몸컨디션이 확 저하됐었어요 일상생활이 더 힘들어진 느낌?? 다시 안걸리고싶어서 마스크 잘 쓰고다녔어요..

Q**** 2024-01-23 (화) 23:36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591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에코이비인후과

치료후기

목이 아파서 동네 병원 가서 신속항원검사 하고 코로나 진단받았어요 약은 2년전이라 일반 가래약이랑 콧물약 진통제 등등 전형적인 감기약?? 처방받았었고 집에서 푹 쉬면서 요양하니까 나아졌었어요 증상은 독감에서 목이 더 아픈 느낌과 비슷했슴다

q**** 2024-01-21 (일) 23:52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538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위플러스내과의원

치료후기

고열과 두통으로 내원하여 코로나 진단 받음. 39도 고열로 수액 치료 권고 받았으나 수액은 맞지 않고 처방받은 약 복용함(해열제 및 항바이러스제등). 1~2일차는 고열/두통 및 오한이 번갈아 들었으나 3일차쯤 호전됨.

q**** 2024-01-21 (일) 23:50 1년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53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코로나
진단병원
위플러스내과의원

치료후기

오한이 들어 체온 측정하니 38도가 넘어서 타이레놀 복용 후 익일 병원 방문. 코로나 진단 받고 당시 체온 39도로 수액 치료 권고 받았으나 수액은 맞지 않음. 처방받은 약 1일 3회
복용하고 취함. 3일차쯤부터 호전됨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