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수삼이
시삼이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보툴리눔독소증()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보툴리눔독소증(입)
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보툴리눔독소증은 보툴리눔균(Clositirium botulinum)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신경 마비가 발생하는 질환니다. 보툴리눔이라는 용어는 소시지를 뜻하는 라틴어 보툴루스(Botulu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19세기 초 유럽에서 식중독에 걸린 후 마비가 발생하여 죽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는데, 1820년 독일에서 낭만파 시인이자 의사인 케르너(Justinus Kerner)가 이러한 마비를 일으키는 식중독의 원인으로 소시지를 지목하였습니다. 이후 1897년 벨기에 미생물학자인 에르멩겐(Emile-Pieree van Ermengen)이 소시지 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을 발견하여, 보툴리눔균으로 이름지었습니다.

원인


보툴리눔균은 우리 주변에 널리 존재하지만,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잘못 보관된 통조림 등이 보툴리눔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되고, 이 음식에 보툴리눔균이 오염되어 있다면 증식하여 독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이 음식을 먹은 경우 보툴리눔독소증에 걸리게 되는 것니다.

증상


전형적인 보툴리눔독소증의 증상은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급작스럽게 시작되는 뇌신경마비로, 상지에서 시작하여 하지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니다. 가장 중요한 증상은 열이 없고, 마비 증상이 대칭적으로 나타나며, 환자의 의식이 명료하고, 심박수가 정상이거나 느려지며, 혈압이 정상인 것니다. 이때 감각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만 복시는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


가능한 빨리 보툴리눔 독소를 중화할 수 있는 항독소 혈청을 투여해야 합니다. 대부분 호흡근 마비로 인한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므로, 마비에서 회복할 때까지 인공호흡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영아의 경우 아나필락시스와 감작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항독소를 투여하지 않습니다. 상처 보툴리눔독소증 환자는 항독소를 투여하고 상처의 괴사 조직을 제거하며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환자를 특별히 격리할 필요는 없으며, 접촉자를 관리할 필요도 없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보툴리눔독소증(입) 질병평가 0건
이 질병에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평가 작성시300포인트 지급
보툴리눔독소증(입) 평가 작성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