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근 > 교수찾아삼만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현재접속자
2403

교수찾아삼만리

정홍근

정홍근 교수

Dr. Jeong Hong Geun
진료과목
정형외과
예약전화
1588-1533
조회수
1,115
추천의견
진료시간
요일
오전
오후
월요일
진료가능
화요일
수요일
진료가능
목요일
금요일
진료가능
토요일
등록된 정보는 홈페이지 등 오픈 공개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 작성되었습니다. 사이트의 정보 수집 입력 과정 중 오류, 변경, 착오 등이 있을 수 있어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고 정확한 정보는 반드시 해당 병원의 홈페이지를 확인 바랍니다.

해당 정보의 수정이나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문의 부탁드립니다.

학력

19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학사)
1998 서울대학교 외과대학 대학원 정형외과학(의학석사)
2000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정형외과학(의학박사)

경력

1991 - 1992 서울대학교병원 인턴
1993 - 1997 서울대학교병원 정형외과 레지던트
2002 - 2003 미국 유니언 메머리얼 병원 족부족관절 임상전임의 수료
1997 - 2006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05 -2006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2007 - 2009 건국대학교병원 교육연구부장
2006 - 2011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교수
2012 - 2019 건국대학교병원 국제진료센터장
2011 -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2013 - 현재 건국대학교병원 족부족관절센터장
2014 - 현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형외과학교실 주임교수
2019 - 현재 건국대학교병원 정형외과장
2019 - 현재 거눅ㄱ대학교병원 스포츠의학센터장

논문

Ligament stabilization improve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nd medial ankle osteoarthritis.
Qualitative Analysi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Preoperative Evaluation of Chronic Lateral Ankle Ligament Injury.
Ligament stabilization improve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and medial ankle osteoarthritis.
Second-Look Arthroscopic Evaluation and Clinical Outcome After Supramalleolar Osteotomy for Medial Compartment Ankle Osteoarthritis.
Subtalar instability: imaging features of subtalar ligaments on 3D isotropic ankle MRI.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midfoot derotational osteotomy for midfoot-forefoot varus deformit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Stress Radiography in Chronic Lateral Ankle Instability.
Lopez, MD, Hong-Geun Jung, MD, PhD.
Anatomical Reconstruction of Lateral Ankle Ligaments Using Free Tendon Allografts and Biotenodesis Screws.
Outcome of Subtalar Instability Reconstruction Using the Semitendinosus Allograft Tendon and Biotenodesis Screws.
Comparison of outcomes between two 3-component total ankle implants: The HINTEGRA and MOBILITY.
Proximal Reverse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and Lateral Release through One Medial Incision for Hallux Valgus Correction.
Proximal Reverse Chevron Metatarsal Osteotomy and Lateral Soft Tissue Release through One Medial incision for Moderate toSevere Hallux Valgus.
Outcome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in diabetic patients with critical limb ischemia.
Reciprocal Activation of CD4+ T Cells and Synovial Fibroblasts by Stromal Cell-Derived Factor 1 Promotes RANKL Expression and Osteoclastogenesis in Rheumatoid Arthritis.
Reconstruction of Compound Loss of Lateral Malleolus and Lateral Ankle Ligaments with Double-Bundle Achilles Tendon–Bone Allograft.
Surgical Treatment of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Joint Sparing Correction for Idiopathic Cavus Foot: Correlation of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Total Ankle Arthroplasty with Calcaneo-Metatarsal Osteotomies for Ankle Osteoarthritis with Cavo-Varus Deformities: Early Results.
후방 고정술의 비교 및​​ 전방 - 후방 고정 기술.
Outcome of Subtalar Instability Reconstruction Using the Semitendinosus Allograft Tendon and Biotenodesis Screws.
족관절 외측인대 불안정증에 대한 동종 반건양건과 간섭나사를 이용한 해부학적 재건술: 예 비 보고.
Role of arthroscopic microfracture for cystic type osteochondral lesions of talus with radiographic support of enhanced MRI.
고도의 무지 외반증에서 역갈매기형 중족골 절골술 및 Akin 절골술의 치료.
Calcaneal osteochondroma presenting giant Haglund's deformity in a 22-year-old female: A case Report .
흔히 보는 족부 및 족관절 질환의 임상적 접근.
HINTEGRA Total ankle prosthesis를 이용한 족관절 전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 .
슬와동맥 P2와 P3분절의 협착 및 폐쇄 병변에 Cutting Balloon을 이용한 경피적 혈관성술의 초기 결과보고.
Anatomic Reconstruction of the Lateral Ankle Instability Using the Semitendinosus Allograft Tendon and Interference Screws: A Novel Technique .
외상후 족족관절 연부조직 충돌증후군: 관절경적 및 영상의학적 분석.
CLINICAL OUTCOMES OF MICROFRACTURE AS A TREATMENT FOR CYSTIC TYPE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대학 태권도 선수의 족무지 지간 관절의 만성 내반 불안정성 -1례 보고-.
비골 건 및 전방 경골 건 질환의 진단 및 치료.
Outcome of Achilles Tendon Ruptures Treated by a Limited Open Technique.
다발성 유관나사를 이용한 경골-거골-종골간 관절 유합술.
근위 족저 근막엽의 비수술적 치료 결과: 족저 근막 두께에 따른 비교 분석.
Pilon 분쇄 골절: 수술 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 분석.
정상 족과 무지 외반증에서의 무지 지간 외반증의 발생 빈도와 무지 외반각과 제1-2 중족골간 각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무지 지간 외반증의 방사선학적 기여 인장에 대한 분석.
Effect of tibiotalar joint arthrodesis on adjacent tarsal joint pressure in a cadaver model.
당뇨병성 족부 합병증에 따른 하지 절단술의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
Spectrum of operative treatments and clinical outcomes for atraumatic osteoarthritis of the tarsometatarsal jointsFoot Ankle Int28(4): 482-9, 2007 .
전위된 관절내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최소 2년 이상 추시 결과.
당뇨병성 족부 합병증에 따른 하지 절단술.
족무지 내측 종자골에 발생한 통풍 -1예 보고-.
대학 태권도 선수들에서의 스포츠 손상: 47명에 대한 후향적 연구 .
일차성 거골하 관절 유합술을 통한 종골의 관절내 분쇄 골절의 치료 .
거골의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 성형술.
최소 절개 기법에 의한 아킬레스건 파열의 수술적 봉합술
Supplementary Axial Kirschner Wire Fixation for Crescentic and Ludloff Proximal Metatarsal Osteotomies: A Biomechanical Study.
The role of toe flexor –to-extensor transfer in correcting metatarsophalangeal joint instability of the 2nd toe.
유관나사를 이용한 거골하 관절 유합술.
Effect of first metatarsal shortening and dorsiflexion osteotomies on forefoot plantar pressure in a cadaver model.
Myxoid Clear Cell Sarcoma. Extraordinary Case Report.
The Peroneal Groove Deepening Precedure. A Biomechanical Study of Pressure Reduction.
Clinical Tip: Stabilization of the Proximal Ludloff osteotomy.
내측 활주 종골 절골술과 거골하 관절 제동술로 치료한 성인의 특발성 유연성 편평족 -1예 보고- .
대학 운동선수들에서의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스포츠 손상에 대한 분석.
Radiographic and biomechanical support for fibular plating of the Agility total ankle.
반월형 근위 중족골 절골술에 대한 보강적 축성 K-강선 고정술: 생체 역학적 연구.
Late sequelae of secondary Haglund's deformity after malunion of tongue type calcaneal fracture: Report of two cases.
불안정성 족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급성 아킬레스건 파열: Krackow 봉합술 후 등속성 족저 굴곡력의 분석.
The evaluation of clinical and radiographic prognostic factors for the unstable ankle fractures nternational Federation of Foot and Ankle Societies.
골육종에서 다중약제 내성-관련 단백 유전자와 다중 약제 내성 유전자의 발현 및 예후적 의의.
Results of neurilemoma treatment: a review of 78 cases.
광범위 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내 종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불안정성 족근관절 골절의 수술적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
Muller C형 대퇴골 과간골절: 수술접근법에 따른 비교분석.
종골 골절 후에 만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Haglund씨 증후군 .
개방성 경골 근위부 골절의 연부조직 결손에 대한 내측 비복근 근판을 이용한 치료. .
종골 골절 후 발생한 양측 족저 섬유종증 -1예 보고-.
전위된 비구 골절의 수술적 치료: 정복의 정확도의 예후적 의의.
진구성 아킬레스 건 파열: V-Y 건판 재건술과 등속성 족저 굴곡력 분석 - 3례 보고 - .
상보행 및 속보시에 족지 굴근이 족관절 족저굴곡력에 미치는 영향-3차원적 동작분석을 이용한 운동역학적 분석.
관절을 침범한 전위 종골 골절의 관혈적 정복 및 이종 골 이식술을 이용한 치료.
외측 원판형 연골 : 91례 보고 .
사지 및 구간에 발생한 신경초종.
파열수 수술적 치료의 미용 개선에 대한 효과.

참고

1998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장려상 (임상부문)
2000 대한정형외과학회 해외연수상
2001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장려상(기초부문)
2003 대한정형외과학회 학술전시 장려상
2005 제6대 제마스포츠의학상
2005 제1회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 해외연수상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 우수논문상
2006 2000 Outstanding Intellectuals of the 21st Century,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 Cambridge, England (IBC)
2007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Co-Moderator, Free Paper Section
2007 THE CAMBRIDGE BLUE BOOK 2nd Edition,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 Cambridge, England (IBC)
2009 유럽스포츠의학회 Traveling Fellowship Award (GOTS)
2015 “The Marquis Who's Who” 3대 세계 인명대사전 등재

동일 병원 동일과목 LIST

타 병원 동일과목 LIST

본 메뉴에서 교수 개개인의 평가나 후기는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어 허용되지 않으며, 추천 또는 감사의 댓글을 남겨주세요.
교수 등록을 희망하시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으로 등록 문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