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신경섬유종증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신경섬유종증 질병 평가
평가참여 4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2.0
통증경중
1.3
완치율
1.5

개요


피부, 신경계 또는 양자를 침범하는 임상증상을 가지는 유전적 질환으로 Riccardi에 의해 7가지 아형으로 분류됩니다. 제1형은 이전에 von Recklinghausen병으로 알려졌으며 모든 신경섬유종증의 85%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흔합니다. 수 mm에서 수 cm크기의 신경섬유종과 다수의 밀크커피색 반의 광범위한 분포를 보이며 중추신경계통의 병변은 없거나 약합니다. 제2형은 중추 또는 청각신경섬유종으로 양측 청신경종(acoustic neuroma)으로 구별이 됩니다. 제3(mixed)과 제4형(variant)은 제2형과 비슷하나 더 많은 수의 피부 신경섬유종을 가지고 있으며, 시신경교종, 신경초종 및 수막종 등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5형은 피부절 신경섬유종(dermatomal neurofibromatosis)으로 접합 후 체세포성 돌연변이로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유전성이 없습니다. 제6형은 신경섬유종 없이 밀크커피색 반만 보이며 제7형은 늦게 발병되며 20대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원인


1~4형까지는 보통염색체우성 유전을 하며 두 개의 명확한 보통염색체우성 질환이 알려져 있습니다. 85%를 차지하는 1형(NF1)은 17번 염색체의 NF1 유전자의 결손에 의하며, 2형(NF2)은 22번 염색체의 NF2 유전자의 결손으로 발생하며 환자의 10%를 차지합니다. 신경섬유종증 1형 환자의 50%에서는 NF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없이 새롭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3-1) 신경섬유종증 1형 다발성 신경섬유종, 밀크커피색 반점,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의 주근깨, 홍채의 색소과오종(Lisch 결절), 다양한 종류의 골병변, 혈관병증, 수도관의 협착, 시신경 신경아교종, 학습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피부증상> ① 밀크커피색 반점 출생시에 나타나며 생후 1년까지 수가 증가하며 나이가 들면서 흐려지기도 합니다. 1~3 cm의 타원형의 병변으로 팔꿈치, 두피, 손바닥, 발바닥을 제외한 어느 곳에나 발생 가능합니다. ② 다발 신경섬유종 피부연성섬유종(skin tag)이나 피부·피하의 결절 형태로 보이는 신경기원의 양성종양입니다. 피부형, 피하형, 결절얼기형(nodular plexiform), 미만얼기형(diffuse plexiform)으로 분류됩니다. 피부형은 주로 8~12세 사이에 발생하며 가장 흔한 형태로 부드럽고 살색이며 통증이 없습니다. 병변은 손가락으로 가볍게 누를 때 피부의 진피 결손부위를 통하여 안으로 밀려들어 갔다가 다시 튀어 오르는 감을 느낄 수 있는데(button hole sign) 이는 신경섬유종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피하형은 단단하고 고무 같으며 통증이 있습니다. 1형 환자의 약 20%에서는 1개 이상의 이 병변을 보입니다. 결절얼기형은 큰 피하형 신경섬유종의 그물망형 집락화(network clustering)로 발생하며 단단하고 압통이 있으며 심각한 신경학적 결핍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미만얼기형은 1형 환자의 5%에서 발생하며 진단적 가치가 있습니다. 선천적이며 피부의 전층뿐 아니라 인접 근막, 골 구조, 내부 장기를 침범하기도 합니다. ③ 겨드랑이 주근깨 1형 환자의 81%에서 발생하며 사타구니나 겨드랑이 등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서의 주근깨의 발생이 1형 환자에서 독특하며 이러한 주근깨는 얼굴과 같이 햇빛 노출부위가 아닌 점이 특이하며 대부분 생후 6세 이전에 발생합니다. ④ 소아황색육아종 1형 환아의 1%에서 발생합니다. <피부 외 증상> ① 중추신경계와 눈 증상 눈의 가장 흔한 증상은 6세 이상 환자의 94%에서 보이는 Lisch 결절로 다발성 홍채 멜라닌세포 과오종입니다. 이는 진단적 가치를 가지며 홍채 표면의 작은 황갈색 병변으로 나타나며 시력장애를 유발하지는 않습니다. 그 외에 맥락막 이상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 중추신경계 합병증으로 시신경교종이 있으며 소아기 초기에 10~15%에서 발생합니다. 다른 중추신경계 합병증으로 접형골의 형성이상(sphenoid dysplasia)이 있으며 이는 안구돌출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② 골격계 대두증과 저신장, 긴뼈의 가성관절증 등이 있습니다. 그 외에 내분비 장애, 심혈관계 이상, 신혈관 협착, 뇌혈관 폐색, 내장 허혈, 정신지체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2) 신경섬유종증 2형 증상은 보통 10대 또는 20대에 청력상실로 처음 발생합니다. 다발성의 느린 성장을 하는 신경계 종양, 특히 신경초종과 수막종이 잘 발생하며 특히 과거에 청신경종으로 불렸던 양측성 전정신경초종이 특징적입니다. 2형의 75%에서는 가족력이 없으며 자연돌연변이에 의해(sporadic) 발생합니다. 피부증상은 1형보다 밀크커피색 반은 적고, 명확하지 않으며 Lisch 결절도 드뭅니다. 접히는 부위의 주근깨는 없으며, 피부와 피하의 신경초종이 발생합니다. 신경섬유종은 드물지만 손바닥과 콧망울에 주로 발생하며 얼기형신경섬유종은 매우 드뭅니다. 눈의 이상으로는 후방피질 백내장, 망막 과오종, 시각신경유두 신경아교종, 시신경 수막종, 안검하수증 등이 있습니다.

진단


신경섬유종증의 진단은 미국 국립보건원 진단기준에 근거합니다. 제1형은 다음 중 2개 이상을 만족해야 합니다. - 최대직경이 사춘기 이전에서 5 mm 이상, 사춘기 이후에는 15 mm 이상인 밀크커피색 반이 6개 이상 - 종류에 관계없는 두 개 이상의 신경섬유종 혹은 하나의 총상 신경섬유종 - 겨드랑이나 사타구니의 주근깨 - 시신경 교종 - 두 개 이상의 Lisch 결절 - 접형골 형성이상 또는 긴뼈 피질이 얇아지는 등의 골병변 - NF-1을 가지는 일등친(부모, 형제자매, 자녀). 제2형은 다음 중 1)이나 2)를 보일 때 진단이 가능하다. ① CT 혹은 MRI에 나타나는 양측성 청신경 종양 ② 일등친에 NF-2가 있으면 편측성 청신경 종양 혹은 다음 중 두 가지 이상이 있을 때 : 신경섬유종, 수막종, 신경교종, 신경초종.

치료


신경섬유종의 외과적 절제술 외에는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으며 조기진단을 통한 유전상담과 합병증의 추적관찰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2형에서는 종양의 유일한 치료법으로는 수술과 특수 방사선치료가 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신경섬유종증 질병 평가 4건

주**** 2025-03-22 (토) 20:48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0206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신경섬유종
진단병원
서울대병원

치료후기

목 뒤에 섬유종이 크게 나서 병원 방문 후 제거 수술 하였음, 제거 후 다시 생길 수도 있다고 안내 받았는데 아직 생기지는 않아 다행임
신경섬유종이 생기면 제거할 수는 있으나 흉터없이 완벽히 제거되지는 않는 것 같음

장**** 2025-03-12 (수) 20:32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964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신경섬유종
진단병원
신경외과

치료후기

어느 날 몸에 작은 혹이 생겼길래 처음엔 별거 아니겠지 했어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그 혹이 커지고 자꾸 아프더라 그래서 병원에 갔더니 신경섬유종이라고 진단받았어 이건 신경에 붙은 양성 종양이라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했어

처음엔 수술 없이 관찰해도 된다고 해서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하면서 상황을 체크했어 그런데 혹이 계속 커지고 통증도 심해져서 결국 수술을 하게 됐어 수술은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졌고, 다행히 큰 문제 없이 회복할 수 있었어 수술 후엔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고, 주기적으로 병원에 가서 체크도 받고 있어

도**** 2025-03-08 (토) 22:10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80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서울대병원
진단병원
서울대 병원

치료후기

신경 섬유종 수술 후 약간 불편했지만 회복은 잘 됐어 첫 몇 주는 통증이 있었고 물리치료 하면서 점점 나아졌어 지금은 일상생활에 지장 없고 재발 방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검진도 받고 있어 아직 재발할 수도 있어서 관리가 중요하지만 치료 후 안정적인 상태라서 괜찮아

c**** 2025-03-08 (토) 21:50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802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신경섬유종
진단병원
서울대학병원

치료후기

커피반점을 동반한 피부에 종양이 생겨 피부과를 방문했다가 소견서를 받고 3차병원에 방문했습니다
그전부터 검색을 많이하고 가서 어느정도 예상했지만 확정 받았고 아직까지는 치료방법이 없어 종양이 어디에 생길지 몰라 꾸준이 추척관찰중입니다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신경섬유종증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