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여드름균이 감소하고 전체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 유전자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콜마는 이같은 내용의 연구논문을 SCI(과학기술인용색인)급 국제 저널 ‘마이크로오가니즘’ 10월호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여드름과 노화의 연관성을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콜마와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경북대 공동 연구진은 20∼29세와 60∼75세 한국인을 대상으로 여드름균을 조사했다. 그 결과 20∼29세 피부에서는 여드름균이 83%가량 있었던 반면 60∼75세 피부에는 61%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한국콜마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유익한 여드름균의 양을 늘려주는 성분(미생물의 먹이)을 담을 ‘전달체’와 이를 잘 스며들게 할 제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한국콜마는 여드름균이 무조건 나쁘다는 인식을 깨고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아토피 유발 유해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aureus)을 억제하는 유익한 여드름균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지난 11월 ‘BMC 게노믹 데이터(Genomic Data)’ 저널에 게재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피부에 유익한 여드름균 조절을 통해 피부 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해당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의 특허 출원을 완료했고 내년 하반기에는 제품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s://www.nongmin.com/article/202412135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