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메디컬뉴스

메디컬뉴스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건강정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ADHD 발병 늘었다…"아동청소년 일상 붕괴 탓"

ADHD 2025-06-27 (금) 17:48 1개월전 27
https://sungyesa.com/new/news/631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 중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상민 서울대 의과대 가정의학교실 교수와 송지훈 고려대 구로병원 연구원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국내 ADHD 발병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으며 코로나19 감염자가 비감염자보다 ADHD 위험이 최대 2배 이상 높았음을 입증한 연구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이 구축한 전국 단위 보건의료 빅데이터(K-COV-N)를 바탕으로 2012~2023년 만 6~29세 인구 데이터를 추적 조사했다.

그 결과 팬데믹 이전(2017~2019년) ADHD 발병률은 인구 1000명당 0.85명이었으나 팬데믹 기간(2020~2022년)에는 2.02명으로 뛰었다. 약 2.4배 증가한 것이다.

특히 20대 청년층, 10대 청소년에서 증가폭이 두드러졌다. 20~29세 청년층의 경우 팬데믹 이전 대비 ADHD 위험이 약 3.9배 높았다.

또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라 ADHD 진단 위험은 확연히 달랐다. 팬데믹 기간 중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들은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보다 ADHD 위험이 평균 1.6배 높았고 6~12세 아동의 경우 감염자의 ADHD 발병 위험이 무려 2.4배에 달했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약 2배 이상의 위험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사회적 거리두기, 원격 수업, 야외 활동 제한 등 팬데믹 중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붕괴가 정신건강에 미친 파장이 내재적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일수록 감염 시 ADHD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나 취약 계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연구는 코로나19의 사회적 영향뿐 아니라 생물학적 영향도 ADHD 발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ADHD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한 진단 자체의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등 사회적 효과로 외에도 코로나19 감염 후 발생하는 신경염증과 면역반응의 변화가 뇌 발달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주도한 박 교수는“ADHD는 단순한 학습장애가 아니라 평생 영향을 미치는 교정가능한 신경발달질환이다”며 “팬데믹 이후 ADHD 증가세를 경계하고, 감염 이력이 있는 아동·청소년에 대해 조기 개입과 신경학적 평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출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584/0000033059>

[가슴성형] 땡큐❤️가슴성형
모양, 촉감, 볼륨 모두 퍼펙트한 진짜 보다 더 진짜 같은 가슴❤️
땡큐성형외과 서울 역삼동 2,415,773
2,750,000
[코성형] 슈가라인 코성형
만족도 높은 슈가 라인 코성형 충분한 상담과 정직한 진료!
슈가성형외과 서울 서초동 7,321,745
1,390,000
이 영역은 병원에서 등록한 광고 영역입니다.
ⓘ 광고

댓글 1건
짜코 2025-06-30 (월) 05:13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news/6318
요즘 성인 adhd도 많이 보이는듯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