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지 소개 부가지 0.0 평가 0 건 정형외과 팔과손 부가지는 발가락이 비정상적으로 더 생겨서 6개 혹은 그 이상이 되는 기형을 의미합니다. 발가락 다지증이라고도 합니다. 선천성 기형 중 발생 빈도가 높은 편입니다. 새끼발가락에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부가지가 다른 발가락과 합쳐진 #합지…
횡문근육종 소개 횡문근육종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뼈근육 근육은 크게 평활 근육과 횡문 근육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횡문근육종은 횡문 근육 세포에 종양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주로 소아에게 발생하며, 성인에게는 드물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15세 이하의 소아 100만 명당 5명 정도로 …
간세포성 암종 소개 간세포성 암종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의 약 90%는 간세포암이고, 약 10%는 담관세포암이며, 그 외 아주 일부가 기타 암입니다. 원인 약 80%는 #간경변증#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하며, 나머지 20%는 만성 B형 혹은 C형 #간염#에서 발…
호산구성 육아종 소개 호산구성 육아종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호산구의 침윤을 수반한 독특한 육아종성염으로 피부, 입점막, 인두에 생기고 피부에서는 결절상 또는 선상으로 웅기하고 점막에는 궤양을 형성하는 수가 많습니다. 원인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증상 #천식#, 코…
화농성 육아종 소개 화농성 육아종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혈관이 풍부한 육아 조직으로 구성된 작고 융기된 덩어리입니다. 주로 표면에 궤양이 있고 얼굴이나 구강 점막에 생깁니다. 원인 화농성 육아종은 피부가 손상되었거나 임신 기간일 때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증상 화농성…
위선종 소개 위선종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위선종은 위에 발생하는 용종의 한 종류입니다. 세포의 모양이 암에 얼마나 가깝게 변화했는지에 따라 저도 이형성, 중등도 이형성, 고도 이형성으로 분류합니다. 원인 위벽은 크게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총 4층으로 …
유방의 엽상 종양 소개 유방의 엽상 종양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가슴등 유방의 엽상 종양은 비교적 드문 유방 종양 중 하나입니다. 종양 내부가 나뭇잎처럼 생겨서 엽상 종양이라고 합니다. 초음파로는 섬유선종과 구분이 안 되지만, 자라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크게 자랍니다. 원인 유방의 엽상 종양이 생기는…
악성 흉막 삼출 소개 악성 흉막 삼출 0.0 평가 0 건 호흡기내과 호흡기관 정상인은 벽 쪽 가슴막(벽늑막)의 모세혈관에서 소량의 체액이 일정하게 생성되어 흉막 내로 들어갑니다. 그런데 체액이 많이 생성되거나 체액의 흡수가 감소하는 질환이 발생하면 흉수가 생깁니다. 따라서 흉수는 원인 질환에 의해 흉막에서 흡수되…
전이성 신장암 소개 전이성 신장암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생식비뇨기 전이성 신장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 모든 신생 종양 사례의 2% 정도에 해당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신장암이 있으나 가장 일반적인 종류는 투명 세포형이라고 불리는 암종입니다. 이는 진단되는 신장암…
조기 위암 소개 조기 위암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조기 위암은 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림프절로의 전이와 관계없이 암세포가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경우를 말합니다. 조기 위암은 진행성 위암에 비해 위벽 침습이 깊지 않고 림프절의 전이도 적으므로 적절히 치료할 경우 90% 정…
진행성 위암 소개 진행성 위암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진행성 위암은 암이 위의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이상을 뚫고 들어간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는 암이 위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위 주위의 림프절에 퍼져 있거나, 간, 췌장, 횡행결장 및 비장 등의 주변 장기로 전이되거나, 림프절 또는…
바터 팽대부 암 소개 바터 팽대부 암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바터 팽대부 암은 바터 팽대부에 악성 종양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바터 팽대부는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이 내려가는 담관과 췌장관이 십이지장 벽에서 서로 만나 합쳐져서 공통관을 형성하여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는 부위를 의미합니다. 이 부위…
급성 간질성 신염 소개 급성 간질성 신염 0.0 평가 0 건 신장내과 생식비뇨기 급성 간질성 신염은 세뇨관 사이의 간질에 염증세포가 침윤하여 신기능이 감소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급성 간질성 신염의 원인으로는 약, 낭창(SLE)과 같은 전신 질환, 감염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약은 75%, 낭창(SLE)…
배꼽염 소개 배꼽염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복부 배꼽염(제대염)은 출생 후 자르고 남아 있는 아기의 탯줄에 세균이 침투하여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신생아의 남아 있는 탯줄은 대개 7주 이내에 떨어지고 2주 이내에 피부로 덮이면서 치료됩니다. 이 과정에서 소량의…
치쿤구니야열 소개 치쿤구니야열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치쿤쿠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스(chikungunya virus)에 감염된 모기(열대숲모기·흰줄숲모기)에 물려 걸리는 감염성 열병입니다. 주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지에서 발생합니다. 원인 치쿤구니야열은 치쿤구니야 바이러…
황열 소개 황열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황열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유행하는 질환으로 아르보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바이러스 질환입니다. 질병을 일으키는 아르보 바이러스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므로 이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는 모기의 서식지가 주요 황열 발병 지역과 일…
조류 독감 소개 조류 독감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바이러스는 철새, 닭, 오리 등 조류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입니다. 이는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람에게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인수 공통 바이러스입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전파 속도…
무증상 세균뇨 소개 무증상 세균뇨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요로 감염이 발생하면 소변에서 세균이 나옵니다. 무증상 세균뇨는 많은 수의 세균이 있지만 요로 감염 증상(배뇨 시 통증이나 작열감)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요로 감염은 모든 감염성 질환의 약 7%에 해당하여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많이…
만성골수백혈병 소개 만성골수백혈병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만성골수백혈병은 골수구계 세포가 백혈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긴 악성 혈액 질환을 의미합니다. 90% 이상의 환자들은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출현하는 특징적인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해 혈액세포가 과다 증식하여 백혈구와 혈소판 등이 증가합니다. …
웨스트나일열 소개 웨스트나일열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웨스트나일열은 웨스트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감염병입니다. 사람을 비롯하여 말, 조류, 개, 고양이 등 다양한 종류의 동물에 감염되는 인수 공통 감염병입니다. 발열 이외에 뇌염 증상도 발생하여 웨스…
낭종성 폐질환 소개 낭종성 폐질환 0.0 평가 0 건 호흡기내과 호흡기관 낭종성 폐질환은 태아의 발육 과정 중의 결함으로 생기는 폐 격리증, 선천성 낭성 유선종 기형, 기관지성 낭종, 선천성 엽기종 등의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태아기 중 태생 26일경에 폐가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발생 과정에서 …
톡소플라즈마증 소개 톡소플라즈마증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톡소플라즈마증은 톡소플라즈마 곤디(Toxoplasma gondii)라는 기생충에 의한 감염성 질환입니다. 종숙주는 고양이 및 고양이과에 속하는 동물입니다. 중간 숙주는 사람을 비롯한 기타 동물입니다. 원인 톡소플라즈마증은 톡소플라…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소개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은 백혈구 중에 조직구가 과다 생산되어 다양한 조직과 장기에 축적되는 희귀 질환을 의미합니다. 조직구는 조직 내의 대식세포이며, 세포나 바이러스를 잡아먹는 면역 기능을 담당합니다. 랑거한스세포 조직구증식증에 걸린 …
한랭글로불린혈증 소개 한랭글로불린혈증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한랭글로불린혈증은 한랭글로불린이 혈중에 존재하는 증상입니다. 한랭글로불린은 냉각하면 응집하고 가열하면 용해되는 성질을 가진 단백입니다. 원인 한랭글로불린혈증을 유발하는 인자는 대부분 불명확하지만 A, B, C형 간염, 거대 세포 …
골수증식종양 소개 골수증식종양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골수증식종양은 골수의 활동이 병적으로 활발해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이 증가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혈액 속에는 산소를 운반하는 적혈구, 감염을 막는 백혈구, 출혈을 멎게 하는 혈소판이라는 세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혈구 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