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수병 소개 잠수병 0.0 평가 0 건 응급의학과 신경과 피부 뼈근육 신경계 상대적으로 높은 기압에서 압축된 공기로 호흡하고 있던 사람이 낮은 기압 환경에 노출 되었을 때, 체내에 녹아 있던 난용성 가스가 기화되어 공기 방울을 만들게 되면서, 이 공기 방울 때문에 발생하는 모든 증상 및 질환의 총칭입니다. 보통 …
골수염 소개 골수염 0.0 평가 0 건 정형외과 뼈근육 골수염은 대개 감염에 의해 뼈에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당뇨병#, 수술, 외상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 환자들이나 성장판이 존재하는 소아청소년에서 건강한 성인보다 더 쉽게 발생합니다. 부피가 큰 장골의 골간단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건막염 소개 건막염 0.0 평가 0 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뼈근육 건(힘줄)을 싸고 있는 활액막(synovial sheath) 자체 또는 활액막 내부 공간이 염증성 변화로 충혈되고 #부종#이 발생하며, 염증 세포가 침윤되는 경우를 건막염이라 하고, 건의 활액막염이라고도 합니다. 1-1) 발병 위…
진주종 소개 진주종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귀 진주종은 피부 상피 조직이 중이강과 유양동 내로 침입하여 각질(keratin)을 축적하면서 주위의 뼈나 연부 조직을 파괴하며 진행하는 병입니다. 원인 진주종은 원인에 따라서 선천성 진주종과 후천성 진주종으로 분류됩니다. …
청신경종양 소개 청신경종양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신경과 귀 신경계 소리를 지각하는 청신경의 슈반 세포(Schwan cell)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초기에는 내이도 내에서 발견되나 종양이 커지면서 내이도가 확장되고 여러 방향으로 자라 주위 뇌신경 및 뇌간, 소뇌를 압박하고 위치를 변화시킵니다. 빈도는 …
각기병 소개 각기병 0.0 평가 0 건 가정의학과 신경과 뼈근육 신경계 각기병은 신체 내에 비타민 B1(티아민, thiamine)의 부족으로 발생되는 비타민 결핍증입니다. 전형적인 티아민(비타민 B1) 결핍증은 정제된 쌀을 주식으로 먹는 경우에 나타나며, 수 주일간 정제된 쌀만 먹으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통 소개 이통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귀 이통은 귀의 통증을 말합니다. 이통은 보통 질환의 심각한 정도와 비례하지 않지만, 귀에 발생하는 암 등의 심각한 질환을 암시할 수도 있습니다. 종류 이통에는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구분되는데 원발성은 귀에서 발생한 상처나 염증에서 …
이루 소개 이루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귀 이루는 외이도를 통해 나오는 액체 분비물을 말합니다. 원인 이루의 원인 질환은 다양하며, 크게 외이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중이에서 발생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이에서 발생하는 경우 급성 #외이도염#, 만성 #외이도염#, …
양성자세현훈 소개 양성자세현훈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귀 양성 자세 현훈은 특정 체위에서만 나타나는 안진(nystagmus, 안구가 가만히 있어도 떨려서 초점을 유지할 수가 없는 증상)이 특징인 질환으로, 1921년 바라니(Barany)가 처음 기술하였습니다. 아직까지 병리와 생리 기전이 완전…
바테르 증후군 소개 바테르 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귀 호흡기관 소화기관 심장 비뇨생식기 바테르 증후군은 척추 기형, 항문 폐쇄, 심장 기형, 식도 폐쇄를 동반한 T-E (식도-기관) 이상, 요골 기형 혹은 신장 기형이 동시에 3개 이상 (혹은 2개 이상)으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우연의 일치보다 더 많은 빈도로 일어나기…
소이증 소개 소이증 0.0 평가 0 건 이비인후과 성형외과 귀 소이증이란 귓바퀴의 형성저하로 인하여 귓불만 있고 다른 부분은 거의 없는 상태인 것을 말합니다. 때로는 피부 밑에 둘둘 뭉친 연골 덩어리가 있거나, 귓바퀴가 매우 작고 변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귓불이 정상 귓바퀴의 것보다 더…
기형종 소개 기형종 0.0 평가 0 건 병리과 뼈근육 생식비뇨기 머리 기형종은 둘 이상의 배엽에서 기원한 조직을 함유한 생식세포종(Germ cell tumor)의 한 종류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배엽은 태아의 초기 발달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세포층을 말하며,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의 세 종류의 배엽으로 나…
쿠울리빈혈 소개 쿠울리빈혈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심장 목 소화기관 인간의 모든 혈색소(헤모글로빈)는 두 개의 글로빈 사슬의 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지중해빈혈(Thalassemia, 탈라세미아)은 글로빈 사슬의 결핍으로 인한 두 종류 글로빈 사슬의 양적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가리키는데 대부분 …
터너증후군 소개 터너증후군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척추 눈 귀 혈액혈관 심장 생식비뇨 목 소화기관 터너 증후군은 성염색체인 X염색체 부족으로 난소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조기 폐경이 발생하며, 저신장증, 심장 질환, 골격계 이상, 자가 면역 질환 등의 이상이 발생하는 유전 질환입니다. * 발병위치 : 난소, 골격, 심장, 신장 …
크레틴병 소개 크레틴병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내분비내과 목 갑상선 호르몬은 태아기부터 태아의 두뇌 발달에 필수적인 호르몬이며, 출생 후에는 소아의 전신 성장 발달을 촉진시킵니다. 크레틴병은 선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라고도 하는데, 태아기부터 갑상선의 형성부전이나 갑상선 호르몬의 합성장애 등과 같…
점액수종 소개 점액수종 0.0 평가 0 건 내분비내과 피부 목 점액수종은 심한 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피부증상으로, 피부 아래 진피 내에 점액이 쌓여 피부가 붓고 단단해지는 것을 말합니다. 전신 특히 안검(眼險) ·하지에 무틴이 괴어 부어오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원인으로는 갑…
코리병 소개 코리병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뼈근육 소화기관 포르브스병이라고도 불리는 코리병은 제 3형 당원 축적병이라고도 불리우는 상염색체열성 유전질환으로, AGL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글리코겐 가지제거효소인 아밀로-1,6-글루코시다아제(Amylo-1,6-glucosidase)가 부족하여 발…
적혈구 과다증 소개 적혈구 과다증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혈액종양내과 소화기관 혈액혈관 적혈구 과다증이란 순환 적혈구가 정상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혈색소 수치가 17g/dL 이상, 15g/dL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헤마토크릿으로는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60% 와 55% 이상입니다. 원인…
근위축증 소개 근위축증 0.0 평가 0 건 정형외과 척추 뼈근육 소화기관 사지의 근육이 거의 좌우대칭적으로 점점 위축되어 가는 것으로 여러 형태가 있습니다. 가장 많은 것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척수성진행성근위축증입니다. 다같이 척수에 있는 운동신경섬유 및 세포의 진행성 변성에 의한 것이지만 원인은 불명합니다…
윌슨병(간렌즈핵변성) 소개 윌슨병(간렌즈핵변성)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신경과 소아청소년과 눈 뼈근육 뇌 소화기관 혈액혈관 윌슨(Wilson)병은 구리 대사 이상으로 인하여 간, 뇌, 각막, 신장 및 적혈구에 구리가 침착되어 생기는 보통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13번 염색체의 ATP7B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한 병입니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하여 간…
간염 소개 간염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간염은 간세포 및 간 조직의 염증을 의미합니다. 간염의 주요 원인으로는 바이러스, 알코올, 여러 가지 약물들 및 자가 면역 등이 있습니다. 간염은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며, 간염이 6개월 이상 낫지 않고 진행하는 경우를…
고쉐병 소개 고쉐병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눈 소화기관 신경계 뇌 고쉐병이란 명칭은 1882년에 간과 비장이 비대해진 환자에 대해 처음으로 기술한 프랑스 의사 필립 찰스 어니스트 고쉐(Philippe Charles Ernest Gaucher)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고쉐병은 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g…
간성뇌증 소개 간성뇌증 0.0 평가 0 건 신경과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간성 뇌증이란 간 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의식이 나빠지거나 행동의 변화가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평소의 성격이나 행동이 약간 변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의식 상태가 수시로 달라지거나 밤낮이 바뀌는 경우, 심하게는 통증에도 반응이 없는 깊…
간암 소개 간암 0.0 평가 0 건 방사선종양학과 외과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간암이란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넓은 의미로는 간에 생기는 모든 종류의 악성 종양(예를 들면 간내담관암)이나 다른 기관의 암이 간에 전이되어 발생하는 전이성 간암까지도 포함하지만, 간세포암종이 …
간신증후군 소개 간신증후군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진행된 #간경변증#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급성 신손상으로, 혈청 크레아티닌이 평소 기저치로부터 48시간 이내에 0.3 mg/dL이상 증가하거나 1주일 이내에 1.5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 적절하게 유효혈류량을 보충함에도 불구하고 회복되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