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Life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기흉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법

기흉
참여 12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4.3
통증경중
4.0
완치율
2.9
분류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기흉이란, 공기주머니에 해당하는 폐에 구멍이 생겨서 공기가 새고 이로 인해 흉막강 내에 공기나 가스가 고이게 되는 질환으로 공기가슴증이라고도 불립니다. 흉막강은 흉벽, 횡격막, 종격동을 덮고 있는 벽측 흉막과, 폐엽 간 틈새를 포함한 폐를 덮고 있는 장측 흉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뜻하는데 본래는 소량의 흉수만이 존재하나 이 공간에 공기나 가스가 있는 경우를 기흉이라고 합니다. 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만 되고 배출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양쪽 폐와 심장 사이의 공간인 종격동과 심장이 한쪽으로 쏠려서 발생하는 응급상황인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원인


2-1) 일차성 기흉 일차성 자연 기흉은 10대부터 30대의 키가 크고 마른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며, 폐의 표면에 풍선처럼 부푼 폐기포가 저절로 터지면서 구멍이 생겨 들이마신 공기가 흉강으로 새어 나가 발생합니다. 일차성 자연 기흉 환자의 90% 이상이 흡연자라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흡연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흡연 인구가 증가할수록 일차성 자연 기흉의 상대적 위험도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여성 흡연 인구가 증가하면서 여성에서도 일차성 자연 기흉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2) 이차성 기흉 이차성 기흉은 폐실질에 발생한 질환이 원인이 되는 기흉을 뜻하며, 일차성 기흉에 비해 비교적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서 발생합니다. 교통사고나 추락, 외상에 의한 폐실질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외상성 기흉, 수술이나 중심정맥 삽관술 같은 시술 중의 폐실질 손상으로 발생하는 의인성 기흉 등이 있습니다. 이차성 기흉의 가장 큰 원인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폐기종 등 폐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이며 결핵, 악성 종양, 낭성섬유증, 사르코이도시스, 원발성 폐섬유증 등이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 에이즈 감염자에게서 뉴모시스티스 카리니 폐렴과 관련되어 기흉이 증가한다고도 알려져 있으며 결핵과 바이러스 감염, 괴사성 세균성 폐렴에서도 기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성 기흉은 교통사고나 흉곽 손상, 뾰족한 것에 찔린 상처 등에 의해 폐실질이 손상되어 생기는 것으로 흉막강 안에 피가 고이는 혈흉과 기관지와 흉막 사이에 통로가 생기는 기관지 흉막루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2-3) 긴장 기흉 긴장 기흉은 자연기흉이나 외상성 기흉 어느 경우에나 발생할 수 있는,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한 상황을 의미합니다. 간혹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 기계에 의한 양압호흡으로 인해서 긴장성 기흉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폐의 표면에 구멍이 생겨 발생하는 기흉은 폐가 찌그러지면서 폐 표면의 구멍도 쪼그라들면서 막혀 더는 흉강 속으로 공기가 새어 나오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아주 드물게 구멍이 막히지 않고 계속 공기가 새어 나오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환자가 숨을 들이쉴 때는 공기가 흉강 속으로 들어오지만 숨을 내쉴 때는 흉강 속의 공기가 나가지 못해 흉강 속의 압력이 점점 높아지는 상태를 긴장 기흉이라고 합니다. 긴장 기흉이 발생하면 기흉이 발생한 쪽 폐가 완전히 찌부러지고 심장과 반대쪽 폐를 압박해 심한 호흡 곤란 증상, 청색증, 저혈압 등이 발생하면서 목숨이 위험한 상태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2-4) 그 외 여성의 경우 월경과 관련되어 기흉이 발생하기도 하며 보통 월경 시작 후 48~72시간 이내에 생깁니다. 임신 중이거나 경구 피임약을 복용 중이어서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절대 발생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증상


기흉의 주요한 증상은 흉통과 호흡곤란입니다. 흉통은 갑자기 발생하며 날카롭게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통증은 점차 둔하고 지속적인 통증으로 바뀝니다. 호흡곤란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가벼운 호흡 곤란만 발생하는 편이며 보통 24시간 이내에 좋아지지만, 이전에 폐질환이 있었다거나 기흉의 정도가 큰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


기흉은 혈액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고 25% 이상의 폐허탈을 동반한 경우 청진시 호흡이 감소되고 소실됩니다. 가슴 엑스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공기 음영이 나타나며, 환자가 최대한 숨을 내쉰 상태에서 가슴 엑스선을 찍으면 기흉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어 기흉을 관찰하기에 용이합니다. 이때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흉의 크기를 계산하기도 합니다. 일차성 자연 기흉의 경우 흉막하 소기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차성 기흉의 경우 기저 폐질환을 확인하기 위해서 컴퓨터 단층 촬영(CT)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4-1) 문진과 진찰 문진을 통해 흉통과 호흡 곤란이 뚜렷한 환자의 경우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으며, 기흉은 환자의 40~50% 정도에서 재발하므로 환자의 과거력을 통해서도 기흉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진찰을 통해 가슴벽 운동 감소, 호흡음 감소 또는 타진(신체를 두드려서 진찰) 상 공명 등의 소견이 있으면 기흉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4-2) 흉부 방사선 흉부 방사선 검사는 기흉의 진단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정상인의 폐는 흉강 내부 전체를 채우고 있는데, 기흉 환자의 경우 흉강 내에 공기가 차 있는 부분과 찌부러진 폐가 구분되어 보입니다. 4-3)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은 통상적으로 기흉 자체를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지는 않습니다. 수술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서 기흉의 원인이 되는 폐기포의 위치와 크기를 평가하거나 동반된 다른 질환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치료


기흉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흉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산소를 투여하면서 폐의 구멍이 저절로 아물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1차 치료로 합니다. 하지만 기흉의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하다면 흉강 천자나 흉관 삽관을 하게 됩니다. 흉관 삽관을 할 경우 지속적인 공기 누출이 있는 경우에도 폐의 팽창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흡인 장치를 추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해 화학적 흉막 유착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과거에는 테트라사이클린을 이용한 흉막 유착술을 많이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활석가루, 요오드화 오일, 압노바비스쿰, 자가 혈액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공기 유출이 1주 이상 지속 되거나 재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 폐 양쪽에 동시에 기흉이 생긴 경우, 엑스선 검사에서 아주 큰 공기주머니가 보이는 경우, 혈흉과 농흉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과거에는 가슴을 가르고 소기포를 절제하는 기계적 흉막 유착술을 많이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비디오 흉강경 수술을 통해 작은 절개만으로 흉막하 소기포를 절제하고 동시에 흉막 유착술을 시행하여 기흉을 치료합니다. 기흉 치료의 원칙은 흉강 내에 있는 폐에서 누출된 공기를 제거하여 폐의 재팽창을 유도하고, 흉강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재발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 및 재발 여부 등을 바탕으로 결정합니다. 기흉의 치료 기간은 대부분 일주일 정도이지만, 일부 환자는 자발성 기흉이더라도 긴 치료 기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차성 기흉의 치료 기간이 자발성 기흉보다 상당히 길며,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도 어려움이 많아 반드시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경과/합병증


보통은 안정 상태에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며 기흉의 흡수를 기다립니다. 하루에 흉곽 용적의 1.25%씩 자연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흡수 속도가 6배 이상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이 별로 없고 크기가 20% 미만인 기흉에서는 산소를 투여하며 기다리며, 증상이 있고 크기가 큰 기흉의 경우 흉관 삽관을 시행합니다. 이후 일주일 동안 공기 유출 여부에 따라 수술 시행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처음 발생한 기흉을 관찰이나 흉관 삽입술만으로 치료한 경우, 재발할 확률은 50% 정도입니다. 2회에 걸쳐 재발한 경우, 3회 이상 재발할 위험이 80~90% 정도입니다. 따라서 재발한 기흉 환자는 수술 치료를 행해야 합니다.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재발률은 5% 정도입니다. 합병증이 없는 일차성 기흉의 경우 보존적 치료나 흉관 삽관만으로 치료가 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지 않지만, 흉막하 소기포가 있거나 다른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예방법


기흉의 특별한 예방법은 없으나, 기흉이 있는 환자가 흡연을 하게 되면 재발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금연을 해야 합니다. 일차성 기흉의 경우 50% 이상에서 재발을 하는데 화학적 흉막 유착술을 시행할 경우에는 25%, 흉강경 수술을 시행할 경우 5%까지 기흉의 재발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고도에서는 폐의 공기주머니가 쉽게 터질 수 있으므로 기흉 진단을 받았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면 장시간 비행기 여행 전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해야 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기흉 질병평가 12건
치료후기

지하철타고 가만히 앉아있었는데 슬슬 호흡이 불편했었음..코로나때라 마스크쓰고있어고 사람많아 답답한가? 하다가 점점 숨이부족하다는 느낌받고 구급차부름.. 당시코로나땜에 받아주는병원도 없어서 고생좀함ㅠ 돌고돌아 병원도착하고 엑스찍고 바로 삽관..ㅎ
갈비뼈사이에 호스 있는느낌이 너무싫었는데 금연안하면 재발율 높다해서 담배끊음..ㅎ

치료후기

일단 특히 빼빼 마른 사람은 조심해야 하는 질병
그리고 담배나 빨대같이 뭐 빨아먹을 때 조심해야됨
나는 담배피는데 들이마시는 순간 폐에 순간적으로 푸쉬이~소리나면서 공기빠지는 느낌 남
그 순간부터 5분도 안돼서 허리를 필 수가 없음 걸을 때 숨쉬기 개빡세고
바로 대학병원가서 응급실에서 기흉진단받으면
의사선생님 와서 그자리에서 바로 돌려누워서 바로 폐까지 호스를 뚫어주신다
마취주사는 하나도 안아프고, 사실 호스들어갈때도 의사쌤은 막 힘주면거 빡빡 집어넣고 소리도 기괴한데 크게 아프진 않음 무섭긴 함 이러다 내 몸 뚫리는 거 아님? ㄷㄷ ㅋㅋ
그렇게 하고나면 입원 치료인데.. 아무래도 폐에 호스를 넣어놔서인지 걸으면 진짜 아픔.. 토할 거 같고. 아무튼 그렇게 치료되면 빼고 꼬매는데 나같은 경우는 호치케스였는데 하나도 안아팠음

치료후기

고등학생 때 학교에서 결핵검사하는거에서 이상징후 보인다고 큰 병원 가보라 함 ㅜ 수업 쨀 수 있다 헤헷 하고 외출 하고 다녀오겠다고 하고 갔는데 종병에서 엑스레이 찍더니 바로 응급실로 내려감...ㅠㅜ 거기서 바로 흉관 박고 병동으로 올라갔음. 숨 쉴 때마다 폐에 관 찔리는 느낌에 아파서 숨도 못쉬겠는데 의사, 간호사 라운딩 돌 때마다 기침해보라 함... 병동 돌아다니면서 걷기 운동해야 빨리 낫는다는데 숨쉬기도 힘든 마당에 무슨 운동..? 한 일주일 와상상태로 있다가 관 빼고 퇴원했는데 그 후로 한달동안은 수술부위 쓰리고 아파서 제대로 못움직임 ㅜㅜ 그리고 그 연도에 기흉 2번 더 재발해서 폐포절제술하고 유착술까지 하고 아직까지 재발안하는 중 ㅜ

치료후기

20대에 걸렸었음. 갑자기 찾아왔고 전조증상도 없었음. 갑자기 숨쉬기 불편하고 머리가 띵해질정도로 숨이 가파져서 구급차 타고 병원가서 엑스찍고 바로 삽관.. 뭐가 뭔지도 모르고 일단 구멍뚫고 입원절차밟고 주말지나고 바로 수술했었음. 재발 확율이 너무 높다고 금연하라했는데 그걸 어케하누.. 그래도 7년동안 재발 안하고 잘 지내고 있음

치료후기

숨쉬기 답답해서 주말에 군병원 진료가서 기흉 진단받았는데, 그때 당번이 이비인후과라고 그냥 빠꾸시킴. 심하진 않아 금연하고 좋은 공기 많이 마시면 금방 괜찮아진다길래 그래했는데 금방 좋아져서 따로 진료 안받고 있는중. 내가 기흉 증상이 있다 싶으면 일단 금연부터하는게 좋을듯

치료후기

2년 사이에 양쪽 폐에 기흉이 생겨서 수술 두 번 했습니다. 증상은 호흡이 조금 불펴하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차고 통증은 별로 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수술 후 3,4일정도에 통증이심합니다. 수술 안 하면 재발 확률이 높다고 하는데 저는 두번째 수술하고 3년째인데 건강해요

치료후기

키크고 마른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기흉에 20대 중반이 되어서 걸렸습니다. 일단 갈비뼈 옆쪽을 부분 마취 후 관을 집어넣어 쭈그러진 폐를 폅니다. 한 2일 있다가 폐엽절제술이라고 터진 폐포가 있는 부위를 살짝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습니다. 전신마취 수술에 30분 걸리는 흉강경 수술로 진행했습니다. 수술 직후 통증때문에 제정신이 아니었지만 퇴원 후 일주일정도 절대안정을 취해서 현재까지 재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마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든 살 찌우셔야 걸릴 확률을 줄일 수 있을 것 같네요... 화이팅!

치료후기

고등학교 1학년 나이에 집이 언덕길이었엇는데 피시방이 멀었어요 피시방과 집언덕길을 오가던 어느날 갑자기 언덕길을오르는데 숨이헐떡이는게 느껴졋죠
본능적으로 이건 기흉이다 느끼고 병원에 가니 기흉이었습니다 숨이잘안쉬어져요 부분마취를하고 호스를 폐에다가 꼽아서 3일정도 입원햇엇던거같네요
그이후로는 기흉이 생긴적없었어요

치료후기

고등학생때 처음 발병함
담배 전혀 펴본적없음 지금까지도 담배 안함 가족중에 담배피는사람 없었음
처음 기흉 걸리고는 폐에 호수 집어넣어서 시술만 했느데
그다음에 다시 재발해서 수술하고
다음에 반대쪽 폐에서 기흉 걸려서 다시 수술함
수술하고 나서 일주일정도 병원에서 호스를 폐에 집어넣고 회복하는 시간을 가져야하는데
그 느낌이 진짜 이질적이고 등이 매순간 엄청나게 아프고 숨쉬기도 힘들고 모든게 다 힘들고 몸이 다 아프고 죽을맛임
그 다음 1~2년쯤 후에 다시 재발했는데
이번에는 수술하기 너무 무서워서 집에서 가만히만 누워있었더니 자연치유 되었음
원래 반에서 오래달리기하면 반에서 3등안에 드는 심폐지구력이였는데
기흉 수술한 이후로 무서워서 오래달리기 할수가없음
수술한 이후로 가끔 폐 부분에 턱하고 심한 통증이 옴
그리고 몸 부분에 순간적으로 힘주면서 해야 되는 일을 할 때 순간적으로 폐에 심한 통증이 생기고 등부분이 엄청 뻐근할 떄가 있음
그러면 가만히 누워있어야함
처음 발병 후로부터 몇년이 지났는데도 재발도 많이 하는 질병이고 부작용도 엄청 일상에 방해되는 정도는 아니지만 남아있음

구****

구경만할게요님 평가

치료후기

4-5일정도 옆구리? 겨드랑이 아래가 갑자기 쿡쿡 쑤시듯아프고 잔기침이 생겼었음. 기침수가 늘 수록 왼쪽갈비안에 통증이 느껴지다 결국 야간에 숨이 잘 안쉬어져서 응급실에감.
엑스레이찍고 바로 싸인하고 관삽입시술받고 3일뒤 수술함. 5년동안 다행히 재발은없고 2주정도 왼손으로 무거운거 못드는정도? 불편함이었음

치료후기

회식때 노래방에서 노래부르다 숨이 차기 시작하더니 한시간동안 호흡이 회복이 되지않아 급하게 응급실 갔더니 기흉.. 당일 응급실에서 옆구리에 호스 삽관하고 2일 후 수술.. 회복도 힘들었고 기침할때마자 찢어질 듯 너무 아팠음 ㅜ

치료후기

벌써 10년도 더 지났지만 기흉으로 힘들어 죽을뻔했었습니다. 그 당시에는 담배도 안피고 운동까지 병행하던 상태라 폐건강도 아주 좋았는데 걸렸고, 1번 옆구리 째고 호수 집어넣어서 공기 빼고 퇴원했는데 재발해서 수술했습니다.  그 후 일상생활 지장없고 군대도 멀쩡히 다녀옴
크게 위험한 병 아니니 의심되도 걱정말고 밥 잘먹고 건강한 체형 유지하는게 중요함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기흉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