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YESA
현재접속자
0
명
최근게시물
발품노트
알림
0
쪽지
0
JOIN
LOGIN
KR
EN
메인메뉴
전체메뉴열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전체메뉴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남자성형
피부질환
내과/산부인과
심리/신경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성형후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후기
남자성형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하기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헤어라인상담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최근 검색어
닫기
성예사
공지사항
등업신청
1:1문의
S코인
리워드이벤트
커뮤니티
성형관련수다방
코제거/재건 포럼
남자성형 포럼
피부질환 포럼
내과/산부인과 포럼
심리/신경 포럼
익명수다방
수술회복실
고치면어때요
Global Forum
예사마켓
체험단게시판
성형후기
전체후기 모아보기
코성형후기
눈성형후기
시력교정후기
윤곽/FACE후기
양악/교정/치과후기
가슴성형후기
체형/바디성형후기
쁘띠/레이저후기
코제거/재건 후기
남자성형 후기
통합발품후기
병원등록후기
성형실패&부작용사례
평판찾아삼만리
Medical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검색
Life
뷰티찾아삼만리
동물병원찾아삼만리
건기식후기삼만리
OTT찾아삼만리
GYM찾아삼만리
병원&닥터
병원이벤트티켓
Doctor's Blog
유튜브게시판
병원포토연동후기
병원포커스리뷰앤톡
원스탑견적받기
메디컬뉴스
전문의상담
안면윤곽,광대,턱상담
-라비앙성형외과
헤어라인상담
-모디헤어플란트
성형자료실
연예인인명사전
질병후기삼만리
병원찾아삼만리
닥터찾아삼만리
수술찾아삼만리
시술찾아삼만리
의약후기삼만리
질병후기삼만리
교수찾아삼만리
수술/견적가
Life 평판
등록하기
질병
후기삼만리
제목
전체
검색
등록자료 1,563건, 최근 0 건
전체
수술&질병명
의학정보
주요질병
여드름
탈모
척추질환
신장병
당뇨
치매
뇌질환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류마티스
헤르페스
유방암
심혈관
정신건강
진료과목
가정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과
신경외과
안과
영상의학과
응급의학과
이비인후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중환자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치과
피부과
핵의학과
내과
감염내과
내분비대사내과
류마티스내과
소회기내과
순환기내과
신장내과
알레르기내과
입원전담내과
혈액종양내과
호흡기내과
외과
간담췌외과
내분비외과
대장항문외과
소아외과
위장관외과
유방외과
이식외과
혈관외과
흉부외과
신체부위
머리
눈
코
입
턱
얼굴
목
가슴등
복부
생식비뇨기
팔과손
다리와발
뼈근육
피부
뇌
내분비기관
림프
심장
소화기관
신경계
어깨
전신
척추
치아
호흡기관
혈액혈관
수술&질병명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승모판 협착
승모판막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입니다. 승모판막 협착증의 대부분 원인은 류마티스성(rheumatic)입니다. 이는 류마티스열(rheumatic fever)이라는 질환에 의하여 심장판막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이 염증이 아물면서 판막이 서로 들러붙고 석회화됩니다. 이로 인해 판막이 심실의 이완기…
질병 평가 0 명
0.0
수정대혈관 전위
수정대혈관전위는 심장 내의 연결이 두 번 바뀐(double discordance) 선천성 심기형입니다. 선천성 심기형의 0.5~1.4% 정도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입니다. 이 기형이 있으면 우심방 → (형태학적으로) 좌심실과 연결 → 폐동맥이 나오며 좌심방 → (형태학적으로) 우심실과 연결 → 대동맥이 나오게…
질병 평가 0 명
0.0
레리시 증후군
레리시 증후군은 원위부의 복부 대동맥에서 시작하여 위로는 신장동맥까지, 아래로는 골반 내에서 장골동맥으로 분지되는 부위까지 죽상 동맥 경화로 인해 혈관이 좁아져 발생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원인 레리시 증후군의 주요 원인은 죽상 경화증입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흡연 등이 위험 요인입니다. …
질병 평가 0 명
0.0
단심실
단심실의 정의는 외과적 치료 측면과 해부학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외과적 치료 측면에서의 정의는 양 심실 교정 수술이 불가능한, 따라서 폰탄(Fontan) 수술이나 1 & 1/2 심실 교정만 할 수 있는 모든 심장 기형을 의미합니다. 원인 단심실의 원인은 대부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가…
질병 평가 0 명
0.0
탄저병
탄저병은 탄저균(Bacillus anthracis)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전염성 감염 질환입니다. 탄저균에 노출된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다를 수 있으며, 균은 대부분 피부를 통해 침범하고 드물게 흡입이나 입을 통하여 들어와 호흡기 또는 소화관을 침범하기도 합니다. 원인 탄저병 포자를 만지거나 흡입하거나 …
질병 평가 0 명
0.0
두개인두종
두개인두종은 뇌 중앙에 있는 뇌하수체 부위에 발생하는 뇌종양의 일종입니다. 뇌하수체란 뇌의 정중앙부 하단에 위치한 부위로 주 기능은 젖분비 호르몬, 정상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황체형성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 등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입니다. 원인 정…
질병 평가 0 명
0.0
아폴로눈병
결막은 눈(안구)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으로 흰자 부분인 구결막과 윗눈꺼풀을 뒤집거나 아래눈꺼풀을 당겼을 때 진분홍색으로 보이는 검결막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결막부위가 엔테로 바이러스 제70형이나 콕사키 바이러스 A24형에 감염되어 생기는 염증을 아폴로 눈병(급성 출혈결막염)이라 합니다. 아폴로 눈병이라는 …
질병 평가 0 명
0.0
미나마타병
미나마타병은 수은 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입니다. 1956년 일본의 구마모토현 미나마타시에서 메틸수은이 포함된 조개 및 어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집단적으로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문제가 되었던 메틸수은은 인근의 화학 공장에서 바다에 방류한 것으…
질병 평가 0 명
0.0
척수병증
척수는 길이가 41~45cm에 이르는 긴 구조물이며, 운동신경, 감각신경 및 자율신경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많은 질환들이 척수를 침범하여 운동신경, 감각신경 및 자율신경 장애로 구성되는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는데, 이를 통칭하여 척수병증(myelopathy)이라고 부릅니다. 원인 척수에 생기는 질환은 원인…
질병 평가 0 명
0.0
자궁 외 임신
자궁 외 임신은 수정란이 정상적인 위치인 자궁몸통의 내강에 착상되지 않고 다른 곳, 즉 난소에서 나온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하는 난관, 난자를 생산하는 난소, 자궁을 지지하는 여러 인대, 복강,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경부 등에 착상되는 임신을 말합니다. 원인 자궁 외 임신에서 수정란이 흔히 착상하는 부위…
질병 평가 0 명
0.0
곤충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는 곤충에 쏘이거나(주로 벌, 개미) 물리거나(주로 모기), 곤충의 배설물 혹은 사체 부스러기를 흡입하여(주로 바퀴벌레)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알레르기 반응을 말합니다. 원인 곤충이 쏘거나 물었을 때 우리 몸에 주입되는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이나, 혹은 곤충의 화학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에(면…
질병 평가 0 명
0.0
척수소뇌변성증
척수소뇌변성증은 서서히 소뇌에 퇴행성 변화가 오는 유전성 소뇌 이상 질환군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소뇌 기능 이상만 있는 질환이 있는 반면, 소뇌 기능 이상 외에도 다른 뇌, 척수, 말초신경의 이상을 동반하는 질환도 있습니다. 대개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발병하나, 6세 정도의 아동기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습니…
질병 평가 0 명
0.0
아연결핍증
아연결핍증이란 적은 양이지만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원소인 아연이 부족해지면서 생기는 현상을 일컫는다. 아연은 우리 몸에서 면역 체계, 성장, DNA 생산, 상처 회복, 효소 활성, 감각 등에 관여하는 중요한 미량 원소이다. 아연은 체내에 저장되지 않고, 아연이 함유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우리 몸에 공급된다. 아연…
질병 평가 0 명
0.0
다계통위축증
다계통위축증은 임상적으로 파킨슨 증상(안정떨림, 경직, 운동완만 및 자세 불안정성 등)이 나타나면서, 초기에 두드러진 자율신경계 증상(위장관 장애, 침흘림, 삼킴곤란, #변비#, 기립#저혈압#, #다한증#, 배뇨장애, 성기능장애, 안구건조증 등)이나 소뇌 증상(미세운동실조, 보행장애, 반복된 넘어짐, 발음장애, 안…
질병 평가 0 명
0.0
죽상동맥경화증
죽상경화증은 오래된 수도관이 녹이 슬고 이물질이 침착하여 지름이 좁아지게 되는 것처럼, 주로 혈관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내막(endothelium)에 콜레스테롤이 침착하고 내피세포의 증식이 일어난 결과 ‘죽종(atheroma)’이 형성되는 혈관질환을 말합니다. 죽종 내부는 죽처럼 묽어지고 그 주변 부위는 단단한…
질병 평가 0 명
0.0
칼만 증후군
칼만 증후군은 희귀한 유전 질환으로, 시상하부로 알려진 성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을 생산하는 기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칼만 증후군 환자들은 후각을 감지하는 뇌의 한 부분인 후각 뇌에 이상이 생겨 후각 상실을 겪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냄새를 맡지 못합니다.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교류…
질병 평가 0 명
0.0
설소대 단축증
설소대 단축증은 혀 밑에 위치하여 혀와 구강저를 연결하는 설소대가 단축되어 혀의 운동에 과도하게 제약을 가하는 질환입니다. 설소대의 단축 정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원인 설소대 단축증의 원인은 선천적인 발육 부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수술과 외상으로 인해 생기기도 합니다. 증상 설소대 단축…
질병 평가 0 명
0.0
내상과염
내상과염은 팔꿈치 안쪽의 튀어나온 뼈에 염증이 생겨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골프를 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난다고 하여 ‘골프엘보’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골프와 상관없이 집안일을 하거나 팔을 많이 사용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팔꿈치 관절과 팔에 무리한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질 때 나타날 수 있습…
질병 평가 0 명
0.0
외반슬
외반슬은 차렷 자세로 똑바로 섰을 때, 무릎 아래가 서로 닿지 않고 벌어져서 X자 모양으로 벌어지고, 발목이 바깥으로 벌어진 다리를 말합니다. 보통 3세 이전의 아이에게 나타나는 외반슬은 정상입니다. 95% 이상은 7세 정도에 저절로 좋아집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X자 다리가 심하면 치료해야 합니다. 주로 양쪽 다…
질병 평가 0 명
0.0
베이커 낭종
베이커 낭종은 무릎 뒤 안쪽에 생긴 #물혹#을 의미합니다. 낭종은 맑고 끈적끈적한 액체가 혹 안에 채워진 것을 의미하며, 암과 상관없는 양성 혹입니다. 퇴행성 #관절염#이 있으면 잘 발생합니다. 어린아이에게도 간혹 발생합니다. 원인 베이커 낭종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습니다. 무릎 관절에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질병 평가 0 명
0.0
내반슬
내반슬은 고관절(엉덩이)과 족근관절(발목관절)을 이은 직선에서 슬관절(무릎관절)의 중심이 바깥으로 놓이면서 무릎관절이 바깥으로 활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하지 3대 관절의 정상적인 배열은 고관절, 슬관절, 족근관절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입니다. 원인 정상적으로 1세 미만의 유아에게서 생리적 내반…
질병 평가 0 명
0.0
자궁 발육부전
자궁 발육부전은 자궁이 완전하게 성숙하지 못하여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여성은 사춘기에 들어서면 여성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난소, 자궁, 외음부, 유방, 음모 등에서 2차 성징이 나타납니다. 사춘기 때에 중병에 걸렸거나 영양실조 때문에 신체가 쇠약해진 경우, 과중한 육체 노동으로 성장을 위한 조…
질병 평가 0 명
0.0
신체형 장애
신체형 장애는 신체 질환처럼 보이는 정신 장애로, 환자가 다양한 신체 증상을 호소하지만 이에 합당한 검사 소견이 발견되지 않고, 기존의 신체 질환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설명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환자가 울렁거리고 소화가 안 되어서 병원에 방문해 여러 가지 검사를 했는데도 검사 결과상 아무런 이상 소견이…
질병 평가 0 명
0.0
혈액 응고 장애
혈액응고는 다쳐서 피가 날 때 혈액이 엉겨 붙어 피를 멎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혈소판과 혈액응고인자들이 상처 부위에서 서로 도우며 피를 멎게 합니다. 그런데 혈소판이나 혈액응고인자가 모자라거나, 그 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출혈이 일어나도 피가 잘 멎지 않습니다. 원인 혈관이 손상되어 혈관 벽의 콜라겐(col…
질병 평가 0 명
0.0
유잉육종
유잉육종은 뼈에 생기는 #소아암# 중의 하나로, 소아와 청소년에게 주로 발생합니다. 골육종 다음으로 흔한 암입니다.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잘 발생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생하지 않는 질병입니다. 원인 유잉육종은 유전적으로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 방사선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전체 환자의 80% 이상은 …
질병 평가 0 명
0.0
용혈빈혈
용혈 빈혈은 적혈구가 정상적인 수명인 100~120일을 채우지 못하고, 정상보다 빠르게 파괴되어 생기는 빈혈입니다. 평상시에는 약 1%의 적혈구가 순환 혈액에서 제거됩니다. 골수는 제거되는 적혈구의 수만큼 새로운 적혈구를 생산합니다.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지면 골수의 조혈 기능이 증가합니다. 골수는 필요에 따라 정상…
질병 평가 0 명
0.0
아밀로이드증
아밀로이드증은 아밀로이드(amyloid)라는 단백질이 한 곳 이상의 조직(tissue)이나 장기(organ)에 지나치게 쌓여서 조직이나 장기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을 총칭합니다. 정상적으로 단백질은 생성 비율과 같은 비율로 분해됩니다. 그러나 아밀로이드 침전물은 대단히 안정적이어서, 이것이 분해되는 속도보다 …
질병 평가 0 명
0.0
소적혈구빈혈
적혈구 크기가 정상 크기에 비해 커진 것을 대적혈구빈혈, 작아진 것을 소적혈구빈혈이라고 합니다. 소적혈구빈혈은 골수의 적혈구 전구 세포에 운반되는 철분의 양이 부족한 철결핍성 상태 또는 염증 반응에 의한 운반의 장애에 의해 발생합니다. 철분의 양이 정상이어도 헴(heme)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작용이 억제되는 철적…
질병 평가 0 명
0.0
범혈구감소증
범혈구감소증은 혈구 세포가 감소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혈액 속에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감염을 막는 #백혈구#, 출혈을 멎게 하는 혈소판이라는 세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혈구 세포들은 골수에서 만들어지며, 혈액 속에서 일정한 수를 유지하면서 존재합니다. 원인 범혈구감소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
질병 평가 0 명
0.0
린치 증후군
린치 증후군은 #대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장기에 암을 발생시키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주로 자궁내막, 난소, 위, 소장, 간담도, 뇌, 피부 등에서 발생하는 암과 관련이 있습니다. 원인 린치 증후군의 원인은 DNA 복제 시에 발생하는 손상을 찾아내서 고치는 역할을 담…
질병 평가 0 명
0.0
다발골수종
다발골수종은 골수에서 면역체계를 담당하는 #백혈구#의 한 종류인 형질세포(Plasma Cell)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하여 발생하는 혈액암을 의미합니다. 다발골수종은 뼈를 침윤하여 녹임으로써 잘 부러지게 하며, 골수를 침범하여 이를 감소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의 수가 감소하여 감염, #…
질병 평가 0 명
0.0
과오종
과오종이란 정상 기능을 하는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양성 종양의 일종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암, 즉 악성 종양은 불완전한 세포로 분화가 이루어지며 계속 자라고 전이됩니다. 그러나 과오종은 정상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한정 자라지 않습니다. 또한 #혈관종#처럼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없어지기도 합니다. 암으로…
질병 평가 0 명
0.0
스미스 마제니스 증후군
스미스-마제니스 증후군(Smith-Magenis syndrome, SMS)은 1980년대 유전학자인 Ann C.M.과 M.A에 의해 처음으로 이름 붙여졌습니다. 이 질환은 특징적인 얼굴과 발달 지연, 인지 장애, 행동 문제를 보이며, 출생아 2만 5,000명당 1명꼴로 발생합니다. 원인 스미스-마제니스 증후…
질병 평가 0 명
0.0
프레더윌리증후군
프라더 윌리(Prader-Willi) 증후군은 15번 염색체 이상 질환으로, 1956년에 프라더, 레브라트, 윌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이 질환은 신생아 초기에 근긴장도 저하, 체중 증가 부족, 발달 지연을 보이다가 아동기 이후 비만, 저신장, 성선 기능저하증, 정신 지체, 근긴장 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발…
질병 평가 0 명
0.0
저신장
저신장은 나이에 맞지 않게 성장의 지연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의학적으로는 저신장을 또래에 비하여 신장의 발육이 지연되어, 같은 연령과 성별을 가진 소아의 정상 성장 곡선에서 100명 중 앞에서 3번째 미만인 작은 신장을 가진 경우로 정의합니다. 원인 저신장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부모나 가족의 키가 …
질병 평가 0 명
0.0
갈색세포종
갈색세포종은 주로 부신수질에서 발생하는 #종양#을 말합니다. 부신 이외에 교감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대동맥 주위와 방광 등에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갈색세포종은 양성 및 악성 여부를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진료상으로 종양이 하나의 장기에 국한된 경우를 양성으로 판단하며, 임상적으로 주위의 장기로 침윤하거나 림프절, 뼈,…
질병 평가 0 명
0.0
크루존증후군
크루존 증후군은 두개안면융합증(Craniofacial Dystosis)의 질환 중 하나입니다. 1912년 프랑스의 크루존(Crouzon)에 의해 최초로 알려졌습니다. 이 질환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은 두개융합증, 상악골형성부전증, 안구돌출증입니다. 발생 빈도는 2만 5,000명당 1명꼴로 보입니다. 전체 환자의 25…
질병 평가 0 명
0.0
상상임신
상상 임신이란, 여성이 실제로 임신하지 않았음에도 임신했을 때 몸에서 나타나는 여러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원인 일부 이론에서는 상상 임신의 원인이 #우울증# 혹은 임신에 대한 심리적 갈등, 즉 임신을 하고 싶은 마음과 임신에 대해 두려워하는 마음 사이의 갈등 이라고 하며, 우울증이나 그러한 심리적…
질병 평가 0 명
0.0
품행장애
품행장애는 아동 청소년들이 사춘기를 겪으면서 보일 수 있는 일시적인 일탈 행위와는 다르게,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른 사람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거나 중요한 사회 규범이나 규칙을 어기는 행동양상을 보입니다. 다른 사람이나 동물에 대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거나 다른 사람의 재산을 파괴하는 행동, 혹은 사기나 도둑질…
질병 평가 0 명
0.0
적대적 반항장애
뚜렷하게 반항적이고 불복종적이며 도발적인 행동을 보이지만 규칙을 어기거나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반사회적 행동 또는 공격적 행동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입니다. 원인 가족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우울증#, #강박증#, #조증#의 일부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적대적 반항 장애는 지속적으로 부정적…
질병 평가 0 명
0.0
유분증
생후 2년이 지난 유아가 근육이나 신경계의 이상이 없는데도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질환입니다. 태어나서부터 계속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대변을 가리다가 어느 시기부터 가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인 이 증세는 #변비#로 인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사#를 하면서 옷에 용변을 보는 경…
질병 평가 0 명
0.0
유뇨증
배뇨 훈련으로 방광 기능의 조절 능력이 있는 연령의 어린이가 밤에 자면서 무의식적으로 오줌을 싸는 병증입니다. 원인 유뇨증의 유발원인으로는 가족적 원인, 방광의 기능 장해, 중추신경계의 미숙, 수면의 이상,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예, 동생 출생, 질병 때문에 입원, 입학, 부모의 이혼, 친척의 사망, 이사, …
질병 평가 0 명
0.0
해리성 황홀경장애
의식이 변화된 상태로,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된 상태입니다. 특정 지역이나 문화권에서만 나타나는 1회 또는 삽화적 (에피소드같은) 의식변화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황홀경과 빙의 장애 (trance and possession disorder)라고 하기도 합니다. 원인 황홀경은 환각제 중독 상태나…
질병 평가 0 명
0.0
피부벗기기장애
반복적으로 피부를 벗기거나 뜯음으로써 피부를 손상시키는 행위를 하는 #강박장애#의 한 종류입니다. 원인 불안과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여 발생하게 됩니다. 외상적 경험이나 학대에 대한 반응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증상 반복적으로 피부를 만지며 문지르거나 긁거…
질병 평가 0 명
0.0
저장장애
강박장애의 일종으로, 저장강박장애·저장강박증후군 또는 강박적 저장증후군이라고도 합니다. 어떤 물건이든지 사용 여부에 관계없이 계속 저장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불쾌하고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습관이나 절약 또는 취미로 수집하는 것과는 다른 의미로, 심한 경우 치료가 필요한 행동장애로 봅니다. 원…
질병 평가 0 명
0.0
발모벽
발모벽은 자신의 털을 뽑으려는 충동을 억제하지 못해 반복적으로 머리카락을 뽑는 질환으로, 충동조절장애에 속합니다. 환자는 머리카락을 뽑기 전에 긴장감을 느끼며 머리카락을 뽑고 나면 기쁨, 만족감, 안도감을 느낍니다. 이로 인해 모발이 현저하게 상실됩니다. 일반적으로는 평생 유병률이 1%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환…
질병 평가 0 명
0.0
순환성장애
우울한 기분과 경조증을 자주 나타내는 경우의 기분장애이지만, 주요 우울증의 일화나 조증 일화의 진단을 내리기에는 그 강도가 약할 때 내려지는 진단입니다. 원인 주로 청소년기 혹은 초기 성인기에 발병하며 일반인의 평생 유병률은 1% 정도입니다. 순환성 기분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 중의 일부는 이후 양극성장애(b…
질병 평가 0 명
0.0
인위성 장애
주로 신체적인 징후나 증상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서 자신에게 관심과 동정을 이끌어 내는 정신과적 질환입니다. 원인 환자는 어려서 부모가 없거나 부모로부터 배척을 당했던 과거력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 심한 병이나 박탈(deprivation)을 경험했고 그때 누군가(주로, 의사, 간호사)로부터 사랑과 돌…
질병 평가 0 명
0.0
분열정동 장애
분열정동 장애란 #조현병#(정신분열병) 진단 기준에 부합되는 주요 증상과 기분 장애(주요 #우울증#, #조증#, 혼재형 삽화) 증상이 상당 기간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일정 기간 동안은 조현병(정신분열병) 또는 기분 장애 증상만 단독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원인 분열정동 장애의 원인은 아직까지 …
질병 평가 0 명
0.0
스핑고 지질증
스핑고 지질은 뇌와 신경 조직을 구성하는 지질의 하나로, 스핑고마이엘린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스핑고신에 지방산이 결합한 구조입니다. 스핑고 지질증은 이러한 스핑고 지질에 지질증이 발생한 것입니다. 원인 스핑고 지질증은 스핑고 지질이 합성하고 분해되는 과정에서 sphingomyeinase라는 분해 효소가 부족…
질병 평가 0 명
0.0
처음
이전
21
페이지
열린
22
페이지
23
페이지
24
페이지
25
페이지
26
페이지
27
페이지
28
페이지
29
페이지
30
페이지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