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접속자 0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방아쇠 수지

목차
1.

개요

2.

원인

3.

원인

4.

진단 및 검사

5.

치료

6.

경과 및 합병증

7.

예방 방법

방아쇠 수지 질병 평가
평가참여 4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2.3
통증경중
3.3
완치율
2.3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개요


방아쇠 수지(손가락)란 손가락 굽힘 힘줄(굴곡건)에 결절 또는 종창이 생기거나 손등뼈 골두 손바닥 쪽에 위치한 A1 도르래가 두꺼워져, A1 도르래 아래로 힘줄이 힘겹게 통과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현상입니다. 손가락을 움직일 때 힘줄(건)이 병변 부위를 통과하면서 심한 마찰이나 통증이 느껴져 움직이기 힘들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딱 소리가 나면서 움직여지는 질환입니다. 마치 방아쇠를 당길 때와 비슷한 현상을 보이기 때문에 방아쇠 수지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 병은 매우 흔한 질환으로 40~60대 중년 여성의 4번째, 3번째, 그리고 엄지손가락에 많이 발생합니다.

원인


대개 특정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는 특발성인 경우가 많습니다. 손잡이 자루가 달린 기구나 운전대 등을 장시간 손에 쥐는 직업이나, 골프 등 라켓을 쥐고 하는 운동 때문에 반복적으로 손바닥이 마찰되면서 발생되기도 합니다. 또한 당뇨병, 통풍, 신장질환, 류마토이드 관절염, 결절종(갱그리언) 등에 의해 이차성 방아쇠 수지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원인


일반적인 임상적 증상은 마찰이 일어나는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간혹 방아쇠 소리와 유사한 &039;딸깍&039; 거리는 마찰음(방아쇠 현상)이 들리기도 합니다. 아픈 손가락을 손등 쪽으로 늘려주는 동작을 하면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아픈 손가락의 손바닥 쪽 손등뼈 골두 부위에 압통을 느끼고, 간혹 만져지는 결절이 있기도 합니다. 아주 심하면 그림과 같이 손가락이 굽혀지거나 펴지지 않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진단 및 검사


방아쇠 수지의 전형적인 증상인, 힘줄이 걸렸다가 풀리는 순간에 발생하는 탄발음, 즉 방아쇠 현상을 느끼거나 들을 수 있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는, 힘줄이 도르래의 원위부에 걸려서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에도 진단될 수 있습니다. 보통 신체 검진만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초음파 검사나 MRI를 통해 힘줄의 방추성 비대나 도르래의 부종을 확인하여 진단하기도 합니다.

치료


방아쇠 수지는 힘줄과 힘줄이 지나가는 관이 잘 맞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시간이 경과하면 관이 스스로 늘어나 증상이 없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아주 불편하지 않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단순 관찰 만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를 단기간 사용하면 증상이 완화되거나 사라지기도 합니다. 바르는 소염진통제 크림도 효과가 있습니다. 국소 마취제와 함께 스테로이드를 힘줄막(건막)내로 주사하면 단기적으로 치료 효과가 아주 좋지만, 주입한 직후에 통증이 심할 수 있고, 주사 부위에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주사를 너무 자주 맞게 되면 주변 피부의 탈색, 피하지방의 위축, 힘줄(건)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수술적 치료는 스테로이드 주입으로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재발한 경우, 증상이 9~12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손가락의 잠김 현상이 있어 굽혀지거나 펴지지 않는 경우에 실시합니다. 수술할 손가락의 손바닥 쪽 손등뼈 골두부위에 국소마취를 하고 1~1.5cm 정도 피부를 절개한 뒤, A1 도르래를 세로로 절개합니다. 절개 후 방아쇠 현상이 없어진 것을 확인하고 피부를 봉합합니다. 수술 후 약 14일이 지나면 피부 봉합사를 제거합니다. 수술 시 합병증으로는 감염, 신경 손상이 드물게 있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손가락이 굳는 수지(손가락) 강직은 수술 직후부터 손가락 운동을 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습니다.

경과 및 합병증


대부분 단순 경과 관찰만으로도 시간이 지나면서 도르래가 스스로 늘어나 힘줄과 도르래가 마찰 없이 잘 맞게 되어 증세가 없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아주 심한 경우에는 손가락이 고정돼서 움직이지 않는데, 그럴 때는 국소 마취 하에 간단한 수술로 치료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특별한 예방방법은 없습니다. 또한 장시간 동안 손잡이 등을 손에 쥐는 반복작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방아쇠 수지 질병 평가 4건

유**** 2025-03-22 (토) 01:42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10193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방아쇠수지증후군
진단병원
세브란스

치료후기

어느순간 중지가 말려들어가서 아침에 일어나면 굳은채로 있고 이걸 억지로 피려고 하면 엄청난 통증이 있어서 동네 의원을 갔습니다

약을 먹고 고주파였나 무슨 물리치료 받고 하는데 차도가 없어 세브란스 병원을 갔더니 생긴지 얼마 안됐고 좀 기다려보자 기다리면 낫는다라고 하시더라구요

정형외과 교수님뿐만 아니라
지인으로 알고 있는 응급의학과 교수님도 옛날에 있었는데 다 자동으로 낫는다 라는 말을 하셔서 치료가 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정형외과 교수님이 건 시술을 할 수는 있으나 부작용이 크고 재발가능성 있다고 추천안하신다고 하셧어요

방아쇠수지증후군 치료방법은 그냥 손 무리를  안하면 됩니다 손 무리를 덜하니까 또 한동안 괜찮더라구요 지금은 생기는날이 있고 안생기는날 있고 합니다 구리고쿠팡에서 중지손가락이랑 손바닥이랑 손목 일자로 이어지는거 파는데 그거 사면 아침에 안아프게 손가락을 필 수 있어요

박**** 2025-03-12 (수) 19:47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957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방아쇠수지
진단병원
재활의학과

치료후기

처음엔 손가락이 뻑뻑하고 아프길래 그냥 피곤해서 그런 줄 알았어 그런데 점점 구부릴 때 걸리는 느낌이 들고, 아침에 손이 특히 잘 안 펴지는 거야 결국 병원 가서 검사받았더니 방아쇠수지라고 하더라 초반엔 소염제랑 물리치료 받으면서 스트레칭도 해봤는데 큰 차도가 없었어 결국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았는데 확실히 통증이 줄었어 그래도 자주 재발하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해서 손을 너무 무리하지 않게 쓰면서 관리하고 있어 지금은 많이 좋아졌지만, 혹시 또 심해지면 빨리 병원 가

가**** 2025-03-12 (수) 14:56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946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방아쇠수지증후군
진단병원
정형외과

치료후기

이른나이에 관절염이라도 온건가 했는데 방아쇠수지 증후군이라 진단 받음. 손을 많이 쓰는 직업군에서 걸릴 수 있는 질명이라고 말씀해주셨고 가능한 손을 많이 쓰지말라고 말씀해주셨지만 현대사회에서 손을 많이 안 쓸 수 가 없어서 곤란한 상황

혜**** 2025-03-08 (토) 23:44 1개월전
주소 https://sungyesa.com/new/mediinfo/9819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방아쇠수지
진단병원
세브란스

치료후기

손가락이 구부러진 채로 걸리는 느낌이 들고 펴려고 하면 통증이 심해서 불편했어 아침에 특히 더 뻣뻣하고 아팠는데 병원 가서 방아쇠수지 진단을 받았어 초반에는 소염제랑 스트레칭으로 관리했는데 호전이 잘 안 돼서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받았어 주사 맞고 나서는 통증이 많이 줄었고 손가락도 훨씬 부드럽게 움직였어 지금은 무리하지 않도록 손을 자주 풀어주고 스트레칭하면서 재발하지 않게 관리하고 있어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방아쇠 수지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전글  다음글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