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성대결절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6.

경과 및 합병증

7.

예방방법

성대결절 질병 평가
평가참여 4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3.5
통증경중
4.3
완치율
3.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개요


성대결절은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에 의해 발생하는 성대의 양성점막 질환입니다. 6~7세의 남자 어린이, 또는 30대 초반의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수, 교사 등의 직업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원인


지속적인 음성 남용이나 무리한 발성에 의해 생기며 6~7세의 남자 어린이, 30대 초반의 여성, 가수나 교사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특히 구개열(입천장 갈림증)이 있는 어린이의 경우 연구개 인두 부전을 보상하기 위해 성대를 무리하게 사용하여 성대 결절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성 시 마찰이 가장 많은 부위인 막성성대(membranous vocal cord)의 중간 지점에 양측성의 넓은 기저부를 가진 희고 반짝이는 돌기로 관찰됩니다. 반복되는 진동으로 성대점막이 자극을 받으면 초기에는 부종과 혈액저류로 인해 라인케 강(Reinke's space)에 울혈, 출혈, 및 섬유소 침착이 발생하고, 더 진행되면 유리질화(hyalinization), 섬유화가 발생하여 결절이 점점 단단해집니다. 상피가 두꺼워져 각화증, 극세포증, 착각화증 등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음성 과용이나 상기도 감염 후 자주 재발하는 애성(쉰 목소리)입니다. 특징적으로 노래할 경우에 대화할 때보다 더 민감하게 느껴지며, 결절이 성대의 진동을 방해하여 지연발성(delayed phonatory onset), 고음에서의 분열이나 부드럽지 못한 소리, 중복음(diplophonia) 등이 생깁니다. 병의 경과나 음성 남용 등에 따라 결절의 크기, 색깔 및 대칭도가 틀리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양측성이며 미세 혈관 확장 등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결절은 성대내 낭종(성대 점막 아래에 주머니 모양의 물혹이 생기는 질병)과 감별 진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대 내 낭종은 주로 한쪽에만 생기며 후두 스트로보스코피(stroboscopy, 성대의 진동양식을 통해 후두의 병을 진단하는 검사법) 상에서 성대 진동이 중단되는 특징이 있어 결절과 감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낭종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감별이 어려워 수술 중에 확진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진단 및 검사


후두 내시경(laryngeal telescope) 및 굴곡형 내시경(fiberscope)으로 성대 점막에 생긴 병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성대결절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후두스트로보스코피(laryngostroboscope)를 통하여 점막 파형의 유무 등을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


성대 점막의 원활한 윤활 작용을 위해 성대에 습기를 충분히 보충하고, 수술적 치료보다 음성 휴식, 음성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성대결절 치료의 원칙입니다. 음성치료에 의해 환자의 80% 이상에서 증상 호전이 가능하며, 이는 수술 후에 생기는 상흔(상처를 입은 자리의 흔적)이나 과형성 등으로 인해 60% 이상의 환자에서 증상이 악화됨을 고려해 볼 때, 수술적 치료보다 보존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합니다. 특히 소아에서의 음성치료 효과가 성인에서보다 더 좋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는 최소 3개월 이상 보존적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음성에 장애가 있는 경우에 시행하며, 후두미세수술이나 이산화탄소 레이저 등을 사용합니다. 소아의 성대결절은 원칙적으로 수술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첫째, 수술 후 재발이 잦고, 둘째, 소아는 후두의 크기가 작으므로 병소를 정확하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셋째, 사춘기 이전에 대부분 결절이 자연적으로 소멸되며, 넷째, 수술 후 음성휴식에 대한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치료 후의 효과를 판단할 때에는 후두경 검사 결과나 음성분석 결과보다는 본인의 만족도가 더 중요합니다. 치료 효과를 자세히 검사해야 하고, 영양, 간호, 언어 등을 포함한 여러 분야의 다각적 접근이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경과 및 합병증


음성 위생(vocal hygiene)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선 습관성 헛기침은 성대점막에 만성적으로 손상을 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을 조금씩 자주 마시도록 합니다. 또한 기침은 조용히 하도록 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말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대부분의 속삭이는 소리 역시 성대에 좋지 않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고함을 지르거나 큰 소리를 내는 것도 피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큰 소리가 필요할 때는 휘파람이나 벨을 사용하고, 큰 소리를 내기 쉬운 시끄러운 환경, 즉 식당이나 공공장소 등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말을 과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하루에 두세 번씩 20분간 침묵하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지나친 카페인 섭취는 소변량을 늘려 성대의 수분 공급에 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전신에 충분히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서 음식을 먹을 때마다 되도록 물을 많이 마시고, 물을 가지고 다니면서 자주 마시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전반적인 신체의 피로가 목소리에 나타나게 되므로 충분한 휴식이 목소리 건강에 필수적입니다.

예방방법


무리하게 큰 목소리의 사용을 피하고, 음성을 많이 사용한 뒤 목소리가 쉬거나 변성된 것이 느껴질 경우 바로 휴식을 취하고 가능하면 목소리를 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충분한 물을 섭취한다. 카페인 및 음주는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성대결절 질병 평가 4건

d**** 2024-12-30 (월) 02:03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7962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성대결절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성대결절에 걸렸을 때 진짜 힘들었어. 목소리가 쉬고, 아예 안 나올 때도 있었거든. 말을 많이 하면 목이 아프고, 말할 때마다 힘이 들어서 일상생활이 불편했어.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고, 목소리 쉬는 건 물론이고, 목을 잘 보호하고, 물 많이 마시고, 차가운 음료는 피하라는 말 듣고 나서 조금씩 나아졌어. 1~2주 정도 휴식하면서 치료했더니, 다행히 회복되더라. 그때 이후로 목소리 관리 정말 신경 쓰게 됐어.

양**** 2024-12-25 (수) 23:21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781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성대결절
진단병원
김영석이비인후과

치료후기

난 성대결절 초기? 성대결절 전 단계 라는 진단을 받았는데 일단 한쪽 목이 아팠고 말하는거엔 지장이 없었어 내가 너무 무리하게 목을 써서 그랬던거같아 스테로이드 약 뿌리는거 쓰고 따뜻한물 많이 마시고 휴식 취하면 완치는 되는거같아

핑**** 2024-12-25 (수) 08:37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7766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성대결절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2년전에 감기 심하게 걸려서 기침을 좀 말도 안되게 했더니 성대결절이 왔어요.. 나도 그렇게도 올 수 있는지 처음 알았어요 목도 아프고 목소리도 안나오고 2년이나 지났는데 목소리가 완전 전으로 안돌아오더라구요 .. 그 뒤로 노래방 안가요ㅠ 원래 가는 거 좋아했는데 목소리가 안올라감 한계가 있다고 해야하는가 ㅠㅠ

삐**** 2024-12-24 (화) 11:23 3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774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성대결절
진단병원
이비인후과

치료후기

성악 연습을 너무 무리하게 해서 성대결절 걸림.. 소리가 잘 안붙고 목이 통증이 있어서 병원에 갔더니 성대에 굳은살 배겼다고 했었음.. 약도 없고 그냥 쉬어야하고 물 많이 먹어야한다고 해서 그 당시엔 정말 절망적이었는데
시간이 약인듯 ㅠ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성대결절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