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점막하근종은 자궁의 안쪽인 점막 근처 근육에서 발생하여 자궁 안쪽으로 자라나는 형태의
자궁근종 입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근종 중에서도 자궁내막의 모양을 직접적으로 변형시키는 근종이기 때문에
자궁근종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근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리통, 생리과다, 부정출혈 등의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불임,
고사난자(유산) ,조산 등의 원인으로 작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히 가임기 여성이라면 주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으로 점막하근종 발견 즉시 치료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원인
점막하근종의 원인은 유전적, 체질적, 여성호르몬의 이상 분비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뚜렷한 원인은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의 안쪽에 있는 점막에서부터 발생하는 근종으로 작은 크기의 근종에서도 출혈의 위험성이 높고 가장 다양한 합병증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증상
점막하근종의 증상은
생리통, 생리과다, 부정출혈,
빈뇨 등의 증상들이 대표적으로 발생되며 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특히 가임기 여성이라면 별다른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주기적인 검진을 받아보실 것이 좋습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 안쪽의 점막과 가까운 곳에 자라며 다른
자궁근종에 비해 크기가 작아도
생리통, 생리 과다, 출혈 등의 증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진단/검사
개인에 따라 근종의 개수, 모양, 위치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으며 크기 또한 다양합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층의 아래에 인접하여 존재하는
자궁근종입니다. 점막하근종은 크기가 작더라도 생리통, 생리과다, 난임 등의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자궁근종 중에서도 가장 치료가 시급한 근종입니다.
치료
점막하근종은 자궁벽의 침범 정도에 따라 T:0, T:1, T:2로 분류되며 각 경우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점막하근종의 제거 방법은 크기, 자궁벽의 침범 여부 등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할 수 있습니. 위치상 복강경 수술로는 제거가 어려운 편으로 일반적으로 경부를 통한, 자궁경 이용한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점막하근종은 자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자궁내막층, 자궁접합층과 인접해있기 때문에 함부로 치료를 진행해서는 안됩니다. 특히 가임기 여성의 경우 자궁내막층과 접합층 손상 시 점막하근종 제거 후에도 임신이 불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한 치료법을 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점막하근종은 매우 많은 여성들이 겪고 있는 자궁질환입니다. 그러나 점막하근종은 난임, 불임 등의 큰 문제로 이어져 많은 여성들에게 심리적 불안감과 우울감을 안겨주고 있기 때문에 안전한 방법으로 치료하여 원활한 임신이 가능하도록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