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수삼이
시삼이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점액낭염(뼈근육)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

7.

주의사항

점액낭염(뼈근육)
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점액낭염은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주머니인 점액낭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점액낭은 관절 주변에서 관절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존재하는 점액을 차 있는 주머니이며, 반복된 자극, 감염 등에 의해 점액낭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점액낭염은 대개 반복된 자극에 의해 발생하게 됩니다.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활동 및 테니스, 골프, 스키 등이 운동이 점액낭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점액낭염은 엉덩이관절(고관절), 무릎관절(슬관절), 어깨관절(견관절), 팔꿈치관절(주관절) 등에 주로 발생합니다. 반복된 자극 이외에도 외상 및 감염 등에 의해 점액낭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점액낭염의 증상은 해당 부위의 통증이 가장 흔하며, 관절에서 튀어나온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통증 이외에 종창(부어오름), 발적(벌개짐), 열감, 운동 범위 감소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


신체 검진에서는 해당 부위를 만지거나 눌렀을 때 통증을 느끼는 압통 소견이 관찰되며, 해당 관절의 열감, 발적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증가, 염증 수치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나 정상인 경우가 많으며, 영상 검사 중 단순 방사선 검사(엑스레이) 또한 대부분의 경우 정상 소견을 보입니다. 자기공명검사(MRI)를 시행하면 점액낭에 염증이 발생한 소견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치료


점액낭염의 치료는 그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감염에 의한 점액낭염의 경우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항생제로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배농술 등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감염이 원인이 아닌 경우, 그 증상의 정도에 따라 휴식 및 냉찜질, 진통소염제 투약,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부종이 있고 통증이 일어날 경우 소염제나 냉찜질로 통증을 가라앉힐 수 있으며 부종이 가라앉으면 온찜질을 할 수 있습니다. 같은 관절에 반복적으로 점액낭염이 생긴다면 드물게 수술을 통해 점액낭을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경과


점액낭염은 치료하기는 쉽지만, 재발하는 빈도가 높습니다.

주의사항


무릎 부분에 발생하는 점액낭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릎을 꿇고 하는 작업을 가능한 한 피해야 합니다. 부득이하게 무릎을 꿇어야 한다면 무릎 보호대 등을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팔을 어깨 높이 이상으로 올린 상태에서 장시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어깨 부위에 점액낭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판 등을 이용하여 작업 위치를 높이거나, 작업 물체를 낮추어 줍니다.
전체 내용 보기

점액낭염(뼈근육) 질병평가 0건
이 질병에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평가 작성시200포인트 지급
점액낭염(뼈근육) 평가 작성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