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수삼이
시삼이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혈소판 감소증(피부)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혈소판 감소증(피부)
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혈소판감소증이란 혈액 1마이크로리터당 15만-40만 개가 존재해야 하는 혈소판이 10만 개 미만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경도의 혈소판감소증이 있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건강검진 등을 통해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혈소판 수치가 심하게 낮으면 출혈 경향이 증가해 피부에 점출혈이나 자색반이 생길 수 있고, 이유 없이 반복되는 잇몸 출혈이나 코피, 월경 과다 등이 발생합니다. 드물지만 혈소판이 2만/uL 이하로 감소하면 외상 없이도 뇌출혈이나 장출혈 같은 주요 장기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원인


골수에서 혈소판의 형성이 감소하거나, 비장 같은 특정 기관에 혈소판이 포획되거나, 또는 혈소판의 파괴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 질환은 매우 다양하며, 사용하는 약물에 의한 일시적인 현상일 수도 있고 세균성 혹은 바이러스성 감염, 간경화, 항암제로 인한 골수 억제, 특발성 혈소판 감소증, 급성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일반적으로 경도의 혈소판 감소증이 있을 때는 별다른 증상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도가 심해질수록 출혈 경향이 증가하여 양치질할 때 잇몸에서 출혈이 발생하거나 피부에 멍이 잘 들 수 있습니다. 20,000/㎕ 이하로 감소하면 외상이 없이도 주요 장기에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치료법은 출혈이 일어난 경우에는 지혈을 하고, 체내 자가면역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합니다. 스테로이드를 완전히 중단한 후에 이 질병이 다시 재발한다면 많은 양의 면역글로불린을 투여하거나 수술을 통해 비장을 절제합니다. 만약 원인이 되는 질병이 있으면 우선적으로 질병을 치료하며, 혈소판 수치가 1㎣당 2만 개 이하이면 혈소판을 수혈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혈소판 감소증(피부) 질병평가 0건
이 질병에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평가 작성시300포인트 지급
혈소판 감소증(피부) 평가 작성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