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수 소개 익수 0.0 평가 0 건 응급의학과 전신 익사는 물이나 다른 액체에 침수하여 질식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익수는 물에 빠진 후 일시적이라도 환자가 생존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차성 익사는 물에 빠진 후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수분에서 수일 내에 사망한 것을 말합니다. 원인 익…
독성 쇼크 증후군 소개 독성 쇼크 증후군 0.0 평가 0 건 응급의학과 전신 갑작스런 #고열#, #구토#, #설사#, 근육통에 이은 저혈압, 심한 경우에는 쇽을 일으키는 중증질환으로, 급성기에는 피부, 특히 손바닥, 발바닥의 탈피와 함께 햇빛에 그을린 것 같은 반점을 나타냅니다. 이 질환은 대개 탐폰을 사용하는 …
기뇌증 소개 기뇌증 0.0 평가 0 건 응급의학과 뇌 기뇌증은 뇌에 공기가 들어가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뇌에는 공기가 없어야 하는데, 어떤 요인으로 인해 뇌에 공기가 들어가 뇌혈관이 막히거나 뇌조직이 압박될 수 있습니다. 두개강 내 공기 위치에 따라 뇌내, 뇌실내, #지주막하#,…
황반천공 소개 황반천공 0.0 평가 0 건 안과 눈 황반천공은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부의 중심에 망막 조직의 결손으로 인해 구멍이 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중심 시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황반천공은 젊은 사람의 경우 외상에 의해 발생합니다. 노인의 경우에는 별다른 …
안검염 소개 안검염 0.0 평가 0 건 안과 눈 눈꺼풀의 피부와 속눈썹 부위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마이봄선(Meibomian gland)이라는 기름샘과 속눈썹에 염증이 생겨 증상이 유발됩니다. 원인 마이봄샘 기능장애, 알러지성 변화, 포도알구균/모낭충 등의 감염, 지루성 #…
설맹 소개 설맹 0.0 평가 0 건 안과 눈 설안염(雪眼炎)이라고도 합니다. 태양이 쬐는 설원을 장시간 보고 있을 때 일어납니다. 가벼운 경우는 눈이 부시고 아파 눈물이 나오고 눈을 뜰 수 없습니다. 각막 표면에 혼탁이 생길 때도 있습니다. 원인 설맹은 태양의 자외선이 설원…
마르판 증후군 소개 마르판 증후군 0.0 평가 0 건 심장내과 안과 전신 눈 마르판 증후군은 1896년 프랑스의 의사 장 마르팡(Jean Marfan)이 처음 보고하면서 알려진 선천성 질환입니다.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근골격계, 심혈관계 및 눈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유전병입니다. 원…
유루증 소개 유루증 0.0 평가 0 건 안과 눈 눈물흘림증이라고도 합니다. 눈물이 넘쳐 흘러서 눈 밑이 젖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세균의 성장에 좋은 조건이 형성되어 쉰듯한 냄새의 원인이 되고 #피부염#을 일으킵니다. 원인 소아의 눈물흘림은 <선천적 코눈물관 폐쇄>라고 합니다…
로베증후군 소개 로베증후군 0.0 평가 0 건 신경과 눈 중추신경계 로베증후군은 눈, 중추신경계 그리고 신장의 침범을 특징으로 합니다. 모든 남자 신생아에서 선천성 백내장이 동반되어 있으며 약 50%정도에서 영아기에 녹내장도 관찰됩니다. 출생 시부터 근육긴장저하가 동반되며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지적장애도…
굿파스쳐증후군 소개 굿파스쳐증후군 0.0 평가 0 건 내과 신장 폐 굿파스쳐증후군(Goodpasture‘s syndrome)은 1958년 비전형 감염의 합병증으로 객혈과 급성사구체신염을 보인 환자를 처음 보고했던 굿파스쳐 박사를 기리기 위해 붙혀진 이름으로, 항사구체기저막병(anti-glomerular …
골덴하 증후군 소개 골덴하 증후군 0.0 평가 0 건 의학유전학센터 의학유전학과 전신 골덴하 증후군은 주로 머리와 얼굴, 척추에 기형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태어날 때부터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증상은 개인마다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광대뼈, 턱, 입, 귀, 눈, 그리고 척추의 기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 질환…
넬슨증후군 소개 넬슨증후군 0.0 평가 0 건 내분비내과 소아내분비대사과 소화기관 쿠싱증후군의 부신적출술 후 수년 내에 부신피질자극호르몬(ACTH)을 생산하는 뇌하수체종양에 의한 질환입니다. 1950년에 D.H. Nelson이 발표하였습니다. 쿠싱증후군은 하수체에서의 ACTH분비 과잉으로 부신에서 코르티졸분비가 증가하…
근육긴장이상증 소개 근육긴장이상증 0.0 평가 0 건 신경과 신경계 근육긴장이상은 지속적인 근육 수축에 의해 신체의 일부가 꼬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이나 비정상적인 자세를 보이는 등의 증상들을 총칭하는 말입니다. 원인 근육긴장이상증은 특발성 근 긴장 이상증(idiopathic dystonia)과 2차…
피부섬유육종 소개 피부섬유육종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섬유아세포 유래의 악성종양으로, 피부의 진피에서 피하에 걸쳐서 생깁니다. 발육은 완만하나, 국소재발율이 높고 폐로 전이한 예도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완만하게 증대하는 단단한 융기성의 종류로 정상피부색~갈색~홍색으로 케로이드과 같은 것도…
피부근육염 소개 피부근육염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피부근육염은 골격근에 염증이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피부근육염은 어느 나이에서나 발병하며, 주로 40~50대에 많이 나타납니다. 동양인의 경우에는 남자에게 조금 더 흔하게 발병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다발근육염은 피부 증상 없이 …
파라핀종 소개 파라핀종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파라핀종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파라핀에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만성 #육아종#입니다. 원인 파라핀종의 원인은 미용적인 목적으로 인한 시술입니다. 파라핀 등의 이물질은 주입하는 것이 원인입니다. 증상 파라핀을 주입하면 시…
안검황색종 소개 안검황색종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눈꺼풀 주위와 그 밑에 콜레스테롤 등 지방 성분이 쌓여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안검 황색종은 기능적으로 문제나 환자들에게 통증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미용적 스트레스가 심해 병원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안검 황색종은 절대로 저절…
무모증 소개 무모증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무모증은 음부의 털이 정상적인 상태에 비해 거의 없거나 모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2차 성징에 따른 신체적 발육은 정상이지만, 사춘기가 지나도록 음모가 정상적인 상태에 비해 훨씬 적거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신 질환 없이 유전에 의해…
딸기코 소개 딸기코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주사코 ·딸기코 ·빨간코라고도 힙니다. 코 이외에도 뺨이나 이마의 모세혈관 확장으로 피부가 빨개지는 것도 주사라고 합니다. 원인은 음주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렇지만은 않고 지루(脂漏), 혈관운동 신경장애가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
광선각화증 소개 광선각화증 0.0 평가 0 건 피부과 피부 지속적인 햇빛이나 인공 광원 노출로 피부에 잘 발생하는 전암(precancerous) 질환. 일반적으로 붉은 갈색이나 노란 색을 띠며, 비늘이 있는 반 내지 구진이 주로 광선 노출 부위에 잘 발생합니다. 백인에게서는 매우 흔하며 동양인에…
기억상실증 소개 기억상실증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신경과 뇌 기억상실이란 과거에 했던 경험들이나 기존에 알고 있던 사실들에 대하여 잊어버리고 기억해내지 못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기억상실은 두부 외상이나 뇌에 발생하는 여러 질환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일시적으로 발생했다가 자연 회복되거나 평생…
미로염 소개 미로염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귀 미로염은 귀 내이의 미로에 감염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한 상태입니다. 내이는 청력과 균형 감각을 담당하는 곳이기 때문에 염증이 생기거나 자극을 받으면 청력과 균형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원인 미로염은 대부분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태반유착증 소개 태반유착증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생식비뇨기 해면 탈락막 형성에 결함이 있을 때 생기며 자궁 하부에 착상되었거나, 기왕 제왕절개 반흔 부위 위에 착상되었거나, 소파수술 후에 착상된 경우입니다. 정도에 따라 3종류로 구별하는데 기저 탈락막의 일부 혹은 전부가 결핍되고 섬유소층의 불완…
융모양막염 소개 융모양막염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생식비뇨기 양수, 융모막, 양막의 감염성 질환을 융모양막염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자궁내감염이나 양수감염 등으로 불리었으나 현재는 융모양막염으로 통일되어 있습니다. 태반감염도 융모양막염으로 취급합니다. 융모양막염이 왜 이렇게 주목을 받는가 하면, …
융모막암종 소개 융모막암종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생식비뇨기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체를 만들면 자궁에 태반이 생깁니다. 태반 안쪽에 제대와 태아가 연결됩니다. 태반 외측에는 융모라고 불리는 가느다란 실 모양의 조직이 자궁벽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태아는 융모를 통해 어머니의 혈액에서 산소와 영양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