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이야기 - 와인의 분류
색깔에 의한 분류
와인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만, 우선 눈에 띠는 색깔로 구분한다면 레드와인과 화 이트와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레드와인은 우리가 흔히 보는 붉은 포도로 만듭니다. 그리 고 화이트는 청포도로 만드는데 가끔은 붉은 포도를 가지고 화이트 와인을 만들기도 합니 다.
포도의 색소는 껍질에 있기 때문에 붉은 포도라도 바로 즙을 짜서 만들면 화이트 와인 이 됩니다. 이 중간 색깔로 로제(Ros )라는 것이 있는데, 이 로제는 붉은 포도로 만들기는 하지만 껍질에 있는 색소가 덜 우러나오게 만든 것으로 모든 면에서 레드와 화이트 중간 성 질을 갖게 됩니다. 이 로제는 식사 때는 별로 마시지 않고 피크닉이나 특별한 분위기를 연출할 경우에 준비를 많이 합니다.
거품있는 와인
다음으로 톡 쏘고 거품이 나는 와인을 발포성 와인(Sparkling wine)이라고 하며, 이에 대 해 보통 와인을 스틸 와인(Still wine)이라고 하는데 별로 잘 쓰이는 용어는 아닙니다. 발 포성 와인의 대표적인 것은 샴페인입니다. 이 샴페인만큼 가짜가 많은 술이 없는데 그 이유 는 프랑스 샹파뉴 지방, 영어식으로 읽으면 샴페인 지방에서 나온 술만을 샴페인이라고 불러야 된다는 법이 있어서 그렇습니다. 이 술은 완성된 와인을 다시 발효시키기 때문에 값이 비쌉니다. 우리가 흔히 보듯이 축제 때 펑 터뜨려서 몸에 붓는 술은 샴페인이 아니고 콜라 나 사이다 같이 탄산가스를 억지로 집어넣은 것입니다. 샴페인은 거품이 넘치지 않도록 조 심스럽게 따서 글라스에 부을 때도 넘치지 않도록 따라서 그 거품의 미학을 즐기는 술입니 다.
코올이나 향을 강화한 와인
그 다음으로 완성된 와인에 알코올을 부어 만든 술이 있는데, 이를 강화와인(Fortified wine)이라고 하는데, 이 말도 자주 쓰이는 용어는 아닙니다. 보통 디져트 와인(Dessert wine)이라는 것이 이런 종류입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포루투갈의 포트(Port), 헝가리의 토케 이(Tokay)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 포르투갈의 포트나 헝가리의 토케이 등은 알코올 도수 가 높고 단맛이 강해서 식사가 끝난 뒤 디져트와 함께 드는 술입니다.
스페인의 셰리 (Sherry)도 알코올을 첨가한 강화와인이지만, 단맛이 없는 술은 주로 식전에 입맛을 돋구는 술 즉 식전주(Ap ritif)로서 많이 활용됩니다. 이렇게 와인은 그 맛에 따라 식사 때 용도가 약간씩 달라집니다.
와인의 타입
또 와인의 타입을 일컫는 말로 드라이(Dry), 스위트(Sweet)가 있습니다. 드라이하다는 것 은 단맛이 없다는 말이고 스위트는 말 그대로 단맛이 나는 와인을 말합니다. 와인을 처음 접할 때는 스위트가 좋지만 점 점 와인의 맛을 알아 갈수록 드라이 와인을 선호하게 됩니 다. 그리고 식사 때 마시다 보면 아무래도 스위트보다는 드라이가 더 낫지요.
또 숙성기간에 따라 영와인(Young wine), 올드와인(Old wine)으로 나눕니다. 말 그대로 갓 담은 와인, 오래된 와인이란 말이지요. 우리가 여기서 착각하는 것이 와인은 오래될수록 좋다는 믿음입니다. 와인은 적당히 익었을 때가 가장 맛이 좋습니다. 김치와 마찬가지로 가장 맛이 있을 때가 있습니다.
또 가볍다(Light), 무겁다(Heavy)는 표현도 있는데, 가벼운 것은 입안에서 부담이 없고 신선한 맛을 내는 것, 무거운 것은 알코올 농도도 높고 텁텁한 맛을 내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그러니까 화이트는 가벼운 것이 많고 레드는 무거운 것이 많으며, 오래 숙성 시킨 것은 묵직한 맛을 내게 됩니다.
통상적인 분류
이런 식으로 와인을 분류하는 것은 교과서식인 방법이고, 흔히 이야기할 때는 생산지역이나 포도품종으로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보르도(Bordeaux) 와인을 마셔볼까? 모젤(Mosel)와 인은 어때? 하는 식으로 와인의 산지를 이야기하거나 샤르도네(Chardonnay), 리슬링 (Riesling) 하는 식으로 와인을 만드는 포도 품종으로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이런 정도로 이야기하려면 와인에 대한 식견이 상당히 쌓여야 합니다. 세계 각 국의 와인의 특성 아니 그보다는 각 지방별 특징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와인을 만드는 포도품종도 많이 알아야 합니다. 그러니까 와인에 대해서 잘 안다는 것은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보다는 앞으로 이야 기할 포도의 품종, 담는 방법, 세계 각 국의 와인의 특성을 안다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