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립성 결핵 소개 속립성 결핵 0.0 평가 0 건 감염내과 호흡기내과 호흡기관 속립성 결핵은 결핵균이 혈관 내로 들어가 피를 타고 돌아다니면서 각종 장기와 조직에 자리를 잡고 결핵 결절을 만드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원인 속립성 결핵은 결핵균에 대한 면역력이 약하거나 감소한 상태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혈행성…
전신 경화증 소개 전신 경화증 0.0 평가 0 건 호흡기내과 호흡기관 전신 경화증은 피부, 혈관, 내부 장기의 비후(두꺼워짐)나 경화(딱딱해짐)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이 질환은 만성적이고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될 수 있습니다. 원인 전신 경화증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몸에서 과다하게…
지중해빈혈 소개 지중해빈혈 0.0 평가 0 건 혈액종양내과 혈액혈관 지중해빈혈은 유전적 결함으로 인하여 적혈구 내 산소를 조직으로 운반하는 혈액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이 결핍되어 장애가 발생하는 혈액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헤모글로빈이 포함된 적혈구는 정상 적혈구보다 산소를 운반하는 능력이…
자가면역성 간염 소개 자가면역성 간염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자가면역성 간염은 환자의 면역체계 교란으로 인해 백혈구가 자신의 간세포를 공격하여 발생한 간염입니다. 바이러스 감염이나 약물 등 뚜렷한 외부 요인 없이 발생합니다. 고감마글로불린혈증, 자가항체 출현, 여러 자가면역 질환의 동반이 나타납니…
만성 골반통 소개 만성 골반통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생식비뇨기 만성 골반통은 하나의 질환이라기 보다는 여러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는 만성적인 증상을 말합니다. 월경주기와 관련이 없이, 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치료를 필요로하는 골반부위의 통증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만성골반통이라고 합니다. …
전폐정맥연결 이상 소개 전폐정맥연결 이상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호흡기관 폐정맥은 폐에서 산소를 공급 받은 혈액을 심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폐정맥은 정상적으로 좌심방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양측의 폐정맥들이 모두 우심방이나 체정맥으로 이상 연결되어 있는 것을 전폐정맥연결 이상이라고 말합니다. 단독으로 발…
제대 탈장 소개 제대 탈장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소아외과 소화기관 제대 탈장은 장기의 일부가 배꼽륜을 통해 복근을 뚫고 돌출한 것을 말합니다. 신생아 및 영아에게 흔하게 나타나고 성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임신기간 동안 제대는 아기 복근의 작은 구멍으로 지나가게 됩니다. 이러한 구멍은…
단일제대동맥 소개 단일제대동맥 0.0 평가 0 건 산부인과 혈액혈관 정상적으로 태아의 탯줄은 한 개의 정맥과 2개의 동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약 1%의 태아에서는 동맥이 하나인 경우가 관찰되며 이를 단일제대동맥이라고 합니다. 원인 임신 초기부터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고 정상적인 탯줄 동맥 하나가 혈…
대동맥궁 단절 소개 대동맥궁 단절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심장 대동맥궁 단절이란 대동맥궁을 지나 하행 대동맥으로 이어지는 부위가 완전히 끊어져 있는 기형입니다. 모든 형태의 대동맥궁 단절에서 심실 중격 결손이 동반됩니다. 이 외에도 총동맥간증, 완전 대혈관 전위,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 단심실 등의…
대동맥 축착 소개 대동맥 축착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소아청소년과 심장 신체를 순환하는 혈액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을 통해 분출되는데 대동맥이라는 통로의 흐름이 막히는 것이 대동맥 축착입니다. 선천성 심장 질환의 5% 정도를 차지하며 남자아이에게 더 많습니다. 또 터너 증후군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소아 뇌척수 기형 소개 소아 뇌척수 기형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신경외과 신경계 뇌척수의 발생과정 중에 문제로 인해 발생한 두개이열증, 뇌류, 지주막 낭종, 아놀드키아리 기형, 댄디워커 기형, 척수 이분증, 척수 공동증 등의 다양한 선청성 기형이 소아 뇌척수 기형입니다. 원인 태아의 발생 과정 중 신경관의 정…
신경모세포종 소개 신경모세포종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신경외과 신경계 신경모세포종은 소아에서 흔한 악성 종양 중의 하나로 백혈병, 중추 신경계 종양, 림프종 다음으로 발생 빈도가 높고, 1세 미만의 영아에서는 가장 흔한 악성 종양입니다. 발생빈도는 15세 미만에서 매년 100만명 당 10.5명으로 전체 소…
윌리암스 증후군 소개 윌리암스 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전신 윌리암스 증후군은 7번 염색체의 미세결실으로 인한 유전자증후군으로서, 출생아 2만 명당에 1명꼴의 발생빈도를 가지는 희귀 질환입니다. 원인 윌리암스 증후군은 7번 염색체의 장완 근위부(7q11.23)의 미세결실이 원인으로서, 7q…
헌터 증후군 소개 헌터 증후군 0.0 평가 0 건 소아청소년과 전신 헌터 증후군은 유전질환으로 성염색체 열성으로 유전하는 질병입니다. 선천적으로 뮤코다당의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가 부족하여 뮤코다당이 몸 속 또는 세포 내에 쌓이게 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원인 헌터 증후군은 IDS라는 효소가 결핍…
감염성 심내막염 소개 감염성 심내막염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감염내과 심장 심내막염이란 심장 가장 안쪽을 싸는 막(심내막)이나 심장 판막에 생긴 염증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감염성 심내막염이 가장 흔합니다. 감염성 심장질환(판막질환이나 선천성 심장 기형 등)이 있는 경우 혈액의 흐름이 불규칙하여 심장 내막에 상…
간디스토마 소개 간디스토마 0.0 평가 0 건 소화기내과 소화기관 간디스토마는 식품을 매개로 감염되는 기생충질환으로 간흡충이 우리 몸에 들어와 간의 담관 안에서 기생하면서 여러 가지 증상을 일으키는 병입니다. 간디스토마는 8~15mm X 1.5~4.0mm 정도의 크기의 기생충으로 납작한 선홍색의 버들잎…
복부대동맥류 소개 복부대동맥류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혈액혈관 대동맥은 우리 몸에서 가장 굵은 혈관 중 하나로 정상 성인에서 직경은 약 2~2.5cm 정도이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몇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렇게 큰 대동맥이 마치 주머니 모양으로 불룩하게 늘어나는 질환을 복부 대동맥류라고 하…
발육부전성 좌심 증후군 소개 발육부전성 좌심 증후군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심장 심장은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심장의 오른쪽은 몸에서 나온 혈액을 받아들이는 우심방, 이 혈액을 폐로 보내주는 우심실로 나누어져 있으며, 심장의 왼쪽은 폐에서 나오는 혈액을 받아들이는 좌심방, 이 혈액을 다시 전신으로 공급해주는…
심낭압전 소개 심낭압전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심장 심장압전이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막 사이에 혈액이 고여 심장을 누르게 됨으로서 심박출량이 감소하여 쇼크에 이르게 하는 병입니다. 심장을 둘러싼 막을 심낭이라고 부르는데, 심낭은 심장을 싸고 있는 두 겹의 막(섬유심장막, 장막심장막)으로…
심부정맥혈전증 소개 심부정맥혈전증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혈액혈관 혈전증이란 혈관 안에서 액체 상태로 흘러야 할 피가 핏덩어리로 굳어 혈관이 막혀 피가 흐르지 못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심장에서부터 동맥을 통해 나온 혈액이 여러 장기를 순환하고 다시 심장으로 돌아가는 길인 정맥 중 근육 깊은 곳에 있는 …
심실세동 소개 심실세동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심장 심실세동이란 심장의 전기 전도계에 문제가 생겨서 심장이 불규칙적으로 박동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실제로는 심장이 떨리기만 할 뿐 혈액을 뿜어내지 못합니다. 심실세동은 심장이 바로 정상적인 리듬을 되찾지 못하는 경우 생명이 위험해지는 응급…
심장종양 소개 심장종양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심장 심장에 발생한 종양을 심종양, 심장종양이라고 합니다. 원인 심장종양은 대개 양성종양입니다. 악성종양인 경우에는 심장자체에 암이 발생한 경우도 있고 다른 곳에 생긴 암이 심장으로 전이한 경우도 있으나 심장에서 발생하는 경우보다 전이…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 소개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혈액혈관 양대혈관 우심실 기시증은 심실대혈관 연결이상의 한 유형으로 심장의 양대혈관, 즉 대동맥과 폐동맥이 모두 우심실과 연결되어 있는 선천성 심장 기형 질환입니다. 선천성 심장 기형의 약 1%를 차지하며, 한국의 경우 1.2~2.5% 에서 발생…
폐 혈전색전증 소개 폐 혈전색전증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혈액혈관 폐 혈전색전증은 폐동맥 혈관 가지가 핏덩어리(혈전)로 막힌 현상입니다. 핏덩어리는 대부분 다리의 굵은 정맥에서 생기게 되며 이 핏덩어리에서 작은 조각이 떨어져 나와 폐에 있는 작은 혈관을 막게 됩니다. 폐동맥 가지가 핏덩어리로 막히면 그…
폐성 고혈압 소개 폐성 고혈압 0.0 평가 0 건 순환기내과 혈액혈관 폐성 고혈압은 폐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 폐동맥 혈압이 상승하는 질환입니다. 평균 폐동맥압이 25mmHg 이상인 경우 폐성 고혈압으로 정의합니다. 일반적으로 20대에서 40대 사이의 환자가 많으며,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