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개요
경추관 협착증이란 경추부분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을 말하며, 어떤 원인에 의해 척추관 또는 척추사이 구멍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되어 목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팔과 다리 저림 등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원인
대부분 퇴행성 변화에 의하여 척추관이 좁아져서 발생합니다. 척추관이 좁아지면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져 신경이 직접적으로 눌리거나 신경 주위의 혈관이 압박되어 신경으로 가는 피가 부족하여 신경이 손상되어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
주로 목 뒤와 어깨, 견갑골 사이에 통증이 나타나고 압박되고 있는 신경이 지배하는 부위에 따라 손가락, 팔 등에 저린느낌이나 전기가 통하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감각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팔이나 손의 감각이 남의 살처럼 둔해질 수 있고 몸통이나 다리로 가는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몸통이나 다리의 감각이 둔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눈을 감고 있는 경우 팔을 들어 올렸는지 내렸는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팔이나 손가락에 힘이 빠지며 글씨를 쓰거나 물건을 들 때 어려움이 발생합니다. 다리가 뻗뻗해지고 힘이 약해져 제대로 걷기 힘들 수 있습니다. 방광의 신경이 압박되면 소변을 보는데 문제가 생기며 항문 괄약근의 신경이 압박되면 대변을 보는데 장애가 생깁니다.
치료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는데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는 보조기착용, 찜질등 열치료, 초음파치료, 마사지 등의 물리치료와 소염진통제나 근육이완제 등의 약물치료가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경추의 신경압박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증상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척추유합술, 추궁절제술 등이 시행되며 보존적 치료로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진행하는 경우 수술적인 치료가 가장 효과적이지만 합병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히 고려되어야 합니다. 수술은 목의 앞에서 접근하는 방법과 뒤에서 접근하는 방법, 앞뒤에서 동시에 접근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협착이 발생한 부위에 따라 접근 방향이 달라집니다.
경추관 협착증 질병 경험 평가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종합평점
3.0
평가참여
2
건
댓글목록
네****님의 댓글
네****
치료반응
통증 경중
완치율
진단 명
경추관협착증
진단 병원
대학병원
처음 느꼇던 증상은 그저 한번씩 스트레칭 할떄마다 뒷목이 찌릿찌릿한 정도였는데 어느날 부터인가 자고 일어나면 손,발이 저리고 부어있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몸이 안좋아서 좀 붓는건가 라고 생각했는데 통증도 점점 심해지더는 오른손에 떨림도 있어서 너무 무서워서 바로 병원 예약하고 방문해서 MRI랑 각종 검사 했는데 뒷목쪽 신경이 뼈에 눌려있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수술까지는 꼭 해야하는 단계는 아니라고 해서 일단 간단한 시술이랑 물리치료 병행하면서 많이 괜찮아 졋어요.
a****님의 댓글
a****
치료반응
통증 경중
완치율
진단 명
경추관협착증
진단 병원
대학병원
제 친구가 얼마 전 경추관 협착증 진단을 받았어요. 처음엔 목이랑 어깨가 뻐근하다고만 했는데, 점점 팔이 저리고 손가락 감각이 둔해져서 병원에 갔더니 MRI 결과 신경이 눌려 있다고 하더라고요.
처음엔 약물치료와 물리치료만 했지만, 증상이 심해져서 결국 주사치료까지 받았어요. 통증이 심할 땐 잠도 못 잘 정도였는데, 꾸준히 치료받고 스트레칭하면서 한 두 달 지나니 많이 좋아졌다고 해요.
지금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은 없지만 오래 앉아 있거나 고개 숙인 자세를 오래 하면 다시 뻐근하다고 합니다. 병을 키우기 전에 빨리 진단받는 게 중요하다고 느꼈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