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늑연골 과연 정답일까?? > 성형관련수다방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현재접속자
2439

성형관련수다방

[코성형] 자가늑연골 과연 정답일까??

익명
작성일 23-08-17 19:40:46
조회 1,440회

본문

난 자가늑도 그저 유행이라고 봐.

코수술에는 유행이 있어.

---------------------------------------------------------------------------------------

[귀연골의 시대]
2010년 이전은 L자 실리콘 쓰고 귀연골을 주로 쓰던 시대야

---------------------------------------------------------------------------------------

[비중격연골의 시대]
그런데 2010년 이후는 비중격연골의 시대가 열러

WHY?

너희도 다들 한번 쯤은 들어봤을 비중격연장이식(SEG)은 1997년 Dr. Byrd에 의해 만들어졌어.

이 선생이 2010년쯤 한국에 와서 이 때부터 비중격연장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어.

Dr.Byrd가 낸 논문에서 "비중격연골로 비중격연장을 했더니 장기적으로 예후가 굉장히 좋더라!" 라고 했거든

---------------------------------------------------------------------------------------

[기증늑연골의 시대]

그런데 Dr. Byrd의 논문처럼 비중격연골로 비중격연장이식을 했더니 효과가 별로 좋지가 않아.

WHY? 서양인과 동양인은 다르거든.

피부도 더 두껍고, 더 안 늘어나고, 비중격연골도 약해.

그래서 의사들이 비중격연장을 더 크고 강한 연골로 더 넓게 덧대면서 하려고 하지.

그래서 찾은게 뭐다?? 기증늑연골!

이렇게 크고 강하게 넓게 덧대기 시작하면서 비중격연장의 부작용들이 크게 부각되기 시작했어

---------------------------------------------------------------------------------------

[자가늑연골의 시대]

불과 5~6년 전만 해도 그렇게 신의 재료같이 의사들이 떠들고 다녔던 기증늑연골...

사람에 따라 흡수율이 심각하고 염증에도 약해.

그러다보니 더 크고 더 강한데 흡수는 적은 연골을 찾게 되는데... 그게 자가늑연골이야

기존의 기증늑연골로 넓게 덧대었을 때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더 많은 양의 강한연골이 필요했거든

이러한 경향이 또 다른 부작용을 낳고 있어

지금 의사들은 이런 문제를 경시하고 있지

마치 기증늑연골 때도 문제 없다고 떠들고 다녔던 것처럼

---------------------------------------------------------------------------------------

또 한 5년 지났을 땐 어떤 연골이 유행을 타려나 기대하고 있어 ㅋㅋ
코성형토크
PC 웹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10

댓글목록

익명님의 댓글의 댓글

익명
작성일

공감님의 댓글

공감
작성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