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수다
포토후기
병삼이
수삼이
시삼이
실견적
이벤트

[수술&질병명] 근디스트로피

목차
1.

개요

2.

원인

3.

증상

4.

치료

근디스트로피
참여 0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치료반응
0.0
통증경중
0.0
완치율
0.0
분류
진료과목
신체부위
전체 내용 보기

개요


근육병은 점진적인 근력 감소로 인해 보행 능력 상실, 호흡 근력 약화, 심장 기능 약화 등이 나타나는 진행성 질환입니다. 결국에는 신체 장애가 생겨 모든 일상생활을 남에게 의지해야 합니다. 근육병은 선천성 근육병과 후천성 근육병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


근육병은 염색체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력과 상관없이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밖에도 염증, 신진대사 이상, 내분비 기능 장애, 독성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근육병은 그 원인에 따라 진행성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염증성 근병변, 신진대사에서 오는 근육병, 선천성 근육병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근육병이 진행되면 호흡근이 약화되어 호흡 장애가 일어나는 등 신체 각 부위에 전신적인 합병증이 동반됩니다.

증상


근육병의 특징적인 증상은 근력이 점차 약해지는 것입니다. 영아의 경우 보행 이상, 운동 기능, 발달 지연이 나타납니다. 점차 근육 긴장 저하와 연하 곤란, 호흡 곤란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청소년기 이후에 발병하는 경우에는 근지구력이 점차 약해져서 잘 넘어지며 계단 오르기를 힘들어 합니다.

치료


근육병은 만성, 진행성 질병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치료법 중에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재활 치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근력을 최대한 유지하고 관절의 구축을 막고 보행을 오랫동안 유지시키기 위하여 모든 관절 펴주기 운동 및 근력 강화 운동을 시행합니다. 또한 폐 기능을 향상하기 위해 심호흡 운동과 호흡 재활 치료를 함께 시행합니다. 보호자와 환자에게 가정 운동 요법을 교육하여 지속적인 자가 치료를 시행해야만 오랫동안 양질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전체 내용 보기

근디스트로피 질병평가 0건
이 질병에 아직 등록된 평가가 없습니다.
평가 작성시300포인트 지급
근디스트로피 평가 작성하기
치료반응
통증경증
완치율
진단명
진단병원
치료후기
200 글자 이상 작성, 0 글자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
PC버전
|
로그인
|
문의및제휴
SUNGYESA
광고제휴sungyesacom@gmail.com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