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R
  • EN
최근 검색어
닫기

질병후기삼만리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
[수술&질병명]

식도의 이물()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식도의 이물(ㅅ) 질병 평가
평가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개요


식도의 이물은 어떤 물질을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삼켜 그것이 식도 내에 정체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도 내 이물에 비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미국에서는 매년 1,500명 이상이 이로 인해 사망하고 있습니다. 식도 내 이물은 위를 통과하면 대부분 자연적으로 배설되어 없어지지만, 날카로운 물질이나 배터리 같은 물질은 위험하므로 즉시 제거해야 합니다.

원인


소아는 입안에 무엇인가를 물고 있다가 불의의 충격을 받아 잘못 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은 식사 중 음식에 들어 있는 뼛조각 등을 잘못 삼키면서 식도에 걸립니다. 특히 의치가 있어서 잘 씹지 않고 넘기다가 식도 내 이물이 발생하거나, 의치 자체를 잘못 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아는 동전을 삼키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작은 장난감, 배지, 단추, 안전핀, 구슬 등을 많이 삼킵니다. 성인은 뼛조각, 의치 등을 삼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증상


소아와 성인은 식도 이물로 인한 주된 증상에 매우 큰 차이가 납니다. 성인의 경우 식도의 이물이 발생한 상황을 자세히 묘사할 수 있으나, 소아의 경우 상황이 훨씬 모호한 경우가 많으며, 단순히 식욕 부진이나 보챔으로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아에게 나타나는 주된 증상은 보챔, 식욕 부진, 침 흘림, 호흡 곤란, 흉통, 기침, 천식음 등입니다. 이물질을 삼켜서 나타나는 호흡기 증상은 기관지가 더 좁고 더 압축성 있는 소아들에게 더 많이 나타납니다. 이런 증상은 대부분 상기도 감염증이나 위장관 질환로 오진될 수 있습니다. 폐음영을 확인하기 위한 흄부방사선 촬영에서 우연히 진단되기도 합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없거나 목에 이물감, 연하 곤란, 구토, 기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이물질에 의해 호흡기가 손상된 경우나, 수은 전지 등의 부식성 물질, 핀, 바늘, 면도기날, 못 등의 날카로운 금속을 섭취한 경우는 응급 상황에 해당합니다. 즉시 기도 유지와 식도경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해야 합니다. 치료가 지연될 경우 식도 천공과 괴사를 초래하여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식도의 이물(ㅅ) 질병 평가 0건

이 질병은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식도의 이물(ㅅ) 질병찾아삼만리 평가 작성하기 작성시 300포인트 지급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현재 0 글자 작성
검색목록 목록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