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개요
자가면역 뇌염은 우리 몸의 백혈구 등 면역세포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변화하면서 뇌에 자가면역 기전에 의한 염증을 일으킴으로써, 뇌전증 발작, 이상운동, 기억력 저하, 의식저하, 이상행동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항체는 정상적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외부의 적을 공격하는 물질입니다. 그런데, 세균이나 바이러스 질환을 앓고 난 뒤, 혹은 몸에 종양이 생긴 뒤, 아니면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우리 뇌에 반응하는 잘못된 항체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뇌염 범주 내에는 다양한 질환이 있고 각 질환별로 원인과 증상이 다양합니다.
원인
증상
처음에는 감기 몸살 기운에 열이 나고 두통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다가 수일이나 수주에 걸쳐 점점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장애, 언어장애, 이상 행동, 인지장애, 정신과적 증상 등이 나타나며, 경련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의식이 점점 나빠져서 혼수상태가 되기도 하며, 이상운동증, 실조증, 자율신경이상 등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원인 자가항체에 따라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치료
자가면역 뇌염의 원인 항체 검사가 나오기까지는 몇 주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에는 가능한 모든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자가면역 뇌염이 진단되면 스테로이드, 면역글로불린, 리툭시맵 (Rituximab), 토실리주맵 (Tocilizumab) 등의 면역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반응에 따라 여러 면역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병발한 경우, 자가면역 뇌염을 촉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가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경련 발작, 정신과적 증상, 이상운동증 등에 대한 약물을, 폐렴, 호흡부전 등의 합병증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자가면역 뇌염 질병 경험 평가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종합평점
0.0
평가참여
0
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