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Life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견관절 탈구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견관절 탈구
참여 1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5.0
통증경중
4.0
완치율
3.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견관절 탈구란 위 팔뼈와 어깨를 이어주는 견관절이 외력에 의해 앞이나 위로 빠진 상태를 말합니다. 견관절의 탈구는 남자에게 많으며 재발탈구가 잘 일어나며 대부분 전방탈구입니다.

원인


견관절의 후측부나, 후외측부에 강한 외력이 가해져 발생하는 직접외상에 의한 경우와 상완부에 주로 외전, 신전, 외회전력이 가해져 탈구되는 간접탈구가 있으며 탈구의 위치에 따라 손상기전은 다릅니다.

증상


심한 통증으로 팔을 움직이려 하지 않으며 탈구된 위팔은 외전 혹은 외회전된 상태에서 아래팔을 다른 손으로 잡아 몸 가까이에 유지시키려고 합니다. 내전 및 내회전이 제한되고, 이 운동시 통증은 증가됩니다. 정상적으로 둥근 외관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삼각근 부분이 평평해지고, 상완골두가 있던 견봉 바로 밑부분이 움푹 들어가 있으며, 견갑골의 어깨 봉우리인 견봉이 튀어나와 보입니다.

치료


가능한 빨리 정복을 시행합니다. 늦으면 근육의 경련이 있어 정복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견인이 정복법의 원칙이며 환자를 눕게 하고 액와부에 역견인 작용, 지레의 받침점 작용으로 시술자의 발을 겨드랑이에 넣고 시술자의 양손으로 환자의 수조관절과 손을 잡고 견인합니다. 일단 정복되면 잘 움직일 수 있으나 충분한 고정을 요합니다. 도수정복에 실패하거나 골 결손이나 연부조직 결손, 재발탈구 등을 치료할 목적으로 수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견관절 탈구 질병평가 1건
치료후기

팔과 어깨탈골. 철봉 높은 곳을 지지하다가 떨어질 때 발생했는데, 이후 반깁스 2~3주정도 하고 나니, 통증은 어느정도 완화되었고, 이후 멋대로 빠지지는 않으나, 잘못 잡아당기거나 하면 탈골되어 유의해야합니다. 골절보다는 통증이 덜하나, 오른쪽 팔이다보니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견관절 탈구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