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Life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발작성 야간혈색뇨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발작성 야간혈색뇨
참여 1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4.0
통증경중
4.0
완치율
4.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발작성야간혈색뇨는 용혈 현상(적혈구 밖으로 헤모글로빈이 탈출하는 현상)으로 인해 야간에 혈색 소변을 보는 질환으로,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X-염색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합니다. 명확한 발생 빈도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주로 20대 및 30대 성인에게 발병하며, 전체 환자의 약 10%는 소아입니다.

원인


비정상적인 조혈모세포에서 적혈구막 형성에 이상이 있는 적혈구가 생성되고, 이 적혈구가 보체와의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면 용혈 현상이 일어납니다. 또한 발작성야간혈색뇨 환자에게 흔히 과립구 감소 및 혈소판 감소 현상이 동반되는데, 이는 이들의 세포막 이상으로 인해 보체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여겨집니다. 특히 야간에 용혈 현상이 증가하는 이유는 수면 중에 일어나는 호흡성 산혈증 때문입니다.

증상


발작성야간혈색뇨의 초기 증상으로는 주로 피로감, 경한 만성 용혈로 인한 경미한 황달, 경미한 비장 및 간 비대 등이 있습니다. 또한 용혈성 빈혈, 조혈 결핍, 정맥 혈전으로 인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부분 재생불량빈혈 증세와 비슷하여 얼굴이 창백해 보이고, 열이 나며, 쉽게 멍이 들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는 등의 출혈 증상을 보입니다. 다른 용혈성 빈혈과 마찬가지로 골수 기능 부전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심한 운동, 전신 감염, 수혈, 예방접종, 수술 및 월경 등의 원인 때문에 용혈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유사 증상을 보이는 경우 감별 진단이 꼭 필요합니다.

치료


발작성야간혈색뇨의 가장 큰 문제는 혈전증입니다. 혈전증이 생기면 항응고 요법이 필요합니다. 합병증 발생 시 보체 억제제인 에쿨리주맙(eculizumab) 사용을 고려합니다. 필요시 세척한 적혈구를 수혈합니다. 용혈이 있는 경우 단기간 스테로이드 제제인 프레드니손(prednisone)을 사용합니다. 발작성야간혈색뇨는 재생불량빈혈이나 골수형성이상증후군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어 경과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전체 내용 보기

발작성 야간혈색뇨 질병평가 1건
치료후기

저는 20대 여성인데, 얼마 전에 발작성 야간혈색뇨(PNH) 진단을 받았습니다. 처음에는 병 이름이 너무 생소해서 진짜 무섭고 막막했어요. 새벽에 소변이 진한 갈색으로 나오길래 이상해서 병원에 갔는데, 여러 가지 검사 끝에 이 병이라는 걸 알게 됐어요.

처음에는 빈혈이 너무 심해서 일어나면 어지럽고, 하루 종일 피곤하고 숨도 차서 일상생활이 정말 힘들었어요. 치료는 에쿨리주맙 주사를 맞는 걸로 시작했는데, 처음엔 부작용 생길까봐 엄청 걱정했어요. 다행히 주사 맞고 나면 조금 몸살처럼 나른해지는 정도였고, 크게 심한 부작용은 없었어요.

꾸준히 주사 치료를 받고 나니까 소변 색도 점점 옅어지고, 피검사 수치도 좋아지더라고요. 예전에는 너무 피곤해서 퇴근하고 아무것도 못 하고 바로 누워 있었는데, 지금은 좀 더 덜 힘들고 컨디션이 많이 나아졌어요.

이 병이 희귀질환이라 처음에는 정보도 없고 불안했는데, 담당 선생님이 차근차근 설명해 주시고 치료 계획 세워주셔서 마음이 한결 편해졌어요. 혹시 저처럼 진단받으신 분 계시면, 너무 겁먹지 마시고 꼭 전문가 상담 받고 치료 잘 받으시면 좋겠어요. 저도 아직 치료 중이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훨씬 나아지고 있어서 조금씩 희망이 생기고 있어요.

선착순 포인트 제도로 3번째 평가까지는 200P, 10번째 평가까지는 100P, 50번째 평가까지는 70P를 지급합니다. 이후 평가는 50P를 지급합니다.
발작성 야간혈색뇨 평가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평가글 작성 시 존칭을 제외한 반말 사용을 부탁드립니다.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