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초 > 교수찾아삼만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성예사
교수찾아삼만리

고영초 교수

Dr. Ko Yeong Cho
진료과목
예약전화
1588-1533
조회수
1,279
추천의견
고영초
"격주로 무료 진료하는 쪽방촌 천사"
요일
오전
오후
월요일
화요일
외래진료
외래진료
수요일
목요일
특수클리닉
금요일
토요일
등록된 정보는 홈페이지 등 오픈 공개된 정보에 근거하여 자체 작성되었습니다. 사이트의 정보 수집 입력 과정 중 오류, 변경, 착오 등이 있을 수 있어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고 정확한 정보는 반드시 해당 병원의 홈페이지를 확인 바랍니다.

해당 정보의 수정이나 변경을 희망하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문의 부탁드립니다.

학력

1987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졸업 (의학박사)
1982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졸업 (의학석사)
197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의학사)

경력

현재 건국대학교병원 감마나이프센터장
2005~현재 단기해외연수(미국 샌프란시스코대학병원 등)
1998-2005 인제대학교부속 서울백병원 신경외과 교수
1989-1990 독일 하노버의대 교환교수(해외연수)
1985-1998 한림대학교부속 강남성심병원 신경외과 교수
1982-1985 육군 군의관
1977-1982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학회

1996~현재 세계소아신경외과학회회원
1993~현재 대한두개저외과학회정회원(상임이사)
1991~현재 세계두개저외과학회회원
1990~현재 대한뇌종양학회정회원(차기회장)
1987~현재 대한뇌혈관외과학회정회원
1987~현재 대한소아신경외과학회정회원(이사)
1982~현재 대한신경외과학회정회원

논문

Cerebral Sparganosis with Apoplectic Presentation. 대한신경외과학회지. 36(3): 235-238 (2004).
O-Ki Kwon, Moon Hee Han, Ki Jae Lee, Chang-Wan Oh, Young-Cho Koh: A Technique of GDC Embolization for Deeply Bilobulated Aneurysms. Am J Neuroradiol. 23:693-696(2002).
O-Ki Kwon, Moon Hee Han, Ki Jae Lee, Young-Cho Koh, Chang-Wan Oh, Dae Hee Han: Techn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New Design of Guglielmi Detachable Coils. Am J Neuroradiol. 23:1269-1275(2002) .
O-Ki Kwon, Ki Jae Lee, Moon Hee Han, Chang-Wan Oh, Dae Hee Han, Young-Cho Koh: Intraarterially Administered Abciximab as an Adjuvant Thrombolytic Therapy: Report of Three Cases. Am J Neuroradiol. 23:447-451(2002) .
Postsurgical Supplementary Motor Area Syndrome in Patients with Medial Superior Frontal. Gyrus Glioma. 인제의학. 23(2):581-587(2002).
O-Ki Kwon, Young-Cho Koh, Moon Hee Han, Ki Jae Lee, Heon Yoo: An Angiographic Lesion Mimicking Pseudoanerysm in Cerebral Arteriovenous Malformation. Acta Neurochirurgica(Wien). 143:1177-1181(2001) .
Young-Cho Koh, Heon Yoo: Epithelioid Hemangioblastoma of the Sphenoid Bone.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8(Suppl1):63-66(2001) .
Young-Cho Koh, Heon Yoo, Geum-Cheol Whang, O-Ki Kwon, Hyo-Il Park: Multiple meningiomas of different pathological features: case report. Journal of Clinical Neuroscience. 8(Suppl 1):40-43(2001) .
Repeated Transsphenoidal Surgery for Pituitary Tumors.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9(7):929-923(2000).
두개강내 지주막낭종의 외과적 치료.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5(7):1429-37(1996) .
외상성 시신경 손상의 신경감압술 효과.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3(1);37-41(1994).
터키안 종양의 경접형골 수술례에 대한 임상 분석. 대한신경외과학회지. 22(1):39-46(1993) .
반측성 안면경련 환자의 미세 혈관감압술에 대한 고찰. 인간과학. 16(11):663-670(1992) .
혈관조영술상 잠재성 뇌혈관기형-증례보고. 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9):1236-1242(1990) .
뇌동맥류 수술 합병증에 관한 임상적 관찰. 인간과학. 14(3):142-145(1990).
Experimental Neural Tube Defects Induced with Hypervitaminosis A in Rats. The Seoul Journal of Medicine. 28(2):91-108(1987) .
뇌낭미충증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의 최신 지견. 인간과학. 10(4):245-258(1986) .
CT상 뇌종양과 혼동하기 쉬운 병소. 대한신경외과학회지. 11(1):23-32(1982) .
한국에 있어서의 뇌기생충질환의 전산화단층 촬영소견. 대한신경외과학회지. 9(1):7-18(1980) .
천막상부 신경교종에서의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술 소견에 의한 조직병리학적 진단가능성에 관한 고찰. 대한신경외과학회지.9(1):19-28(1980) .
폐쇄성 수두증을 동반한 뇌폐흡충증 2례 보고. 대한신경외과학회지. 8(1):67-71(1979) .
소아에서의 기저구 수막종(basilar groove meningioma) 1례 보고. 대한신경외과학회지. 8(2):339-343(1979) .
반측성 안면신경마비의 미세신경외과적 치료. 대한신경외과학회지. 7(2):263-268(1978) .
마미총으로 전이된 송과체종 1례 보고. 대한신경외과학회지. 7(2):529-532(1978) .

저서

2001 신경외과학 대한신경외과학회
뇌종양학 개론 대한뇌종양학회

참고

2015 제11회 장기려 의도상
2014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 최우수학술상
2012 국민추천 대통령포장

동일 병원 동일과목 LIST

타 병원 동일과목 LIST

본 메뉴에서 교수 개개인의 평가나 후기는 명예훼손의 소지가 있어 허용되지 않으며, 추천 또는 감사의 댓글을 남겨주세요.
교수 등록을 희망하시는 경우 sungyesacom@gmail.com
으로 등록 문의 부탁드립니다.
댓글
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 SUNGYESA.COM All rights reserved.
광고제휴
sungyesacom@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