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눈의 첫 번째 관문인 ‘각막’은 외부 노출로 인해 손상을 입기 쉽다. 각막이 손상되면 자칫 ‘실명’으로도 이어질 수 있어 손상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각막 손상으로 실명이 된다면 ‘각막이식’을 고려하게 된다. 최근 각막이식은 의학의 발달로 각막 전체이식, 부분이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돼 5년 성공률이 60~70% 이르고 있다.
그렇다면 각막이식이 필요한 환자와 치료 및 관리법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자.
10일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안과 김태기 교수에 따르면 각막은 인체에서 유일하게 투명한 조직이다. 각막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되면 혼탁 또는 변형이 돼 시야가 흐려지거나 시력이 떨어진다. 이렇게 망가진 각막은 다른 사람에게 기증받은 건강하고 투명한 각막으로 바꿔줘 치료하는데, 이것이 각막이식 수술이다.
각막 손상의 원인은 다양하다. 감염이나 외상, 화학물질, 화상 등으로 손상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구조적으로 각막이 뾰족이 올라온 ‘원추각막’이나 ‘각막확장증’, ‘수포성 각막병증’, 유전적 요인에 의한 ‘각막 변성’ 등이 각막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입술 주변에 수포를 형성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각막을 침범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우리 몸에서 상존하며, 시시때때로 눈에서 활성화한다.
이로 인해 유발된 ‘헤르페스 각막염’은 회복돼도 각막에 흉터를 남기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증상이 반복되면 창문이 뿌옇게 변하는 것처럼 계속 시력이 떨어진다. 또 반복되는 염증반응으로 각막이 조금씩 녹기도 한다. 이렇게 각막이 얇아지면서 ‘천공’을 일으키는 것이다.
각막 손상은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이 결정된다. 크게 각막 전체층을 이식하는 ‘전층 각막이식술’과 각막 병변이 앞면 또는 뒷면 일부층에만 발생했을 때 시행하는 ‘부분층 각막이식술’이 있다. 최근에는 각막내피만 손상된 환자에게 각막내피세포만 이식하는 수술이 국내에서 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부분층 각막이식 건수가 많아지고 있는 추세다.
또한 각막과 공막 경계부위에 위치한 ‘윤부’라는 조직을 이식하는 ‘윤부이식술’이 있다. 이곳에는 각막상피 줄기세포가 있어 이 부위를 이식하면 이후 줄기세포가 자라 손상부위를 복원한다.
각막의 지름은 11~12㎜, 두께는 보통 0.53㎜다. 이처럼 각막은 얇은 조직이지만, 5개 층으로 나뉘고 기능도 모두 다르다. 바깥쪽부터 상피, 보우만막, 기질, 데스메막, 내피 순으로 덮여있다.
각막이식은 이렇게 얇은 막을 이식해야 하고, 기능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섬세하면서도 집중력을 요한다. 각막을 봉합할 때에는 두께 0.53㎜ 각막의 90% 사이로 실이 들어가야 하고, 기증각막과 수여 각막 사이에 각막층도 잘 맞아야 한다. 또 각막 주변 혈관층을 피해 수술을 해야 추후 거부반응이 적다. 시간은 수술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1시간 정도 걸린다.
김태기 교수는 “각막이식수술은 일반적으로 거부반응 없이 1년간 생착성공률이 80~90%, 5년 성공률이 60~70% 정도”라며 “수술 전 어떤 원인 질환으로 각막이 망가졌는지에 따라 차이가 있어 기저질환이나 녹내장 등 각막질환에 양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으면 일찍 망가질 수 있다. 한번 이식에 실패한 눈이나 각막 주변부 손상이 많은 눈에서도 성공률이 낮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식한 각막의 사용기간은 약 10년이지만, 깨끗하게 유지하고 환자가 젊고 건강하면 20년도 더 쓸 수 있다. 각막이식은 재수술도 가능하다”라고 덧붙였다.
각막 이식 후 시력은 잔여 난시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1.0까지 나오는 경우도 있다. 각막 이식 후에는 병원을 정기적으로 방문해 이식각막에 대한 거부반응이나 불필요한 혈관이 자라는지를 체크해야 한다. 또 이식된 각막이 벌어지지 않는지도 살핀다.
김 교수는 “눈을 건조한 상태로 방치하면 각막에 쉽게 상처가 나기 쉽다. 평소 인공눈물을 사용해 각막표면을 편하게 해야 한다”라며 “휴식도 중요하다. 과로를 피하고, 술・담배도 끊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각막 건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구건조증’에 유의해야 한다. ‘라식수술’을 한 사람 중에 안구건조증 환자가 많은데, 이는 미세하게 신경이 잘려나가기 때문이다. 신경이 무뎌져 자극을 받지 못하면 눈물분비가 줄어든다.
여성들은 눈 화장을 하면서 눈의 기름샘(마이봄샘)이 막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기름은 눈물에 피막을 형성해 빨리 증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마이봄샘’이 막히면 눈이 건조해지고, 세균이 쉽게 자라는 환경을 만든다. 이밖에도 콘택트렌즈 관리를 잘 못해 발생한 합병증으로 안과를 찾는 사람이 많다.
김 교수는 “각막질환은 증상이 빨리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하룻밤 정도 괜찮겠거니 하지만 다음날에는 각막에 혼탁이 생길 수 있다”라며 “원인이 면역반응 때문인지 감염 때문인지 확인해야 하고, 감염 때문이라면 원인균이 바이러스인지, 세균인지, 곰팡이 때문인지 빨리 진단받아야 한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단계로 진전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3791063?sid=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