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
경과/합병증
예방법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콜린성두드러기 질병 경험 평가
댓글목록
i****님의 댓글
i****
어릴적부터 갑자기 더워지면 따가운 증상이 계속 되어 인터넷을 찾아보다 콜린성 두드러기 라는 병을 알게 되었고 병원에 방문해 진단받게 되었습니다
남들과 다르게 겉으로 드러나는 두드러기 증상은 없고 따가운 증상만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 복용 중인데 증상이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고 여전히 어느정도 남아있네요
l****님의 댓글
l****
갑자기 추운데 피부가 노출되거나 말단체온이 떨어지거나, 달리기등 유산소 운동을 해서 체온이 급격히 오르면 다리부터 미친듯이 가렵기 시작해서 전신으로 번짐. 더 심해지면 현기증, 호흡곤란, 두통, 구역감까지 옴… 최대한 발작이 생기지않게 조심하는 수밖에 없다고 함. 별다른 약도 없음. 이것땜에 유산소운동을 못한지 몇년째 됨..
언****님의 댓글
언****
10년가까이 앓고있음.추운곳에서 따뜻한 음식을 먹거나 따뜻한 곳으로 이동 또는 그 반대로 더운곳에서 추운곳으로 몸의 급격한 온도변화가 있으면 온몸에 좁쌀 모양의 두드러기가 올라오는 질병.
온갖 유명한 방법을 써봐도 치료는 안됨.항히스타민제 먹으며 대학병원 알레르기내과에서 졸레어 맞는중. 이것도 치료가 아니라 증상완화 개념임
묭****님의 댓글
묭****
예전부터 달리는 운동하거나
겨울에 나갔다가 들어오면 다리가 엄청 가려움
긁지않으면 안될정도..
항히스타민제 먹으면 된다는데 순간적으로
솔직히 효과 모르겠고
그냥 만성에 완치 불가능
일상에 좀 불편한 정도
그 가려운 순간에는 진짜 고통 ㅠㅠ 밖이라
긁지도 못함
사****님의 댓글
사****
다이어트 너무 극단적으로 했더니 면역력이 낮아져서 걸렸는데 진심 간지러움을 넘어서 따가웠음 특히 뜨겁거나 따뜻한 물로 샤워하면 온몸이 따끔거리고 간지럽고 따끔거렸음 약 이것 저것 먹어도 크게 나아지지 않았는데 잘먹고 잘 자고 잘 쉬니까 어느순간 사라져있었음…
뚜****님의 댓글
뚜****
겨울에 밖은 추운데 집에서는 전기장판 틀어서 집은 따뜻하고 그렇게 밤낮 바뀐채로며칠 생활하니 면역력이 약해지고 온도변화 때문인지 갑자기 빨갛고 모기 물린것처럼 두드러기가 많이 올라옴. 간지러워서 긁기도함.
믐****님의 댓글
믐****
갑작스럽게 생겼는데, 겨울철 바깥에서 따뜻한 실내로 들어가거나 실내에 있다가 외출하는 경우,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등등 급격한 온도 변화가 있을 때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온몸(얼굴 포함)에 두드러기가 일어나고 심한 간지럼증, 열감을 느꼈음. 항히스타민제였나 처방해준 약 먹고 나았음... 당시 스트레스 많이 받았을 때였는데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한 것 같음
q****님의 댓글
q****
다이어트 한 후 갑자기 생긴 온 몸 두드러기와 습진. 처음에는 병원을 엄청 옮겨 다니면서 밤에 잠도 못자고 하루종일 긁으면서 진짜 몸도 마음도 엉망이었는데 레이저 치료같은 것도 받고 두드러기 환자들이 많이 먹는 올로미온트? 약이라고 해서 그것도 먹으면서 점점 괜찮아짐. 아직도 두드러기가 남아있고 약 안먹으면 간지럽기는 함
부****님의 댓글
부****
어려서부터 몸에 이유 없는 발진이 생기곤 했음. 나이 들면서 땀만 나도 온몸에 작은 발진이 올라오고 따가운 통증이 동반되어 일상에 불편이 많았음. 병원 진료 후 콜린성 두드러기 진단을 받았고 항히스타민제 복용하면서 증상이 확실히 줄어듦. 다만 약을 끊으면 다시 올라오기도 해서 완치라기보단 관리가 필요한 질환임.
제****님의 댓글
제****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면 몸에 개미가뜯는것같은기분이 들었음 햇빛알레르긴줄알았는데ㅈ겨울에도 그래서 이상해서 가보니 콜린성두드러기라고 함 완치개념이 없는거라 운바이운으로 안그런날도 있고 그런날도 있어서 쉽지않음..
민****님의 댓글
민****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운동하면 피부에 빨간색 발진이 올라오면서 톡톡 쑤시는 통증과 간지럼이 동반됩니다. 오래갈 때는 1시간도 지속됩니다. 유산균 및 알레그라 180과 같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니 많이 호전되었습니다.
쿠****님의 댓글
쿠****
온도차가 급격한 환경에 놓일때 발생합니다 은은하게 삶의 질이 떨어짐.....어릴땐 엄청 심했는데 크니까 얼굴 외에 팔이나 다리 같은 곳만 약간 올라와서 그냥 콜린성과 함께하며 살아갑니다 완전한 완치는 없는 것 같아요
m****님의 댓글
m****
진짜 정말 너무 힘든 병.. 중학교때 생겼는데 그땐 진짜 심해서 죽고싶었음. 병원에서는 항히스타민제 계속 먹으라고 하지만 이게 먹을수록 약발이 약해짐. 오히려 항히스타민제 끊고 물 많이 마시고 로션 잘 바르고 올라올땐 최대한 견디니까 지금은 훨씬 나아짐. 건식사우나는 다녀오면 더 심해지는 것 같고 스팀사우나가 효과 있는듯. 한의원은 5곳 다녀봤는데 한 곳 빼고는 모두 효과 없었음. 한 곳도 효과가 드라마틱하진 않았고.. 그냥 몸이 전반적으로 좋아짐. 다른 사람들 보니까 그냥 어느 순간 사라지던데 언제 치료될지 모르겠음..
S****님의 댓글
S****
목욕 후 온도차로 인한 알레르기가 심해서 병원방문함. 완치는 거의 불가능 한것 같고 완화에 중점을 둬야 할 것 같음. 실제로 알레르기 약 먹으면 가라앉기는 하는데 아예 알레르기증상을 막는 거에는 약만으로 불가능하고 식습관 및 생활습관들을 개선해야함.
h****님의 댓글
h****
여름철, 겨울철에 고통스러움. 여름엔 외출 시에 햇빛을 많이 쬐거나 몸 온도가 올라가면 어김없이 따가워지고 피부가 붉어짐. 겨울엔 외부, 내부 온도차나 샤워 후 나왔을 때 모기 물린 것처럼 부풀어오르고 간지럽다가 따가워짐. 완치는 없는 것 같음.
햇****님의 댓글
햇****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었음 그래서 샤워만 해도 불긋하게 올라오고 수영을 해도 올라오고 운동만 해도 올라옴 그러나 두드러지게 올라오지는 않고 빨간 반점 같이 올라오고 금방 사라짐 ㅠㅠ 근데 ㅋㄹㄴ주사맞고 한랭성두드러기가
찾아와서 증상이 아주 심해지고 아주 아파짐
미****님의 댓글
미****
중학생 때 컨디션안좋거나 스트레스 많이 받은 날이면 새벽에 온 몸에 모기물린 것 처럼 커다랗게 두드러기가 낫던 기억이있어요. 정확한 원인은 못찾았지만 서너번 응급실 가서 주사맏고 온 기억이있어요. 이사를 해서 그런지 요즘엔 안나타나여
H****님의 댓글
H****
어렸을때부터 겨울에 추운곳에있다가 들어오면 온몸이 바늘로 찌르는것처럼 엄청 따갑고 살짝 빨갛게 피부색이 바뀌었다.
모든사람들이 추운곳에 있다가 들어오면 이런줄알았는데 어느날 피부과에 간김에 의사선생님께 여쭈어봤는데 완치가 불가능한 질병의 일종이라고 하셨다.
이후 증상이 심해질때면 처방받은 알러지약을 먹고있는데 먹으면 버틸만하다.
쌍****님의 댓글
쌍****
이건 완치가 없다고 하더라 난 쫌 심한 편이라서 꾸준히 약 발라줘야한다고 하는데 겨울이랑 여름에 쫌 심해서 여름이랑 겨울에만 연고 발라주면서 관리하고 있어ㅠ 다들 힘들게 아파하지말고 병원가서 연고 처방받아봐!!
숮****님의 댓글
숮****
갑자기 더워지기 시작한날 에어컨 고장난 곱창집에서 곱창 먹고 난 후 바로 시작 됨 진짜 죽는
줄 알았음 온몸이 가려운 탓에 못잠 첨엔 곱창 두드러긴가 싳었는데 말도 안댐 평소에 잘만먹었음 아무리 생각해도 이유가 없음 너무 덥게 먹고 땀을 삐질삐질 흘린거 빼곤 글고 병원에갓더니 콜린성 두드러기 진단응 받늠 이해가 갔다. 주사맞고 약먹으니 바로진덩댐
도****님의 댓글
도****
환절기랑 겨울되면 심해짐. 일단 샤워할때 춥다고 너무 뜨거운물 쓰면 안되는데 잘 안되긴하죠..^^.. 시원한 물로 진정시켜주고 간지러우면 약국에서 가려울때 쓰는 약 달라고 해서 좀 발라주면 됨 이건 완치는 어려운 거같음
정****님의 댓글
정****
추운날 밖에서 좀 열심히? 돌아다니고 이상하게 가려워서 봤더니 여드름보다는 큰 넓직한 두드러기? 가 생기고 만질수록 퍼짐 놀래서 집들어가서 좀 쉬고나니없어지긴 했고 두드러기 난부위가 뜨끈하게 열오르는 느낌이길래 얼음퍅 잠시 대주니 약간 나아짐
토****님의 댓글
토****
알레르기 전문 내과에서 진단 받고 진료했습니다. 어느날 갑자기 생겼는데 밤낮이 바뀐채로 지내면 이렇게 두드러기가 찾아올 수 있으니 모두들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제 경우에는 자연적으로 많이 좋아졌지만 얼굴, 특히 이마가 아주 자주 빨개지는 얼굴로 체질?이 바뀌었습니다..
코****님의 댓글
코****
일반적으로 경증의 경우 약국의 히스타민제로도 다스려지나, 반응이 없는경우 피부과처방의 경구 스테로이드제 단기복용도 도움이 되요. 그리고 운동 열심히해서 땀이 잘나는 체질로 바꾸는것도 방법입니다. 매우 고통스럽고 희귀한 질환이지만 극복할수 있습니다.
감****님의 댓글
감****
춥거나 덥거나 온도가 조금만 평균보다 이상이하로 변하면 몸이 가렵고 동글동글 붉은점이 올라옵니다. 추울때가 특히 심한데 얼굴까지 올라옵니다. 항히스타민제 처방받아 먹으면 안정이 되어서 날씨가 추울땐 약을 미리 먹고 외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