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중추신경계)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중추신경계) 질병 평가
평가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신체부위

개요


대장균은 사람과 동물의 장에 항상 존재합니다. 대부분 위해성이 없으나, 간혹 사람에게 식중독 등의 병을 일으킵니다. 이들을 병원성 대장균이라고 합니다. 병원성 대장균은 발병 특성에 따라 장출혈성 대장균, 장독소형 대장균, 장침입성 대장균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이중 장출혈성 대장균에 감염된 것을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이라고 합니다.

원인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의 감염원은 대장균 O157로 알려진 장출혈성 대장균입니다. 장출혈성 대장균은 장관 상피세포에 벽돌처럼 쌓여 대량의 독소를 생산합니다. 충분히 익히지 않은 육류, 샐러드 등 날것으로 먹는 채소, 소독되지 않은 우유 등을 섭취하여 전파될 수 있습니다. 사람과 사람 간의 직접 전파도 가능합니다.

증상


장출혈성 대장균에 감염되면 3~8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발열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 혈성 설사와 경련성 복통을 호소합니다. 설사는 혈액이 나오지 않는 경증에서부터 다량의 혈액이 나오는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합병증으로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 신장 기능 부전, 중추신경계 증상을 포함하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령이나 유아의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치료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은 대개 5~10일이면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됩니다. 감염된 환자는 격리 치료해야 합니다. 용혈성 요독 증후군이나 출혈성 설사를 치료할 때 항생제를 사용하면 장출혈성 대장균이 독소를 더 많이 분비해 질병 상태가 더 심각해지므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장출혈성 대장균으로 인한 설사는 탈수를 교정해주는 대증 치료만 해주면 보통 10일 이내에 회복됩니다. 용혈성 요독 증후군으로 진행되면 수혈이나 투석 등의 대증 치료를 시행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중추신경계) 질병 평가 0건

이 질병은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중추신경계) 질병찾아삼만리 평가 작성하기 작성시 300포인트 지급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