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금 증후군 소개 잠금 증후군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락트-인 증후군(감금증후군)은 의식은 있지만 전신마비로 인하여 외부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환자가 자발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외관상 혼수상태로 잘못 판단할 수 있지만, #혼수#상태와 달리 락트-인 증…
극치감 장애 소개 극치감 장애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일반적으로 불감증은 오르가슴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는 경우를 말하며, 의학적으로는 여성 극치감 장애(무극치감)와 남성 극치감 장애(사정지연, #지루#)에 해당됩니다. 여성 극치감 장애는 정상적인 성적 흥분 단계 이후, 극치감이 지연되거나 …
성도착증 소개 성도착증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정상적인 표현형을 가진, 신체적으로 성숙한, 동의하는 인간인 동반자와 성기 자극이나 그 준비를 위한 애무를 하는 것 외의 다른 것에 강렬하고 지속적인 성적 관심을 가지는 것입니다. 일부 성도착증은 개인의 성적인 활동에 관계되고, 또 다른…
이마관자엽 변성 소개 이마관자엽 변성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이마관자엽변성은 이마앞엽(전두엽)과 앞관자엽(측두엽)에 국한된 병리적 변화로 인해 행동 및 성격 변화가 주로 나타나는 퇴행성 치매입니다. 인지기능 중에서 언어기능과 수행기능이 주로 손상되며, #알츠하이머#병과 달리 기억력은 비교적 보존되…
병적도벽 소개 병적도벽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병적 도벽은 개인적으로 쓸모가 없거나 금전적으로 가치가 없는 물건을 훔치려는 충동을 저지하는 데 반복적으로 실패하며, 훔치기 직전에 고조되는 긴장감과 훔쳤을 때의 기쁨, 충족감, 안도감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물건이 목적이 …
성욕장애 소개 성욕장애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성욕장애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저활동성 성욕장애(hypoactive sexual desire disorder; HSDD)란 성적인 판타지와 성적 활동에 대한 욕구가 결핍되는 것이며, 성적 혐오장애(sexual aversion d…
행위상실증 소개 행위상실증 0.0 평가 0 건 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뇌 행위불능증·행위장애·실행증라고도 합니다. 말초신경의 운동 및 감각 손상이나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행동을 하지 못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목적을 수반하는 효과적인 운동이 가능하려면 개개 운동의 합성이 필요한데, 행위상실증은 이 합…
얼렌 증후군(광과민성증후군) 소개 얼렌 증후군(광과민성증후군)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얼렌 증후군, 또는 스코토픽 감도 증후군이라고도 알려진, 이 상태는 특정 빛의 파장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각적 처리 문제입니다. 원인 얼렌 증후군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발생 기전에 대한 몇 가지의 가설이 있습니…
세로토닌증후군 소개 세로토닌증후군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세로토닌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원인 발생 원인은 일부 약물의 과다 투여, 치료적 약물 사용, 세로토닌 수용체를 자극하는 약물을 병용할 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사람들에게 쉽게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반응성 애착장애 소개 반응성 애착장애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애착(Attachment)은 아이와 주양육자 사이의 정서적인 유대를 뜻합니다. 양육자의 지속된 보호와 돌봄, 지지 속에 아이는 안락함, 안정감을 느끼며 점진적으로 애착을 형성하게 됩니다. 영유아기, 아동기의 애착형성은 아이의 발달과 성격…
히스테리구 소개 히스테리구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소화기내과 정신건강의학과 소화기관 뇌 히스테리구는 기질적인 원인 없이, 즉 실제로는 아무 것도 없는데 목 안에 무엇인가 걸려있는 듯한 느낌이 나거나 목 안이 조여지는 느낌이 들며, 뱉어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고 침을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듯한 느낌을 말합니다. 물을 마시면 증…
빙섭취증 소개 빙섭취증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빙섭취증은 얼음을 강박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식증#(異食症)의 일종입니다. 원인 첫 번째로, 이 장애는 철분 결핍성 #빈혈#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철분 결핍은 신체의 이상한 식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얼음을 비…
소아강박증 소개 소아강박증 0.0 평가 0 건 정신건강의학과 뇌 #강박장애#는 강박 및 관련 장애의 하나로서, 강박적 사고(Obsession) 및 강박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입니다. 강박적 사고란 어떠한 생각이나 장면 혹은 충동이 본인이 원하지 않음에도 반복적으로 떠올라 …
다지증 소개 다지증 0.0 평가 0 건 성형외과 정형외과 수부외과 손 발 손에 손가락이 하나 더 생겨나는 기형의 일종. 하지난 위의 사례처럼 외형+기능이 모두 온전한 경우는 상당히 드물고, 보통은 엄지나 새끼손가락 등의 옆쪽에 손가락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속지가 더 붙어서 생기거나, 손가락 비슷한 조직이 아…
갈락토스혈증 소개 갈락토스혈증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질환에 해당하는 탄수화물 대사장애입니다. 원인 체내에서 갈락토스 및 그 대사 산물이 정상적으로 분해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증상 갈락토스 대사에 문제가 발생하면 갈락토스나 갈락토스-1-인…
망막모세포종 소개 망막모세포종 0.0 평가 0 건 안과 눈 망막모세포종은 망막의 시신경 세포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종양으로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여 #소아암#(악성종양)의 3~4%를 차지하며 주로 영유아기에 발견이 됩니다. 또한 소아 #실명# 원인의 5%가 망막모세포종 때문입니다. …
사면발이 소개 사면발이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피부과 생식비뇨기 프티루스 푸비스(Phthirus pubis)는 편모가 달린 기생곤충으로 사람의 털에 살면서 하루에 4~5회 흡혈을 하여 생명을 유지합니다. 유일하게 알려진 숙주는 사람이며 사람은 이(louse) 외에도 머릿니와 몸니에 감염될 수도 있습니…
샤르코마리투스병 소개 샤르코마리투스병 0.0 평가 0 건 신경과 신경계 하퇴(下腿), 발(足)에서 시작하는 사지원위근(四肢遠位筋) 위축(萎縮)과 근력저하를 주징(主徵)으로 하는 유전성인 신경장해를 말합니다. 원인 유전자이상으로 말초신경의 수초(髓鞘) 등에 이상이 생기고, 축색(軸索)이 사멸(死滅)하는…
색맹 소개 색맹 0.0 평가 0 건 안과 눈 이때 색을 전혀 알아보지 못하거나 잘 구별할 수 없는 경우를 색각이상(dyschromatopsia)이라 한다. 색각 이상은 그 정도에 따라 색맹과 색약으로 구분됩니다. 원인 색각이상은 망막의 원추세포에 존재하는 추체색소의 결핍·이…
뒤센형 근위축증 소개 뒤센형 근위축증 0.0 평가 0 건 신경과 신경계 중추신경계의 변성성 질환 중 하나로, 주로 근육의 기능 저하와 운동 능력 손실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주로 유전적 원인으로 발생하며, 유전자 변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효소 결핍, 유전자 변이, 노화, 염증, 중독 물질…
묘성증후군 소개 묘성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전신 묘성 증후군은 고양이 울음소리와 같은 특징적인 울음소리 때문에 명명되었습니다. 이 질환의 원인은 5번 염색체 단완의 부분 결실입니다. 이 질환의 발생 빈도는 출생아 3만~5만 명당 1명입니다. 원인 묘성 증후군의 원인은 5번 염색…
카나반병 소개 카나반병 0.0 평가 0 건 신경과 뇌 주로 독일·폴란드 지방에 사는 유대인에게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 5세 무렵에 사망합니다. 뇌가 스펀지처럼 퇴화하는 유전병입니다. 원인 중추신경계의 손상 가운데 특히 뇌의 백질 안에 있는 신경세포의 수초탈락 때문에 생깁니다. 신경세…
안젤만 증후군 소개 안젤만 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전신 15번 염색체 쌍 가운데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은 염색체가 결실(deletion)되었거나 모친으로부터 온 염색체가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원인 15번 염색체의 일부가 손실되는 유전적인 특성을 모계로부터 이어받은 것이 원인…
디조지 증후군 소개 디조지 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전신 22번 염색체가 결손되어 생기는 선천성 질병으로 1960년대 중반 내분비학자인 안젤로 디조지에 의해 알려졌습니다. 태아일 때부터 증후군이 나타나는데, 이 증후군을 가진 아기는 흉선에 이상이 있거나 흉선이 없는 몸으로 태어납니다. 원…
강변실명증 소개 강변실명증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전신 심각한 건강 문제인 강변 실명증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전체 사례의 99% 이상에서 발생하지만 예멘과 라틴 아메리카에서도 알려져 있습니다. 원인 Onchocerciasis - 또는 강변 실명증 - Onchocerca v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