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메디컬뉴스

메디컬뉴스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
[건강정보]

“설마 이 나이에?”…‘조발성 치매’ 10년간 3.6배 증가

설마 2024-03-13 (수) 18:31 2개월전 68
젊을 때 발병하는 ‘조발성 치매’가 10년간 약 3.6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조발성 치매 환자수는 2009년 1만7772명에서 2019년 6만3231명으로 10년간 약 3.6배 증가했다.

흔히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교적 젊은 40~50대에도 발병할 수 있다. 이처럼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를 ‘조발성 치매’라 부른다.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에 비해 진행이 빠른 편이고 인지기능저하(기억력 감퇴)뿐만 아니라 언어장애·운동장애 등 관련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신경학적·유전적 검사를 비롯해 뇌영상검사·혈액검사 등 다양한 감별 진단이 꼭 필요하다.

조발성 치매가 발생하는 40~60대는 경제활동을 활발히 하는 연령층이다. 이 때문에 환자의 경력이 단절되고 피부양자는 경제적 어려움에 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 사회·경제적 부담이 심각한 질환이다.

다만, 치매 관련 국내 연구는 대부분 노인성 치매에 치중된 상황이다. 특히 조발성 치매에 대한 기본적인 역학 특성과 인구학적 통계 등도 확립돼 있지 않아 국내 환자의 정확한 특성 파악을 통한 연구기반 구축이 시급하다.

국립보건연구원 관계자는 “지난 2021년부터 전국 31개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조발성 치매환자에 대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며 “2023년까지 3년간의 1단계 사업을 통해 조발성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유전자를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발성 치매는 노인성 치매에 비해 유전적 특징이 뚜렷한 경우가 많다”며 “현재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된 환자들의 가족들을 추적·관찰 중이며 앞으로도 조발성 치매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출처<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2/0000039253>

1,990,820
2,699,569
이 영역은 병원에서 등록한 광고 영역입니다.
ⓘ광고

댓글 0건
hi
이전글  다음글  목록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