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수 > 교수찾아삼만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현재접속자
2596

교수찾아삼만리

김지수

김지수 교수

Dr. Kim Ji Su
진료과목
신경과
예약전화
02-440-7000
조회수
972
추천의견
진료시간
요일
오전
오후
월요일
화요일
외래진료
수요일
목요일
외래진료
금요일
토요일
등록된 정보는 홈페이지 등 오픈 공개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 작성되었습니다. 사이트의 정보 수집 입력 과정 중 오류, 변경, 착오 등이 있을 수 있어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고 정확한 정보는 반드시 해당 병원의 홈페이지를 확인 바랍니다.

해당 정보의 수정이나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문의 부탁드립니다.

학력

199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199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석사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박사

경력

1997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전공의 수료 및 신경과 전문의 취득
1997 - 1998 Neurotology fellowship, UCLA
1998 Neuro-ophthalmology fellowship, USC+LAC hospital
1998 - 2000 Neuro-ophthalmology fellowship, Toronto Western Hospital, Univ. of Toronto
2000 - 2002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및 조교수
2003 -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조교수
2008 - 201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부교수
2013 -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교수
2003 - 2012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부교수
2012 - 현재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2014 - 2015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진료지원센터장
2015 - 201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경영혁신실장
2018 - 201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연구부문 미래혁신연구부장
2019 - 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기획조정실장

학회

대한신경과학회 학술이사
대한평형의학회 회장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기획이사, 총무이사, 감사
대한안구운동연구회 회장
대한안신경학회 부회장
아세아오세아니아임상신경생리학회 재무위원장
대한의학학술지편집위원회 기획평가위원
중앙약사심의위원회 전문위원
2016 세계어지럼증학회 학술 위원장

논문

Kim JS, Zee D. Clinical Practice.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N Engl J Med 2014 370(12):1138-47. (세계 최고 권위의 임상의학 학술지에 양성돌발성두위현훈(이석증)에 대한 종설 게재함. NEJM 학술지에 한국인 최초로 종설 게재)
Choi JY, Kim JH, Kim HJ, Glasauer S, Kim JS. Central Paroxysmal Positional Nystagmus: Characteristics and Possible Mechanisms. Neurology 84(22), 2238-2246. (중추성 어지럼증에서 보이는 체위성 안진의 기전을 규명함)
Choi JY, Glasauer S, Kim JH, Zee D, Kim JS.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of Apogeotropic Central Positional Nystagmus. Brain 141(3), 762-775. (중추성 어지럼증에서 보이는 체위성 어지럼증 및 안진을 내적모델 기법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함.)
Kim JS, Oh SY, Lee SH, Kang JH, Kim DU, Jeong SH, Choi KD, Moon IS, Kim BK, Oh HJ, Kim HJ. Randomized clinical trial for apogeotropic horizontal canal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Neurology 2012 Jan 17;78(3):159-66. (어지럼증의 흔한 원인 질환인 지향성 양성돌발성두위현훈(이석증)에서 이석정복술의 치료 효과를 세계최초로 규명함.)
Huh Y, Kim JS. Patterns of spontaneous and head-shaking nystagmus in cerebellar infarction: Imaging correlations. Brain 2011;134(Pt 12):3659-3668. (소뇌 뇌졸중에 의한 어지럼증 환자의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진후안진의 발생기전을 규명함.)
Jeong SH, Choi SH, Kim JY, Koo JW, Kim HJ, Kim JS. Osteoporosis and osteopenia in idiopathic benign positional vertigo. Neurology 2009;72(Mar 24):1069-1076. (어지럼증의 가장 흔한 원인 질환인 양성돌발성두위현훈과 골다공증의 관계를 세계 최초로 규명함.)
SCI 논문 350편의 논문을 포함하여 500여 편의 논문이 국내외 유수 학술지에 개재됨

저서

간략형 전정재활치료와 맞춤전정운동 (푸른솔. 2017)
신경안과증례집 (E*Public. 2014.)
어지럼과 이명. 그림으로 보다. 어지럼. 이명의 진단과 치료 실전 매뉴얼. (푸른솔. 2010.)
문답으로 정복하는 어지럼증. (E*Public. 2010.)
문답으로 풀어가는 신경안과진료. (E*Public. 2010.)
안구운동검사. (이승철, 이원상 편저. 전정기능검사. 2010.)
중추신경계의 신경해부생리. (이정구, 김재일, 박현민 편저. 어지러움 2004.)
안진. (이광우 편저. 신경과학. 범문사. 2005.)
복시 눈꺼풀과 동공이상. (이광우 편저. 신경과학. 범문사. 2005.)
안진. (이원상, 이정구, 정경천, 박병림, 한규철 편저. 임상 평형의학. 군자출판사. 2005.)
소뇌성 조화운동불능 증후군. (이원상, 이정구, 정경천, 박병림, 한규철 편저. 임상 평형의학. 군자출판사. 2005.)
기능적 해부(3): 시각, 평형, 안구운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현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편. 신경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중추성 안진. (이원상 편저. 임상이과학세미나. 군자출판사. 2008.)
Sharpe JA, Kim JS, Rivest, J. Neurological Correlates of Damage to the Magnocellular and Parvocellular Visual Pathways: Motion, Form, and Form from Motion after Cerebral Lesions. In Jenkin, MRM, Harris, LR (Eds). Seeing Spatial Form.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Kim JS, Lee H. Vestibular disorders in cerebrovascular disease. In Eggers SD and Zee DS eds. Vertigo and imbalance: Clinical neurophysiology of the vestibular system. Handbook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 9, Elsevier, 2010, pp 451-477.
Kim JS, Lee H. Posterior circulation stroke and vestibular syndromes. In Bronstein A ed. Vertigo and imbalance. Oxford Univ Press, 2013, pp251-265.
Kim JS. Ischemic syndromes causing dizziness and vertigo. In Lempert T and Furman JM eds. Elsevier’s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2016, pp 317-340.
Kheradmand A, Kim JS, Zee DS. Cerebellum and oculomotor deficits. In Gruol DL, Koibuchi N, Manto M, Molinari M, Schmahmann JD, Shen Y eds. Essentials of cerebellum and cerebellar disorders. A primer for graduate students. Springer 2016, pp 471-476.
Choi JY, Kim JS. Positional downbeat nystagmus. In Shaikh A and Ghasia F eds. Advances in translational neuroscience of eye movement disorders. Springer 2019.
Kim JS, Lee H. Posterior circulation stroke and vestibular syndromes. In Bronstein A ed. Oxford Textbook of Vertigo and Imbal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In press).

참고

Barford Fellowship Award(University of Toronto/1998)
Barford Fellowship Award(University of Toronto/1999)
2004년 SCI IF상 우수상(서울대학교병원/2005)
2005년 SCI IF상 장려상(서울대학교병원/2006)
Young Scientist Award(24th Barany Society/2006)
우수연구자상(대한평형의학회 /2006)
2007 우수연구상(서울대학교/2007)
2007 우수 업적교수(연구부문)(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08)
최우수 포스터상(아시아 신경안과학회/2008)
우수연구상(누적 IF 최우수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08)
함춘의학상(연구업적부문)(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창회/2008)
불곡의학상 최우수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0)
불곡의학상 장려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1)
유당학술상(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동문회/2012)
보건산업기술진흥 유공자(보건복지부/2012)
우수포스터상(Nuti Meeting/2013)
Hallpike-Nylen Prize(Barany Society/2014)
서울대학교 학술연구상(서울대학교/2015)
불곡창의논문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5)
의료경영고위과정(AHP) 공로상(대한의사협회/2015)
의료경영고위과정(AHP) 연구과제 우수상(대한의사협회/2015)
보건의료기술진흥 유공자(보건복지부/2015)
과학기술훈장 진보장(미래창조과학부/2016)
불곡의학상 장려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7)
공로상(대한뇌졸중학회/2018)
불곡의학상 우수상(분당서울대학교병원/2018)
이원상 평형의학상(대한평형의학회/2019)
2019 우수업적교수(연구부문)(서울대학교 의과대학/2019)

동일 병원 동일과목 LIST

타 병원 동일과목 LIST

본 메뉴에서 교수 개개인의 평가나 후기는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어 허용되지 않으며, 추천 또는 감사의 댓글을 남겨주세요.
교수 등록을 희망하시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으로 등록 문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