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수삼이
시삼이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성홍열(피부)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성홍열(피부)
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A군 사슬알균 중 외독소를 생성하는 균주에 의한 상기도 감염증(인후염) 발생 시 인후통(목의 통증), 발열 및 전신에 퍼지는 닭살 모양의 발진을 보이는 급성 감염성 질환입니다. 주로 3세 이상의 소아에서 발생하게 되며 발열 및 인후염이 있는 환아에서 신체 검진상 전형적인 발진과 함께 딸기 모양의 혀 모양이 있을 시에 임상적으로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A군 사슬알균의 피부감염증과 동반되어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인후통은 동반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현재 법정 감염병 2급에 속해 있습니다.

원인


대부분 급성 인후염을 앓고 있는 사람과 접촉을 하게 되었을 때 전파됩니다. 일부에서는 피부감염증에 의해서도 성홍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증상


1~7일의 잠복기 이후 인두 부위의 통증에 동반되는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구토, 복통, 인두염 등을 보이게 됩니다.

치료


치료로는 경구 항생제인 페니실린 또는 아목시실린을 10일간 투여해야 합니다. 항생제 치료 시작 1~2일 이후에 임상적인 증상은 호전되지만 총 치료 기간 10일을 채워야만 합니다. 부적절하게 짧은 기간 동안만 항생제를 투여할 경우에는 인후 부위의 세균이 박멸되는 비율이 떨어져 보균의 위험성이 증가되며 급성 마트스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없습니다. 항생제의 조속한 투여로써 병의 임상 경과를 단축시키고 화농성 합병증 및 류마티스열을 예방할 수 있으며 균의 전파 기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증상 발생 9일째까지 항생제 투여가 시작되면 급성 류마티스 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치료를 시작하고 24시간 동안은 전염성이 있으므로 격리를 해야 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 24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의 전염성은 없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성홍열(피부) 질병평가 0건
이 질병에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평가 작성시300포인트 지급
성홍열(피부) 평가 작성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