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평점
0.0
평가참여
건
모든 질병은 반드시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 약사의 복약 지도를 통해서 사용해야 합니다.하부의 자료는 참고용으로만 이용 바랍니다.
개요
목동맥협착증이라고도 합니다. 경동맥은 목을 지나서 안면과 두개골 안으로 들어가는 동맥입니다. 이 혈관이 동맥염, 죽상동맥경화증 등의 원인으로 좁아진 경우를 말합니다. 경동맥은 뇌와 관련된 혈관이므로 이 혈관이 좁아지면 뇌졸중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뇌기능 장애로 이어집니다.
원인
증상
진단
경동맥 협착증을 진단하는 주요 검사는 경동맥 초음파입니다. 왼쪽과 오른쪽 목빗근 안쪽에 위치한 경동맥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혈관의 두께, 혈관 내의 경화반(혈전) 여부, 그리고 1분당 혈류속도 및 혈류량 등을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비침습적이며 비교적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검사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치료
크게 약물 치료와 외과적 치료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약물은 아스피린(aspirin)이나 클로피도그렐(clopidogrel) 같은 항혈소판제제와 헤파린(heparin)이나 와파린(warfarin)과 같은 항응고제제가 있으며, 외과적인 치료에는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과 경동맥 내막 제거술이 있습니다. 환자의 증상 유무와 내경동맥의 협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하게 됩니다. 북미 경동맥 내막 제거술 공동 연구회(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y Trial collaborators, NASCET)에서 1991년 뉴 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한 임상 연구의 결과에 바탕을 두어 치료를 결정하는데, 절대적인 수술의 대상은 증상이 있으면서 70% 이상 협착이 있는 경우이며, 그 이외에는 모두 약물 치료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임상 연구에서 신경외과 수술팀의 수술 합병증이 6% 이하인 경우에만 수술을 하도록 하고 있어, 수술팀의 성적도 고려 대상이 됩니다. 최근 무증상이고 70% 이상의 협착이 있는 경우, 또는 유증상이지만 70% 이하의 협착이 있는 경우에 수술 적응증이 되는지에 대하여 논란이 많으며, 치료자의 경험과 의료진의 수준에 바탕을 두고 치료 방법이 결정되고 있습니다.
경과/합병증
예방방법
균형 잡힌 식이, 적절한 운동, 절주, 금연이 필수적입니다.
경동맥 협착증 질병 경험 평가
치료반응
통증경중
완치율
종합평점
0.0
평가참여
0
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