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라론 증후군(내분비기관)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라론 증후군(내분비기관) 질병 평가
평가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개요


라론 증후군이란 성장호르몬의 생산과 분비가 정상 범위이거나 높음에도 불구하고 성장호르몬의 생물학적인 효과가 감소하거나 소실된 유전질환입니다. 라론(Laron)에 의해 1966년 처음 보고되었으며, 성장호르몬 불감성 증후군(Growth hormone insensitivity syndrome)이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이 질환은 성장호르몬의 결핍과는 달리 성장 장애와 더불어 성장호르몬의 혈중 농도는 정상 범위이거나 증가된 수준을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원인


성장호르몬 수용체 유전자뿐만 아니라 성장호르몬과 인슐린양 성장인자 I 유전자, 성장호르몬방출 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등에도 돌연변이가 존재합니다.

증상


심한 외소증이 주된 증상입니다. 출생 시 키와 몸무게는 정상에 가깝습니다. 그러나 출생 후 성장 장애가 심합니다. 골연령이 낮으며, 팔다리가 몸통에 비해서 짧습니다. 지능은 정상이거나 다소 떨어집니다. 얼굴은 머리둘레에 비해서 작습니다. 사춘기가 3~7년이 늦습니다. 정상적인 성기능과 생식기능을 가집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지혈증을 보이고, 비만하며 골감소증을 보입니다.

치료


성장호르몬 치료에 반응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인슐린양 성장인자 I에 대해서는 반응합니다. 이 치료는 성장호르몬 결핍 환자를 성장호르몬으로 치료한 것보다는 성장의 반응이 적어서 치료를 해도 키가 그렇게 크게 자라지 않습니다. 또한 인슐린양 성장인자 I 수용체의 변이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인슐린양 성장인자 I으로 치료하여도 반응이 없습니다. 재조합 인슐린양 성장인자는 키의 성장과 뼈의 미네랄 밀도를 증가시키는 등 성장호르몬 수용체 유전자 변이, 성장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체계의 이상, 인슐린양 성장인자 I의 변이에 의한 성장호르몬 불감성 증후군의 효과적인 치료제입니다. 저혈당이 이 치료의 흔한 부작용입니다.
전체 내용 보기

라론 증후군(내분비기관) 질병 평가 0건

이 질병은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라론 증후군(내분비기관) 질병찾아삼만리 평가 작성하기 작성시 300포인트 지급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